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조정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1 美術治療硏究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Group Art Therapy affects on the change of frequency of reducing negative attempts and reactive behaviors and increasing positive attempts and reactive behaviors i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ve behavi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diagnosed as Asperger syndrome and scored under 90 of SSR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in the AB design, this study has three periods; the base line, the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maintenance. The social interactive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observed for 10 minutes free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each period. In addition, in order to see the generaliz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 among normal children in school, KSD changes were investigated.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by cooperative activity increased the positive attempts of a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by cooperative activity increased the positive reactive behaviors of a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on. Third, Group Art Therapy by cooperative activity negligibly changed the negative attempts of a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on. Fourth, Group Art Therapy by cooperative activity reduced the negative reactive behaviors of a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on. Fifth, Group Art Therapy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KSD. Therefore, Group Art Therapy by cooperative activity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because it increased the positive attempts and the positive reactive behaviors and reduced the negative reactive behaviors and also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KSD, even though hardly reduced the negative attempts of an Asperger syndrome children social interaction. 본 연구는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아스퍼거 장애로 진단 받았으며,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SSRS)점수가 90점 이하인 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연구의 AB설계로 실시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기간의 자유놀이시간 10분 동안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하였고 학교 상황에서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해 동적학교생활화(KSD)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 시도행동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 반응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셋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부정적 시도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부정적 반응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다섯째,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동적 학교 생활화(KSD)의 총점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협동작업 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부정적시도 행동에 한해서는 효과를 보이지 못했으나 긍정적 시도행동과 긍정적 반응행동의 증가와 부정적 반응행동의 감소뿐만 아니라 동적 학교 생활화(KSD)의 총점의 증가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소전통락편(消栓通絡片)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작용

        조정숙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소전통락편(消栓通絡片, Xiaoshuan TongluoPian)은 어혈을 제거하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고 하여 뇌혈전에 의한 뇌졸중의 후유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당의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 배양한 횐쥐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소전통락편의 약리작용을 규명함으로써 임상적 활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전통락편은 배양한 세포를 H₂O₂로 처리하거나 Fe^(2+)와 ascorbic acid로 처리하여 유발되는 산화적 신경세포손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반면, 배양한 세포를 xanthine 및 xanthine oxidase로 처리하여 유발되는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미약한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소전통락편은 뇌졸중이나 간질 등의 퇴행성 신경질환에서 흥분성 신경독성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진 glutamate나 N-methyl-D-aspartate (NMDA)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다음에는, 알쯔하이머병의 중요한 유발요인으로 알려진 β-amyloid (A_{β})의 활성부분으로 처리하여 유발되는 손상에 대한 작용을 연구한 결과, 소전통락편은 A_{β}(25.35)에 의한 신경세포의 손상도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제제는 흰쥐의 뇌균질액에서 유도한 지질 과산화를 강력하게 억제하였으며, 약간의 라디칼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소전통락편이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여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며, 대뇌피질 신경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한 손상과 흥분성 손상 및 A_{β}(25.35)로 유발한 손상을 억제함을 확인함으로써 이 제제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소전통락편이 중국에서 뇌졸중 치료제로 이용되는 사실에 대한 약리학적인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알쯔하이머병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Xiaoshuan TongluoPian (XTP), which is believed to remove extravasated blood and improve blood circulation, has been used in China to alleviate the sequelae caused by cerebral thrombosis. To characterize pharmacological actions of XTP, the present study evaluated its effects on neuronal cell damage induced in primary cultured rat cortical cells by various oxidative insults, glutamate or N-methyl-Daspartate (NMDA), and B-amyloid fragment (A_(β)(25-35)). XTP was found to inhibit the oxidative neuronal damage induced by H₂O₂or Fe^(2+)/ascorbic acid. In contrast, it had minimal effect on the toxicity induced by xanthindxanthine oxidase. It also attenuated the excitotoxic damage induced by glutamate or NMDA. The NMDA-induced neurotoxicity was more effectively inhibited than the glutamate-induced toxic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XTP protected neurons against the (A_(β)(25-35))-induced toxicity. Moreover, XTP exhibited dramatic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rat brain homogenates and mild 1,1-diphenyl-2-picryI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XTP exerts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excitotoxic, or A_(β)(25-35)-induced neuronal damage. These findings may provide pharmacological basis for its clinical usage to alleviate the sequelae of stroke. Furthermore, XTP may exert beneficial effects on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oxidative stress-rela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