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아에서 진단된 Littre's hernia

        조재승,부윤정,박성수,Cho, Jae-Sueng,Boo, Yoon-Jung,Park, Sung-Soo 대한소아외과학회 2008 소아외과 Vol.14 No.2

        The term "Littre's hernia" was originally defined by Reinke in 1841 as "the presence of a Meckel's diverticulum in any hernia sac." Littre's hernia is a very rare disease, which accounts for less than 1 % of all Meckel's diverticula. We report a case of Littre's hernia experienced in a 45 day-old infant.

      • KCI등재후보

        예술과 가전을 접목한 아트가전(Art DIOS) 디자인 개발 : Art DIOS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조재승(Cho Jae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aimed to suggest ways of development along the New Art DIOS art which by implementing an art concept based on changing trends can be a successful case to stimulate the artistic sensibilities of consumers through cases of design development for entire products. For the study a sound basis in the concept of Art appliances was developed through studying the literature and a category of design and sensitive consumption values through Art appliances were studied. Prior to developing a concrete design annual design trends were investigated and the trend images that would be suitable for Art DIOS were predic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main trends and refrigerators. Then the New Art DIOS design with three images was developed: Elegant Luxury Luminous Future and Neo-Natural. In addition the environments that the suggested refrigerators would express in the kitchen interior were materialized by attempting an image-matching between design and refrigerators. There are a few ways in which such results could be developed. First we should recreate one conceptual kitchen interior with various product lines. Second we should develop technologies to express various themes. Third companies should actively utilize art marketing strategies to raise the quality of their products and the value of their brands in order to target global markets. 본 연구는 변화하는 트렌드를 기반으로 예술개념(Art Concept)을 이어나갈 아트가전(New Art DIOS) 제품디자인 개발 사례를 통해 소비자의 예술적 감성을 자극하는 성공적인 사례가 될 수 있도록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아트가전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범주와 아트가전을 통한 감성적 소비가치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Art DIOS 디자인 개발사례를 분석해본 결과로 연도별 디자인 트렌드를 조사하여 주요 트렌드와 냉장고와의 관계 분석을 통해 Art DIOS에 적합한 트렌드 이미지를 예측하여 Elegant Luxury(엘레건트 럭셔리) Illuminous future(일루미너스 퓨쳐) Neo-Natural(네오 네츄럴)의 세 가지 이미지로 New Art DIOS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냉장고와의 이미지 매칭(Image matching)을 시도하여 주방 인테리어에서 제시한 냉장고가 어떤 분위기로 표현되는지 구현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은 첫째 다양한 제품군으로 하나의 제안적인(Conceptual) 부엌 인테리어로 재탄생시켜야 한다. 둘째 다양한 테마 표현을위한 기술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제품의 품질 및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업에서는 아트마케팅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비상탈출을 유도하는 USN 기반의 스마트 소방시스템 디자인 연구

        조재승(Cho, Jae Se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재·재난 사고의 긴급대처 및 비상탈출을 유도하는 USN 기반 소방시스템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USN의 개념과 국내·외 소방시스템과 스마트 소방시스템 디자인 개발 현황을 문헌 조사하였고, 이를 기초로 하여 5가지의 Insight Keywords(Visibility, Portable, Universal, Reliability, Immediacy)를 바탕으로 디자인 전략 방향(Volume Nature, Brilliant Hole, Urban Solid, Active Standard)을 도출하였으며, USN 기반의 스마트 소방시스템에 필요한 아이템별로 임베디드 콘솔박스, 화재감지센서, 유독가스 방지용 마스크, 화재 진압용 소화기, 대피용 유도등을 디자인하여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최종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USN 기반 소방시스템 디자인 개발은 화재·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 중대한 역할과 기능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와 재난예방 및 진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제품에 대한 성능향상과 제품의 형태와 사용자 환경을 중요시한 융·복합적(기술·기능·디자인)으로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디자인 개발에만 치중하던 디자인의 역량을 넘어, 새로운 디자인 비즈니스 모델로서 안정적인 사업화로 추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자인중심의 비즈니스 모델개발 연구사례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mart fire protection system based o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hat help the emergent handling of fire and agile escape urgent disaster situations. To understand the problem and find the seeds and needs of solution, Desk research of the concept of USN, domestic and foreign fire protection system and cases of design solutions of smart fire protection system was conducted. Based of the desk research, five insight key words (Visibility, Portability, Universality, Reliability, Immediacy), and four design strategic directions (Volume Nature, Brilliant Hole, Urban Solid, Active Standard) were defined, and USN-based design solution system including embedded console box, fire detection sensors, gas mask, and flashlight for escape were proposed and were evaluated by experts of fire fighting. Since the USN-based fire protection system is taking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of protecting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diverse design idea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hich can efficiently perform the precautionary measurement and handling of the fire and disasters were tested comprehensively in terms of technology, functionality and design. The design proposal has high potential of industr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further studies for building a stable business model is recommendabl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형 레저문화 확산을 위한 유형 및 용도별 캠핑카의 실내디자인 활용 방안

        조재승(Cho Jae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3

        This paper intended to use design as the space suitable for future consumers' requirem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ior design of camping cars by type and usage for the spread of leisure culture suitable for the Korean market. It determined various design direction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rough the classification by keyword. For the development of camping car designs by type the trend of interior design by year (2007 2008) was examined and based on it the design by keyword and type was researched and the camping car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was designed. The interior design of camping cars sh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various types of leisure vehicles as well as camping cars. Secondly it should be used in the jobs related with long-term leisure activitie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ergonomics and space use it should be applied to the modules of mobile homes or camping towns. Fourth the businesses involved in camping cars should use the proposed design by type and usage in order to make low-priced popular camping car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s and should actively invest. Fifth they should meet with consumers' requirements produce differentiated and unique camping cars and create new demand of camping cars not only in the domestic market but also in the overseas markets. They are the ways to spread and settle new leisure cul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시장에 적합한 레저문화 확산을 위한 유형 및 용도별 캠핑카의 실내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미래 수요자의 요구에 알맞은 실내디자인을 활용하고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시대적 트랜드 방향성 구축 및 키워드 유형별 실내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 문헌 및 외국 캠핑카 일류업체를 벤치마킹을 활용하고 수요자를 대상으로 니즈 파악 및 디자인 방향을 수립하였다. 유형별 캠핑카 디자인 개발은 년도별(2007 2008) 트랜드 디자인 경향을 직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키워드 유형별 디자인을 도출하여 사용 목적에 따른 용도별 캠핑카를 디자인하였다. 한국형 레저문화 확산을 위한 유형 및 용도별 캠핑카의 실내디자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캠핑카는 물론 다양한 유형의 레저용 차량에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 둘째 장기적인 레저 활동과 관련 있는 직종에서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인체공학과 공간 활용의 차원에서 모빌 홈이나 캠핑마을의 모듈 등에 적용한다. 넷째 캠핑카 관련업체는 국내실정에 알맞은 저렴한 보급형 캠핑카를 제작하기 위해 제시한 유형 및 용도별 디자인을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다섯째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차별화 독창성 있는 캠핑카를 제작하여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캠핑카의 신 수요창출로 확대시켜야 하며 이것이 곧 새로운 레저 문화 확산 및 정착을 위한 활용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조재승(Jae Seung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논문은 자전거를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공공환경의 경관과 장소를 고려한 다양하고 차별화된신개념 자전거 거치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자전거 거치대 현황을 고찰하기위해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을 통해 문헌 조사하였고, 이용자의 자전거 거치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FGI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전거 거치대 시스템 디자인 개발을 위해 개념과 재료 및 소재를 구성하고 자전거 거치대의 형태를도심형, 레저형, 키오스크, 거치대 스테이션으로 분류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거거치대 디자인 개발은 디자인 영역에서 환경디자인 기술, 제품디자인기술, 그래픽/멀티미디어 디자인기술 등 각 분야의 전문적 디자인기술을 융합한 종합디자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 둘째, FGI 설문조사 결과를 수렴한 디자인 개발은사용자 경험디자인(UXD; User Experience Design)기술을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Interface Design)의기술 향상에 도움을 준다. 셋째, 자전거거치대 디자인은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녹색성장의 대안으로서 공공환경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다양한 공공시설에 설치할 수 있고 각 지자체의 관광아이템으로 적용하여Slow city 및 친환경 생태도시의 이동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끝으로 자전거거치대 디자인 개발은 감성품질을 확보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어 사용자들의만족을 통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공공 자전거거치대를 적극 활용할수 있는 자전거 산업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In the paper, novel and distinguished design solutions for bicycle parking system, which are suitable for various location and environmental landscape are suggested. The research methods involve information database search, internet search, and references through paper database for the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bicycle rack designs and systems. In addition, a series of FGI survey with bicycle user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extant bicycle parking systems. The concepts and their materials were studied, and four types of design were developed including a city type, a leisure type, a Kiosk, and a bicycle rack st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parking system design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otal design including art design, environmental design, product design, graphic and multimedia design. Second, to increase the UXD(User Experience Design) quality, the design concep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FGI survey to improve the interface between bicycle users and bicycle rack system. Third, the development of bicycle parking system will help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stall unmanned bicycle parking racks at various public places and sightseeing places as the bicycle is a practical alternative for building energy saving of slow-cities and realizing eco-environment green growth. In addition, the aesthetic quality and convinience of the design will satisfy the emotional and practical wants of the user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se the bicycle. Furthermore, the governmental bodies can consider to make use of practical design solutions of promoting bicycle use,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saving plan, to make better environment, and to increase the life quality of citizens..

      • KCI등재후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 비즈니스모델 연구

        조재승(Cho, Jae 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최근 서비스 경험디자인은 웹상에서 사용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소비자들을 서비스 영역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이종 콘텐츠들이 비즈니스 모델로 수익을 창출해 나가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을 통한 소비자 개개인이 디자인한 DIY 스마트폰 케이스 및 아이템 디자인들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스마트폰 케이스 디자인 현황 및 수요자 분석을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온라인 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케이스, 아이템,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였고, 다양한 스마트폰 기기에 따른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아이템 개발을 위한 온오프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온라인 커뮤니티 디자인이 활성화되면 첫째,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에서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원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둘째, 소비자가 디자인하고, 디자인한 제품을 판매하는 형태의 신개념 비즈니스 모델이다. 셋째, 폭넓은 연령층을 공략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 및 디자인의 아이템 라인업인 통용 아이템을 2차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 넷째, 특정 캐릭터 브랜드와 비즈니스 협력 관계를 통해 아이템을 출시하거나 시즌별 특별 아이템을 지속적으로 출시하여 빠르게 변하는 해당 제품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통용 제품에 비해 고가의 제품 전략으로 브랜드 이미지상승 및 안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ecently, service experience design is getting consumers involved in the service area and creating profits with new heterogeneous contents as business models.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new conceptual business models to share designs of DIY smart phone cases and items that individual consumers designed through online communities and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signs. For this study,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for smart phones case design and consumer analysis. And designs of phone cases, items, accessories which are applicable in online spaces were also developed, and designs for a variety of smart devices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online and offline system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items was establish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us, a online community design is enabled, First, consumers can desig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tastes through virtual simulation on the web. Second, the new conceptual business model involves consumers who design and sell by themselves. Third, popular items that make up the item lineup that consist of diverse materials can be secondarily developed and these can attract consumers from all age groups. Fourth, competitiveness can be strengthened in rapidly changing markets by launching items that cooperate or coordinate with certain character brands or by constantly launching seasonal special items while also improving and stabilizing the brand image with a high price strateg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무인 출입관리 시스템 디지털 도어록 디자인 연구

        조재승(Cho, Jae 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1

        디지털 도어록은 특성상 기능적인 보안성과 소비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무인출입 관리 시스템 디지털 도어록은 더 이상 보안 수준의 도어록 개념이 아닌 보안, 통신, UI 기술 구현의 편의성을 소비자 측면에서 제고하여 제품 외형의 견고성 및 신뢰성을 추구하면서 보안기기로서의 전문성 및 트렌드를 반영하여 확장성 및 호환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디자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발 전 무인기지국에 설치된 도어록의 사용성을 분석하기 위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디자인 기초단계에서는 디자인 콘셉트, 방향(형태, 소재, 색상, 디자인 이미지)을 설정하였고, 디자인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디자인 전략방향을 설정하여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최종 디자인 경쟁력 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 실시로 MOTP를 활용한 QR Code 디지털 도어록 디자인을 평가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분석으로 제품의 완성도와 가치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확립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도어록은 IT와 디자인이 융합해서 만들어진 디자인 특화 상품으로서 제품 생산과 판매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it is important to produce digital door locks considering functional security and consumers" convenience. In this study, the automatic gate management system door lock was developed considering security, communication, convenience of UI technology in the aspects of consumers and a concrete design with expandability and compatability that provides solidity and reliability as a security device was established. In this study, particularly, a preliminary research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usability of the door locks installed at unmanned base stations. In the basic phase of designing, the design concept and directions regarding shape, material, color, and design image were set, and the new design was completed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sign. In order to confirm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nal design, a survey was conducted, and a concrete designing process was established to increase the degree of completion and the value of the product by assessing the QR code digital door lock design using MOTP. Therefore the digital door lock, being a design-specialized product created from IT and design convergence, is expected to be used directly for production and sales.

      • KCI등재후보

        3D 프린팅 기반의 디자인 · 제조 · 서비스 플랫폼 연구

        조재승(Cho, Jae Se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4

        3D 프린터는 미국 제조업 부흥을 위한 10대 핵심 제조기술 중 하나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언론이나 매체 속에서 이슈가 된 것은 불과 4~5년 전이다. 3D 프린팅 기술이 일반화되어가면서 디자인 분야에서도 제조와 서비스를 연계한 맞춤형 소량생산 제품 개발 플랫폼 구축과 활용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의 현황 및 활용사례를 연구, 분석하여 3D 프린팅 기반의디자인 제조 · 서비스 플랫폼의 사업화 제안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 사례연구, 서비스시나리오, 사업화방안으로 구성된다. 현재의 3D 프린터 산업은 시제품, 부품, 금형, 완제품 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제조업에서 디자인의 시대적 역할도 소비자 중심사회를 지향하면서 디자인에 맞춤형 서비스의 가치가 중시되고 있으며 3D 프린팅의 맞춤형 생산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제조, 서비스 플랫폼과 비즈니스 모델이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며 3D 프린팅 기반의 디자인분야의 다양한 사업의 기회와 수익 창출을 기대한다. 3D printer is collecting attention as one of 10 core manufacturing technology that will drive the thrive of US industries and has become a big issue of journals in recent few years. As 3D printing has been generalized, the needs of building customisable small scale manufacturing product development platform is increasing in desig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3D printing-based design, manufacturing and service platform, analysing and researching the status and cases of 3D printing. The study methodology consists of paper research, case study, service scenario, and business modeling. 3D printing industry is getting developed from prototyping to part, moulding, and final product. In manufacturing industry, the attention toward the customizability of 3D printing that has higher potential of satisfying diverse needs in user centered market is increasing. Diverse service platforms and new businesses that adjust themselves in changing environment, will emerge. We expect diverse business opportunities and profit generation in 3d printing-based desig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