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적미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하태열,박성희,조일진,김용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11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Jakwangdo and Honghyangmi on the rat microsome lipid peroxidation and growth of four human cancer cells such as HepG2 (liver cancer), SNU1 (stomach cancer), MCF7 (breast cancer) and SNUC4 (colon cancer) were examined. The methanol extracts of red colored rices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However, water extracts did not show the activities.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Jakwangdo and Honghyangmi against lipid peroxidation of rat microsome was 80% and 68%,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1 mg/assay. Jakwangdo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MCF7 cells among the cancer cells tested. The methanol extracts of red colored rices were further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Both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showed strong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HepG2 and MCF7 cells. 자광도와 홍향미, 동진현미를 물과 methanol로 추출하여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및 4종류의 인체유래의 암세포 즉, 간암세포 HepG2, 위암세포 SNU-1, 유방암세포 MCF-7 및 대장암세포 SNU-C4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물 추출물보다는 methanol 추출물에서, 동진현미보다는 자광도와 홍향미에서 높은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과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은 홍향미 methanol 추출물(1 mg/assay)에서 80%, 자광도 methanol 추출물(1 mg/assay)에서 68%였다. 암세포 성장억제효능은 MCF-7에 자광도 methanol 추출물 첨가시 57%로 가장 낮았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이 서로 다른 4개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획분으로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과 인체유래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광도와 홍향미 methanol 추출물 분획물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chloroform, hexane 및 ethyl acetate 획분에서 성장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적미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박성희(Sung-Hee Park),조일진(Il-Jin Cho),김용식(Yong-Sik Kim),하태열(Tae-Youl H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11

        자광도와 홍향미, 동진현미를 물과 methanol로 추출하여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및 4종류의 인체유래의 암세포 즉, 간암세포 HepG2, 위암세포 SNU-1, 유방암세포 MCF-7 및 대장암세포 SNU-C4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물 추출물보다는 methanol 추출물에서, 동진현미보다는 자광도와 홍향미에서 높은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과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은 홍향미 methanol 추출물(1 ㎎/assay)에서 80%, 자광도 methanol 추출물(1 ㎎/assay)에서 68%였다. 암세포 성장 억제효능은 MCF-7에 자광도 methanol 추출물 첨가시 57%로 가장 낮았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이 서로 다른 4개의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얻은 획분으로 과산화지질생성억제능과 인체유래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광도와 홍향미 methanol 추출물 분획물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chloroform, hexane 및 ethyl acetate 획분에서 성장억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Jakwangdo and Honghyangmi on the rat microsome lipid peroxidation and growth of four human cancer cells such as HepG2 (liver cancer), SNU-1 (stomach cancer), MCF-7 (breast cancer) and SNU-C4 (colon cancer) were examined. The methanol extracts of red colored rices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However, water extracts did not show the activities. Inhibitory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Jakwangdo and Honghyangmi against lipid peroxidation of rat microsome was 80% and 68%, respectively, at the concentration of 1 ㎎/assay. Jakwangdo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MCF-7 cells among the cancer cells tested. The methanol extracts of red colored rices were further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anol. Both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showed strong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HepG2 and MCF-7 cell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볶음 처리한 옻나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곽은정(Eun-Jung Kwak),조일진(Il-Jin Jo),성기승(Ki-Seung Sung),하태열(Tae-Youl H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6

        옻나무의 속과 껍질부분을 분리해 170, 200, 220℃로 온도를 달리하여 볶은 후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의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DPPH 유리라디칼 소거능 및 4종류의 인체유래의 암세포 즉 간암세포 HepG2, 위암세포 SNU-1, 유방암세포 MCF-7 및 대장암세포 WiDr에 대한 성장저지효과를 알아보았다. 저농도보다 고농도에서, 속보다 껍질부분이, 170~200℃범위로 볶음처리를 한 시료의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 유리라디칼 소거능 및 암세포의 성장 저지효과가 높았다. 가장 높은 과산화지질생성 억제능은 200℃에서 볶은 속과 껍질추출물을 500 ㎍/mL의 농도로 첨가 시 50.9, 56.5%였고,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200, 170℃에서 볶은 속과 껍질추출물을 500 ㎍/mL의 농도로 첨가 시 79.0, 78.4%였다. 또한 암세포 생존율은 1,000 ㎍/mL의 농도로 첨가 시 가장 낮았는데 속과 껍질추출물 첨가군의 생존율은 WiDr세포가 170℃에서 볶음처리 시 41.5, 36.0%로 가장 낮았고, 다음은 HepG2세포로 200℃에서 볶음처리 시 61.5, 44.3%, 이어서 MCF-7세포가 170℃에서 볶음처리 시 92.0, 69.2%였으며, SNU-1세포는 볶음처리와 상관없이 100, 100%의 순으로 높아 특히 WiDr세포에 대한 성장저지효과가 현저하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WiDr세포에 대해서는 1,000 ㎍/mL의 농도에서 볶음처리를 하지 않은 속과 껍질추출물에서도 63.9, 56.8%의 낮은 생존율을 보여 옻나무는 사용한 암세포 중 대장암세포에서 강한 암세포성장 저지활성을 나타내었다. The inhibitory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pith and peel roasted at 170, 200 and 220℃ on lipid peroxidation, formation of DPPH free radicals and growth of four human cancer cells such as HepG2 (liver cancer), SNU-1 (stomach cancer), MCF-7 (breast cancer) and Widr (colon cancer) were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cancer cells of hot water extracts of peel were higher than those of pith, and the activities were dose-dependent. The roasting temperature show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cancer cells was in the range of 170~200℃. The lipid peroxidation and formation of DPPH free radicals of hot water extracts of roasted pith and peel were inhibited to 50.9, 56.5% and 79.0, 78.4% at the concentration of 500 ㎍/mL,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roasted pith and peel on cancer cells were in the order of Widr (41.5, 36.0%)>HepG2 (61.5, 44.0%)>MCF-7 (92.0, 69.2%)>SNU-1 (100, 100%)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m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asted Rhus verniciflua Stokes could be an useful natural medicinal plant for colon canc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결명자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하태열(Tae Youl Ha),조일진(Il Jin Cho),성기승(Ki Seung Seong),이상효(Sang Hy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결명자의 에탄올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식이군, 고콜레스테롤 대조군,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결명자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0.25%와 0.5%씩 첨가하여 공급하는 실험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질 함량,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와 malic enzyme 활성변화, 혈청 AST, ALT활성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체중증가량과 식이섭취량은 추출물을 공급한 실험군에서 높았으나, 식이효율은 각 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명자 추출물군의 혈청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유리지방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간장중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은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결명자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서 증가된 간장 지질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장의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와 malic enzyme 활성을 측정한 결과, 결명자 추출물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하였다. ALT, AST활성 역시 결명자 추출물군은 고콜레스테롤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간장 조직중의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결명자 추출물을 첨가함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ssia tora ethanol extract on the lipid levels in serum and liver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normal diet group,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igh cholesterol-0.25% C. tora ethanol extract group and high cholesterol-0.5% C. tora ethanol extract group. After 4 weeks, rats were sacrificed and analyzed the serum lipid profiles, activities of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hepatic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and malic enzyme (ME). It was also determined the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li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weight gains between experimental groups.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were tended to be decreased in C. tora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 cholesterol diet group and slightly increased by C. tora ethanol extract feeding. The contents of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higher in high cholesterol diet group than normal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by feeding of C. tora ethanol extract. Supplementation of 0.5% C. tora extrac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of hepatic G6PDH and ME. Activities of serum AST, ALT and contents of liver TBARS were tended to be increas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and reduced by C. tora ethanol extract supplementation but had not signific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tora ethanol extract may exert a lipid lowering effect in serum and liver of rat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