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은유(Cho Eun Yu),규판(Cho Gyu Pan),김종운(Kim Jo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가 노인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17년 10월 13일에서 11월 21일까지 P 노인대학에 참가하고 있는 72∼78세 노인 24명을 선정하였고, 12명은 실험집 단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 집단이었다. 실험집단의 제공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노래 부르기, 악기 활동, 음악 감상 활동, 지휘 활동을 포함한 12회기 집단 음악 치료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실험 전 대상자들에게 행복감 척도, 사회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노인들의 긍정적 심리 증진을 위해 다양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노인들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하나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senior citize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music therap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 happiness? Second, does the music therap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old people’s sociality? Third, does the music therapy have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24 people aged from 72 to 78 in Busan were sampled. 12 people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2 people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music therapy is only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see the influence it ha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program positively affects senior citizen’s happiness. It can improve the level of happiness of senior citizen. Second,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a great influence on senior citizen’s sociality. It can boost senior citizen’s ability to socialize with others. Third,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t can enhance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in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senior citizen.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rapists to practice a variety of music therapy program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senior citizen’s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 KCI등재

        회상 노래 음악치료가 노인의 웰에이징과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종운(Kim Jong Un),조은유(Cho Eu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회상 노래 음악치료가 노인의 웰에이징과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20년 7월 3일에서 9월 18일까지 H 치매안심센터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67~81세 노인 중에서 24명을 선정하였고, 12명은 실험집단,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회상 노래 음악치료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 집단이었다. 실험집단에 제공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회상을 촉진할 수 있는 노래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12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실험 전에 대상자들에게 웰에이징,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SPSS Ver. 26.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상 노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웰에이징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상 노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상 노래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향후 노인들에게 긍정적 심리증진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 노인들의 웰에이징과 의사소통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miniscence music therapy on well-ag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of senior citizens. Twenty four senior citizens whose ages range from 67 to 81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randomly placed in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each of which consisted of 12 subjects. Participa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treated with the reminiscence music therapy, and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on a waiting list for treatment. The reminiscence music therapy whose music was carefully selected to promote the reminiscence of subjects consisted of twelve sessions. Before the treatment, all participants’ well-ag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were individually evaluated by various tests and the same evaluation was proceeded after the treatm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by SPSS Ver 26.0 to obtain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between pre and post test results.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miniscence music therapy has a great influence on enhancing the well-aging of senior citizens. Second, the treatmen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of senior citizens. Third, the treatment provides positive influences on the enhancement of senior citizens’ self-esteem. This research serves as a comprehensive music therapy model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psychological well-be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steem of senior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