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 학술연구 자료 : 창경궁 오층석탑

        조은경,김시현,이난영,김정임,정원주,김사덕,이태종,오정현,조하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1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8 No.4

        창경궁 오층석탑은 창경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내 명정전 북쪽, 환경전歡慶殿과 함인정涵仁亭 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2013년 창경궁의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사업을 추진하면서 이 석탑을 포함한 5개의 석조문화재에 대한 실측조사를 실시하고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그러나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 이 창경궁 오층석탑의 양식과 현황, 건립과 이건 연혁 등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중앙박물관에 일제강점기 창경궁 오층석탑 관련 자료의 확인을 요청하는 동시에, 특히 4층이상의 부재 등은 신 부재로 수리된 것으로 기 확인된바, 석탑의 보존현황, 양식적 특징 등에 관한 전문 학술조사연구의 수행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협의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창경궁 오층석탑에 대하여 석탑의 부재 구성과 기법에 대한 건축적 조사, 문양 및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조사, 보존현황과 암석 특징에 대한 조사에 대하여 건축문화재연구실, 미술문화재연구실, 보존과학센터가 수행하기로 협의하였다. 우선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분야별 조사연구 항목을 설정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가설 비계 설치 전석탑의 지반에 대한 조사를 위한 물리탐사를 실시하는한편, 분야별 현황 조사 및 사진 촬영 등이 이루어졌으며 현황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야별 조사연구 결과에 대한 여러 차례의 논의를 통하여 비지정문화재인 창경궁 내 오층석탑에 대한기초적인 학술조사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야별 조사자 및 원고 작성자는 다음과 같다. 국립문화재연구소건축문화재연구실 조은경, 김시현미술문화재연구실 이난영, 김정임, 정원주보존과학센터 김사덕, 이태종, 오정현, 조하진

      • KCI등재

        자계서원 영귀루 붕괴 원인 분석 연구

        조은경,박찬민,김지서,박성호,유혜란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6

        In general,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beam element i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has a very high safety factor as the area is comparablybig so it is very rare for the building to collapse in a sudden. Recently the Younggwilu(Pavilion) in Jagyeseowon(TraditionalPrivate School) was collapsed from its natural state without any external load factors like the earthquake or typhoon. This study isanalyzing the present state of the collapsed Younggwilu building and examining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upper structure and roofload. Structural analysis of the building was undertaken with the collected data of the investigation for the before and after state of thebuilding and analysis of the collapse condition. The cause of collapse could be indicated as supporting failure of the front right columnand the instability of the upper roof load distribution. This research could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structural stability of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s for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일반적으로 전통 목구조의 주요 구조 부재 단면은 상부 지붕 하중에 의한 안전율이 상당히 커서 갑작스런 붕괴가 발생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나 최근 자계서원 영귀루는 지진, 태풍 등과 같은 외부 하중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붕괴되었다. 본 연구는 자계서원 영귀루의 붕괴 현황을 분석하고 상부 하중에 대한 구조내력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영귀루의 붕괴 전후 현황 조사 및 붕괴 양상을 분석하고 구조해석을 통해 전면 우측부분의 기둥 지지력 상실과 상부 지붕 하중의 불균형 등에 의해 전체 구조물의 붕괴되었을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건축문화재 등 전통 목구조의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 KCI등재

        자동 텍스트 요약을 위한 문장 축약 방법론 개발 -세종 구문 분석 말뭉치를 활용하여-

        조은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3

        Our society is getting more and more documents that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amount of articles to be read online is getting more and more. Our society is getting more and more documents that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amount of articles to be read online is getting more and more. In this situation, it is impossible to read the contents of a large amount of text data in a short time and to grasp important contents. Therefore, the demand for summariz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s a core content is expected to grow more and more. Under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at deriving a method for document summarization as ‘the sentence level reduction for automatic text summarization’ which is an application of Korean information process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First, we built a seed sentence compression corpus by marked tags in the expression to be deleted. Second, we extracted possibly deleted syntactic structures to create a priori syntactic compressing rul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반성 열성 범저감마글로불린혈증 1가계 3환자의 Bruton's Tyrosine Kinase 유전자 변이 및 임상 양상

        조은경,송창화,박정규,백영종,유혜영,이재호,황태주,국훈,Jo, Eun-Kyeong,Song, Chang-Hwa,Park, Jeong-Kyu,Baek, Young-Jong,Rhu, Hye-Young,Lee, Jae-Ho,Hwang, Tai-Ju,Kook, H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임상적으로 XLA로 진단받고 현재 치료 중인 한가족 3명 환아의 가계를 대상으로 말초혈액 단핵구의 Btk 단백질 발현과 Btk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환아 말초혈액 단핵구의 Btk 발현도를 항 Btk 항체를 이용한 유세포계측을 통해 분석하고 PCR-SSCP 및 직접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Btk 유전자 변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유세포 계측 및 PCR-SSCP에 의하여 가계내의 환자 3명 및 보인자 4명을 확인하였으며 환아들의 단핵구의 Btk 발현도를 조사한 결과 2.7% 미만으로 건강인에 비해 매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유전자 변이 분석 결과 Btk 유전자 exon 3에서 점돌연변이($T{\rightarrow}C$)가 발견되어 61번째 아미노산의 치환이 일어난 과오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한 유전형을 지닌 3명의 환아들은 임상적으로 매우 다양한 표현형을 나타내었다. 특히 환아들의 혈청 IgG level이 낮을수록 임상 양상은 심한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적으로 XLA로 진단된 환아와 가족에 대한 항 Btk 항체를 이용한 유세포계측 및 PCR-SSCP 방법은 XLA 환아 및 보인자의 진단에 매우 유용하며 신속하게 적용될 수 있는 기법으로 생각된다. 또한 분자유전학 기법을 이용하여 환아의 유전자 변이를 검색한 결과 Btk의 PH 도메인 내 한개의 과오돌연변이를 검색하여 XLA를 최종 확진할 수 있었다. Purpose : X-linked agammaglobulinemia(XLA) is an immunodeficiency caused by abnormalities in Bruton's tyrosine kinase(Btk), and is characterized by a deficiency of peripheral blood B cells. We studied the cytoplasmic expression of Btk protein and analyzed the Btk gene i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from two siblings and one cousin with XLA, as well as additional family members. Methods : Btk protein expression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Isolation of the coding sequence of the Btk gene was performed by amplification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echnique. Sequence alterations were screened by the 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SSCP) method and characterized by standard sequencing protocols. Results : Cytoplasmic expression of Btk protein in monocytes was not detected in three patients with XLA. In addition, Btk protein analysis clearly showed cellular mosaicism in monocytes from four obligate carriers, findings further supported by SSCP. A single base pair mutation(T to C) in Btk-exon three, which encodes the PH domain, was identified in four XLA patients. A diagnostic sequencing analysis was established to detect heterozygotic pattern in 4 carrier females. Furthermore, we found significant clinical heterogeneity in individuals with the same gene mutation. Conclusion : The implicating genetic alteration provided valuable clues to the pathogenesis of XLA in Korea and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suggested as a useful tool for rapid detection of XLA patients and carriers. The present study has identified a genetic mutation in the Btk coding region and demonstrated heterogeneity in clinical manifestations among patients with the same mutation. A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found to be informative in establishing a deficiency of Btk protein in both patients and carriers and is recommended as a frontline procedure in the molecular diagnosis and work-up of X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