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투(歌鬪)의 시조 수용 양상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가투(歌鬪)는 20세기 초반에 만들어져 널리 성행했던 놀이도구이다. 가투가 만들어진 1920년대는 근대화를 위한 선진 문물의 수용이 가속화된 시기이며, 3.1운동에 의해 새로운 민족 담론이 형성되던 시기였다. 또한 문단에서는 시조부흥운동이 일어나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로서 시조가 자리 매김하던 시기였다. 우리의 전통시가인 시조는 이러한 다양한 배경 속에서 가투에 수용되었다. 1922년 불선사본 〈가투〉, 1927년 신민사본 〈정선 화가투〉, 1935년 한성도서본 〈시조노리〉의 동일 시조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신민시본 〈정선 화가투〉와 한성도서본 〈시조노리〉는 시조 수용에 있어 어느 정도 동일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시조부흥운동을 주도했던 국민문학파의 입장이 적극적으로 개입했기 때문이다. 또한 각 가투의 시조 수용에 있어 각 제작사들은 대중의 기호를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각 가투에 수용된 시조들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살펴보면 후대에 만들어진 가투일수록 애정을 주제로 한 시조가 강호를 주제로 한 시조보다 더욱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1920년대 이후 가투놀이의 연행 주체가 부녀자층으로 변화하면서 그들의 기호가 반영된 결과이다. 또한 가투에는 망국에 대한 회고나 나라에 대한 근심, 왕에 대한 충성심을 주제로 한 일군의 시조 작품들이 일정한 비율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당대인들의 고민이 반영된 것이다. 시조를 단지 시조창의 사설로만 인식하고 있던 대중들에게 가투는 시조를 문학의 한 장르로 인식하게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이러한 가투의 역할은 우리의 시가사 속에서 정당하게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The Ga-Too was created and became well-known as a game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1920's was the period that advanced cultures, and things from many other countries were accepted rapidly for modernization. There also was the 3.1 movement which contributed to making lots of discussions about people. In addition, there was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that contributed to Si-Jo becoming a typical genre of literature. Therefore one of our traditional forms of poetry, Si-Jo, had been accepted into the Ga-Too with these many backgrounds. Looking into the aspects of this acceptance by Bool-Sun-Sa-Bon 〈The Ga-Too〉 in 1922,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in 1927, Han-Seong-Do-Seo-Bon 〈Si-Jo-No-Ri〉 in 1935, Shin-Min-Sa-Bon 〈Jeong-Sun-Hwa-Ga-Too〉 and Han-Seong-Do-Seo-Bon 〈Si-Jo-No-Ri〉, they all have such similar opinions as they accepted the same Si-Jo. Reasons being that the school of people which contributed to the movement for the Resurrection of Si-Jo influenced the acceptance of Si-Jo in the Ga-Too. And publishers reflected people's tastes when they chose selections of Si-Jo. Classifying all Si-Jos in the Ga-Too according to titles, there are more Si-Jos about love than those about nature, especially among the recent Ga-Too as the Ga-Too players had been changed to women and their tastes were reflected when the Ga-Too accepted Si-Jo. There are numerous Si-Jos about the recollection of colonialization, worries about the country and loyalty to kings in Ga-Too. These are results of reflection of the people's agony about colonialization. Originally, people considered Si-Jo as an explanation of the Si-Jo-Chang, but the Ga-Too had made Si-Jo into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res. Consequently, the Ga-Too should be evaluated correctly throughout the History of Poetry.

      • KCI등재

        조선 후기 영남지역 가사에 나타난 道統구현 양상과 그 의미-「黃南別曲」과 「黃山別曲」을 중심으로

        조유영(Jo Yu 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3 No.-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are written by Gwanbin Lee(1759~?) and Heebae Yoon(1827~1900). These two authors lived in Yeongnam area. Hwangsan-byeolgok is adaptation by Hwangnam-byeolgok . Adapt is a literary custom for Gasa in late Joseon dynasty so researching adapt-consciousness is important between original and different edition. The Aouthor of Hwangsan-byeolgok is not Heebae Yoon but Youngseob Yoon was lived in Sunsan area in 19th century. Then, Youngseob Yoon and Gwanbin Lee lived same area, so it is possible to guess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 Hwangnam-byeolgok and Hwangsan-byeolgok are quite similar but they have lots of gap on descript Dotong. The special situation of Yeongnam Noron is reflected in Hwangnam-byeolgok . However Hwangsan-byeolgok is reflected Yeiongnam Nam-party’s Dotong-consciousness. Accordingly, the difference of descript Dotong is an evidence which is could know Youngseob Yoon’s adapt-consciousness was made in same community’s Cultural effect.

      • 누에 품종에 따른 눈꽃동충하초 배양 특성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김현복 ( Hyun Bok Kim ),김기영 ( Kee Young Kim ) 한국잠사학회 2015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3 No.2

        동충하초는 곤충의 몸속에 들어가 버섯이 발생하는 곤충 기생성 약용 버섯으로 세계적으로 인체에 유용한 활성물질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누에를 이용하여 인공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누에 품종에 따른 동충하초의 생산성에 대한 연구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려품종 3품종(백옥잠, 금옥잠, 대성잠)과 특수품종 2품종(연록잠, 골든실크)을 이용하여 눈꽃동충하초의 재배조건과 특징을 조사하였다. 눈꽃동충하초 균주(P. tenuipes)에 대한 감염율은 금옥잠이 가장 높았으며, 백옥잠, 대성잠, 골든실크, 연록잠 순으로 감염율이 높았다. 눈꽃동충하초를 재배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어두운 장소에서 번데기 당 약 4 cm2의 재배밀도로 22oC ± 1를 유지해 주는 것이었다. 또한 우리는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동충하초의 수요가 있을 때 마다 수시로 재배할 수 있는 연중재배 기술을 개발하였다. 연중재배 방법은 먼저 동충하초균에 감염된 번데기 체내의 수분함량을 자연건조로 3% 이하로 낮추고, 이를 진공포장 후 4oC 이하에서 보관하는 3단계의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렇게 저온에 보관되어 있는 감염번데기는 언제든지 물에 침지하여 번데기 내의 함수율을 원래대로 복원 시킨 다음 최적 재배조건에서 재배하여 동충하초를 생산할 수 있게 함으로 연중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동충하초 재배농가가 누에 품종 중 금옥잠을 이용하고 연중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소득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re is no specific data on Entomogenous fungus (DongChungHaCho) in accordance with the silkworm varieties, despite of very high value industrial use as functional materials at domestic and abroa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lture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ecilomyces tenuipes in 3 silkworm cultivars and 2 specific silkworm breeds. Infection rate of P. tenuipes for silkworm varieties was the highest Kumokjam, followed by Baegokjam, Daeseongjam, Golden silk, Yeonnokjam in that ord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were as follows: dark condition, 22oC ± 1, and about 4 cm2 in planting density per pupa. Also, we have developed annual production technologies of P. tenuipes. First, in order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fection pupa became 3% or less in the natural condition. Second, the dried pupa must be vacuum-packed and was kept under 4oC. Finally, by restor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pupa and culture in optimal condition, the technique for annual production of the P. tenuipes was achieved.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use of Kumokjam and annual production technique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farm income.

      • KCI등재

        채헌의 구곡시가 창작의 보편성과 특수성

        조유영(Jo, Yu-young)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 후반 문경지역의 향촌사족이었던 채헌의 석문구곡 경영과 구곡시가 창작의 배경을 살피고, 그가 지은 가사체 구곡가인 〈석문정구곡도가〉와 구곡시인 〈석문구곡차무이도가운〉을 시적 대상의 표현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의 이원적 구곡시가 창작이 보여주는 보편성과 특수성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채헌의 석문구곡 경영은 석문정 건립과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기존의 산양구곡을 새롭게 확장 재편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새롭게 확장 재편된 석문구곡 경영의 중심은 석문정이었으며, 이곳에서 이루어진 동류집단의 모임에서는 시가 지어졌고, 노래가 불려졌다. 채헌의 구곡시는 형식적인 면에서 당대의 일반적인 차운 구곡시와 큰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반면에 채헌의 〈석문정구곡도가〉는 연속체 율문의 가사 형식을 처음으로 차용하여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조선후기 구곡가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채헌의 구곡시는 석문구곡 각 곡의 특징적 경물을 중심으로 각 곡의 풍경을 압축적으로 담아내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비해, 그의 구곡가는 확장적 서술을 통해 작자의 다양한 미적 체험이나 복합적인 공간 인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또한 채헌의 구곡시가 개성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서정성을 확보한다면, 구곡가는 보편화된 정형구를 활용하여 형상화의 공식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들 작품들은 한문과 국문이라는 표기 수단의 차이만큼 시적 대상의 표현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채헌은 석문구곡 경영에서 발생하는 개인적 차원의 미적 체험과 감흥은 구곡시로, 집단적 차원의 지향의식과 심미형상은 구곡가로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이중적 창작 태도는 시와 노래라는 갈래적 정체성과 향유방식의 차이가 만들어낸 결과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ukmungugok management of Che-Heon(채헌) who lived in the MunKyung area in late 18th century. This study compares the object expressions of his poems 〈Sukmungugokchamuidogawun(石門九曲次武夷棹歌韻)〉 and his lyrics 〈Sukmunjunggugokdoga(石門亭九曲棹歌)〉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his creation. Management of Che-Heon"s Sukmungugok is clos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Sukmukjung. But the set Sukmungugok and poetry of Gugok seem to have actively projected an aesthetic sense of personal taste and arithmetic in his creation also it is believ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eer group in Seokmunjeong. Che-Heon"s poetry of Gugok doesn"t appear to be far difference from usual poetry of gugok. On the other hand, Chae Heon"s 〈Sukmunjunggugokdoga〉 is a work that symbolically shows the chang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point that it is a work created by borrowing the verse form of the continuum verse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poetry of gugok shows the scenery of each song in a compact manner, i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seasonal scenery of "Seomungugok". Comparatively, poetry of Gugok provid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uthor"s extensive aesthetic experience or complex spatial awareness. In addition, if Che-Heon"s poetry of Gugok has gained lyricism through his unique imagination, Song of Gugok differs in that it shows the formalism of the shaping by using the universalized. Che-Heon tried to embody the aesthetic experience and inspiration of the individual dimension in Sukmungugok management as the poetry of Gugok, The group consciousness and aesthetic features implement it as a song of Gugok. These double attitude of is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etry and the song identity of the poem and the way of enjoyment.

      • KCI등재

        <梧臺漁父歌九曲>에 나타난 ‘梧臺’의 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壽軒 李重慶(1599-1678)의 <梧臺漁父歌>는 연시조인 <梧臺漁父歌九曲>, <漁父詞五章>, <漁父別曲前後六章>으로 이루어져 있고, 본고에서는 <오대어부가구곡>을 고찰하였다. 이중경의 오대 은거는 그가 오대의 승경에 매료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隱逸에 대한 그의 열망과 운문산과의 三代에 걸친 인연, 그리고 운문산 일대 강을 중심으로 이어져 있는 전대 선현들의 유적과 그들에 대한 숭모 의식에 의해 이루어졌다. <오대어부가구곡>은 작가가 은거하고 있는 오대와 오대 주변을 대상으로 어부의 일상적 삶을 아홉 수의 시조로 형상화하였다. <오대어부가구곡>에서 나타나는 구곡은 탈속적 이상 공간이며, 작품의 화자 또한 오대의 아름다운 산수 속에서 자유롭게 노니는 어부로 표현된다. 이중경은 주변의 사물을 바라봄에 있어 당대 사림들과는 다른 시각을 보여준다. 특히 그는 쓸모없는 것으로 보이는 사물들에서 ‘生意’를 발견하거나, 대상의 내면이 아닌 외면의 자연스러움을 중시하는 독특한 인식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결국 한낱 초목도 ‘造化의 生意’가 있듯이 자신의 구곡 경영과 구곡가 창작도 나름의 가치 있는 행위로 그가 인식했기 때문이며, 이러한 그의 세계 인식이 <오대어부가구곡>에도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가 <오대어부가구곡>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것은 선현들의 ‘구곡’이 아닌 자신이 실제 경영하고 있는 오대이며, 그 속에서 유유자적하게 살아가고자 하는 그의 지향의식이었다. Lee Jung-gyeong(李重慶)‘s <Odaeeobuga(梧臺漁父歌)> is made up three poems stanzaic sijo and this paper contemplate <Odaeeobugagugok(梧臺漁父歌九曲)> Lee Jung-gyeong secluded himself in Odae, because he be fascinated by Odae"s beautiful scenery. However the reason of hidden side of the retire are desire for seclusion, the relationship with Mt, Unmun in three generation, and reverence for ancient sages and their remains in river near in the Mt. Unmun. Lee Jung-gyeong write nine sijo poem <Odaeeobugagugok>, and at the poem he embody fisherman"s daily life who were lived in Odae area. <Odaeeobugagugok>"s gugok is ideal hermitage however it more close real scenery, and a poetic narrator embodied lazy fisherman in beautiful scenery. Lee Jung-gyeong has unique perspective. Particularly finding will to live in junks and consider the appearance"s naturalness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inner side. This is he realized his gugok operate and write gugok poem are valuable act, like as plants and trees.

      • KCI등재

        淸臺 權相一의 淸臺九曲 경영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9 No.-

        Gwon Sang-il exceptionally hold high government position in Nam party in Yungnam. However, he was devote himself to Neo-Confucianism and cultivate his mind in his life. He retired to hermitage in ‘Jondoseowa’(尊道 書窩) and ‘Cheongdae-Gugok’(淸臺九曲). There are symbolic area of his Confucian scholar s life, and subject matter of <journal of Jondoseowa>(尊 道書窩記), <Cheongdae-Gugok poetry>(淸臺九曲詩). Generally gugok poetry has detachment from reality spatial awareness, but ‘CheongdaeGugok’ has associate from reality spatial awareness cause of there is Gwon Sang-il s meatspace and he aimed idealize real space. Nam party in Yungnam include Gwon Sang-il actively fulfill NeoConfucianism selfcultivation-discourse by managing gugok. It is the result of accept wholeheartedly Toegye s landescape awareness. They build a cultural norm from gugok-culture, so gugok-culture could be extende in Yungnam area. Also Nam party in Yungnam set gugok centrally clan village is important feature. They tried position in country and establishment of country aristocrat identity by build ‘Jeongsa’(亭舍) and managing gugok on classic of ancient sages retirement, and enjoy gugok-culture which are writing gugok poetry and creating gugok painting. These are typical case of gugok-culture of Yungnam in late Joseon dynasty. 본고에서는 18세기 중반 문경지역 금천을 배경으로 淸臺 權相一(1679~ 1760)에 의해 경영되었던 淸臺九曲과 <淸臺九曲詩>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권상일은 조선 후기 영남 남인으로는 이례적으로 영달한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평생 진퇴를 거듭하면서도 학문과 수양에 더욱 매진했 으며, 흔들리던 퇴계학맥의 입지를 재구축하고자 노력했던 성리학자였다. 그리고 그가 만년에 은거했던 尊道書窩와 청대구곡은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유자적 삶의 상징적 공간이었다. 청대를 포함한 조선 후기 영남 남인들은 구곡 경영을 통해 유가 수양론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그들의 학문적 종장이었던 퇴계의 산수 인식을 적극적으로 계승한 결과였다. 그리고 그들은 구곡문화를 하나의 문화규범으로 만들어 나갔기에, 영남 지역의 구곡문화가 이후 더욱 확대 되어 나갈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영남 남인들은 향촌의 세거지를 중심으로 구곡원림을 설정하고, 구곡문화를 향유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조선 후기 영남지역 남인들의 삶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조선 후기 독점화된 정치권력의 구도에 의해 향촌에 고립될 수밖에 없었던 이들은 흔들리는 향촌 내의 입지와 사족 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현들의 은거를 전범으로 삼아 세거 지에 정사를 건립하고 구곡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구곡시 창작이나 구곡도 제작 등을 통해 구곡문화를 더욱 활발히 향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청대의 존도서와 건립과 청대구곡 경영은 이러한 조선 후기 영남 지역 구곡문화의 표지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그가 경영한 청대구곡은 주자의 무이구곡 경영을 전범으로 삼아, 구곡이 가지는 유가적 이상 공간으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향촌에 구현하고자한 결과였다. 조선조 사대부들이 창작했던 다수의 구곡시에 형상화되는 구곡은 일반적으로 현실과 유리된 이상향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청대구곡시>에 형상화된 공간은 현실과 밀착된 공간으로 구현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결국 청대가 청대구곡 경영을 통해 꿈꾸었던 이상향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 공간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며, 또한 자신이 살아가는 현실 공간의 이상화가 청대 권상일이 꿈꾸었던 청대구곡이었음을 그의 구곡시를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조선 후기 향촌사족의 이상향 지향과 그 의미

        조유영(Jo, Yu-young)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1 No.-

        이관빈(李寬彬)(1759~?)의 〈황남별곡(黃南別曲)〉은 서사-본사-결사로 이루어진 가사 작품이다. 본사는 본사1과 본사2가 병렬적으로 구성된다. 본사1은 작자가 황남구곡을 찾게 되는 원인이 되고, 본사2는 그 결과로 이어짐으로써, 이들은 작품 내에서 인과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방식은 작자의 산수 유람과 구곡 찾기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 작품이 조선 후기 향촌사족인 이관빈의 이상향 찾기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발견한 황남구곡이라는 이상향은 산수가 가진 실체적 아름다움보다 성리학적 이념을 체현할 수 있고 투사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러한 까닭으로 〈황남별곡〉의 구곡은 산수라는 실체는 사라지고 성리학적 이념에 경도된 관념적 이미지로만 형상화되고 있다. 그가 찾은 〈황남구곡〉은 사족으로서의 자기 정체성 찾기라는 과정 속에서 발견된 이상향이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향촌 사족의 이러한 이상향 찾기는 결국 사대부 계층의 분화라는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향촌사족으로서의 내적 갈등과 고뇌가 만들어낸 결과였다. 그들은 성리학적 관념의 강한 견인력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이상향 지향에는 현실인식의 관념적 내면화가 그 기저가 되었다. This study suggested the meaning of aiming for utopia of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 for Gugok imagery that examine descriptive aspect 〈Hwangnambyeolgok(黃南別曲)〉 was written by Iee gwan-bin(李寬彬, 1759~?) 〈黃南別曲〉 be composed of prologue-interlude-epilogue, and interlude has juxtaposition of interludeⅰ & interludeⅱ. Interludeⅰ is cause of visiting 〈黃南別曲〉 and interludeⅱ is result of the visiting, so we know these two paragraphs are established by causality. Therefor these descriptive aspect and composition function as propose Sollen of landscape sightseeing and finding Gugok. Ultimately 〈黃南別曲〉 show finding utopia process for 李寬彬 who is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黃南九曲’ was found 李寬彬’s landscape sightseeing is not ontic picturesque of landscape but area of embody and project his Neo-Confucianism ideology. This being so 〈黃南別曲〉’s Gugok is embodied ideational image too much Neo-Confucianism ideology without substance landscape despite utopia of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 〈黃南別曲〉―the utopia was he found― is the area was discovered process on finding identity. In this country aristocrat in late Joeson dynasty’s finding identity was the result of change of society in late Joeson dynasty which is internal differentiation of gentry class, and country aristocrat’s inner conflict • anguish who was living in the change.

      • LED광을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생산

        조유영 ( You Young Jo ),권해용 ( Haeyong Kweon ),이광길 ( Kwang Gill Lee ),이희삼 ( Heui Sam Lee ),여주홍 ( Joo Hong Yeo ) 한국잠사학회 2014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52 No.1

        최근 다양한 파장의 LED를 이용한 작물의 생장과 기능성 물질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ED 조사가 눈꽃동충하초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청색LED, 적색LED, 형광등 아래에서 눈꽃동충하초를 재배하여, 자실체 형성율, 자실체 개수, 자실체 길이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적색 LED 광에서 재배한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발생율은 100%에 달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형성된 자실체의 개수가 37%까지 증가하는 등 자실체 무게, 자실체 길이 등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청색 LED광에서는 오히려 생육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눈꽃동충하초 재배 시, 적색 LED를 조사한다면 농가의 소득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The effects of LED irradiation on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rops are actively being studie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 LED on the cordyceps cultivation because Cordyceps is very difficult to find in the wild and to cultivation. The synnemata formation rate of P. tenuipes was 100% under red LED. Also weight, length, and number of the synnemat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e expect that the red LED treatment will be of help to improve farm income.

      • KCI등재

        채헌(蔡憲)의 <석문정구곡도가(石門亭九曲棹歌)>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그 의미

        조유영 ( Yu Young Jo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4 어문론총 Vol.60 No.-

        <Seokmunjeong-gugokdoga> is a Gasa-style Gugokga-gye Poetry, was written by Chae Heon, who was Jaejisajok lived in Moongyeong in 18th century. <Seokmunjeong-gugokdoga> has sequential organization of space and it shows the go up-stream movement from the first gok to ninth gok. In this <Seokmunjeong-gugokdoga>``s organization of space had been realized by Gugokga-gye Poetry``s way of equential organization of space. This poetry has different organization of space and awareness of the scenery compare with previous generation``s Gugokga-gye Poetry. In the organization of space to construct the first gok is Nongcheongdea and ninth gok is Seokmunjung emblematized Chae Heon and his teacher Gwon Sang-il connected with waterway. The first, second, third, sixth, and ninth gok has a feature of the artificial sceneries constitute central space. This artificial sceneries configurate poet``s particular intention which are the meaning of reverence or bring honor to his family and so on in respective areas <Seokmunjeong-gugokdoga>``s organization of space and awareness of the scenery show orientation that poet seek stability from others base on he realize identity by value of academic line and family. Then set up his hermitage Seokmungugok on waterway pivot on Seokmunjeong is he try to sublimate real space to ideal space, and <Seokmunjeong-gugokdoga> is the Gugokga-gye poetry on his expression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