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컨버전스 환경에서 디자인 기회탐색을 위한 정황정보 매핑 활용 연구

        조유석 ( Yoo Seok C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컨버전스(Convergence) 환경의 도래로 제품의 기능, 콘텐츠, 서비스 등이 다양한 형태로 통 합, 융합되는 현상은 최근 산업뿐만 아니라 경제, 기술, 문화 등 전 분야에 걸쳐서 나타나는 트렌드이다. 특히 컨버전스에 기반을 둔 제품들이 보여주는 기술과 서비스의 통합적 수 용은 사용자의 요구뿐 아니라 사용 행태나 사용 공간 등 정황적 요소까지 반영하여 제공하게 되면서 디자인 방법론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들의 결합으로 인해 제품의 사용경험이 확대되면서 나타나는 제품과 사용자간의 상호작용 및 사용자 환경이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정황정보 매핑’ (Contextual usage mapping)을 통해 분석하고, 이를 디자인 기회를 발굴하는 프레임 워크 (Frame work)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컨버전스 및 사용자 경험을 확대하는 제품의 진화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제품 경향을 살펴보았고, 제안된 ‘정 황정보 매핑’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품 사용경험이 형성되면서 정황정보가 구성되고 활용 되는 개념 역시 고찰해보았다. 또한 컨버전스의 실패사례(정황정보가 무시된 제품)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제품 디자인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coming of converged environment, phenomenon converging as various forms with the product``s features, content, services was occurred as a trend appearing across all sectors such as the economy, technology, culture as well as recent industry.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acceptance showing by products based on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and services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design methodology over to reflect contextual factors with the needs of users as well as behavior or the use of space.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product and user as well as product Impact of user environment appearing through expanded product`s experience due to a combination of different functions is analyzed through ``contextual usage mapping`` and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sing as design framework to find design opportunity. to this end, I looked into the trend of products and expanded user experience on the basis of prior studies of convergence and user experience. in addition, concrete example was proposed based on analysis of user`s content consumption patterns and interac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contextual mapping`` proposed. also, through introducing a case of convergence failure, the role of specific guidelines which product design can be applied are expected to do.

      • KCI등재

        이문화(異文化) 식품의 저장,보존양식이 반영된 도구에 관한 연구

        조유석(Yoo Seok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대중은 일상적으로 문화라는 개념을 쉽게 표현하고받아들인다. 하지만 생활양식의 거울인 문화는 인간집단이 가지는 지역, 기후, 관습, 음식, 사회, 경제 등 환경적 영향을 받아 오랜 기간 몸에 익혀진 것으로 자칫 보편적 해석을 하면 오해되어지기 쉽다. 특히 의식주(衣食住)와 관련된 도구는 그 문화 안에서 시대가바뀌고 수많은 정보와 기술의 발전과정에서도 그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며 지속되어 왔다. 본 연구는 문화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이문화(異文化) 지역의 생활양식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화적 다양성을 다룬 문헌조사와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문화권 사용자간 인식의 격차를설명하였고, 인도지역의 식문화를 주제로 특화된 식품저장패턴을 구체화하였다. 연구 결과, 인도 식문화에 기반을 둔 의미 있는 행동관찰 결과로서 ‘식품 저장기간 및 저장빈도 분석’과‘냉장고내 식품별 배치현황’을 도출하였고, 신규 디자인 기회영역으로 ‘인도특화 식품저장 레이아웃’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이문화간 인식의 격차를 해소하고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현지화 디자인 전략을 수행하여야 하는 디자이너들에게효과적인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blic usually accepts and expresses the notion of culture easily. but a culture being a mirror of lifestyle has been acquired for a long time through influence of human environment such as region, climate, habit, food, society, economic and so on. and it’s easy to get a misunderstanding if it makes an interpretation universally. especially, tool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has been sustained adapting an environment changed, though times have changed and technology has developed with a lot of information within the sam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data for design development reflected a lifestyle of different culture region on the basis of the variety of culture.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clarify a gap of perception of cross-cultural user by theoretical study having a preceding study about a design reflected cultural background and a literature reviews related to cultural variety. and then India-specific food storage pattern is materialized as a theme of food culture in India. As a result, ‘analysis of food storing period and frequency’ and ‘status of placing a food into the refrigerator’ was derived from a result of behavior observation meaningfully. and ‘India-specific food storage layout’ was proposed as a new design opportunity. This study reduce ‘gap of perception’ between other cultures and be expected to be an role of effective guideline to designers doing localized design strateg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design reflecting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이문화(異文化) 사용자의 제품인식에 따른 지역특화 디자인 연구

        조유석(Yoo Seok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세계화(Globalization)를 통한 시장개방은 산업사회이후 형성된 각국의 물리적, 이념적 경계를 허물게 하였다. 이는 과거와 달리 국가별 경계가 사라진 것을 의미하며, 그로 인하여 지구촌 소비자 기호의 유사성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젊은 소비자를 주요고객으로 하는 스포츠용품 등 패션아이템이거나 IT, 모바일 기기 등 현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범주에 해당되는 분야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실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생활가전제품(Home Appliance)은 오히려 현지화에 대한 요구가 강하고, 그에 부합하지 못한 글로벌 기업들의 현지화 실패사례를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문화(異文化)권 사용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 밀접한 도구로써 가구나 생활가전제품 등지역특화가 필요한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1)디자인 개발에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화의 본질적 성격과 구조, 인지스타일 등 문화적 배경에 기반을 둔 이문화 사용자의 인식, 인지, 지각 등을 다룬 문헌조사와 문화의 보편성및 다양성에 관한 선행연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문화권 사용자의 인식 차이를 분명히 하였고, 또한 국내외 기업들의 성공과 실패에 관한 사례를 통해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디자인의 특성을 발굴하고, 적용 가능하도록 구체화하였다. 연구 결과, 이문화 사용자를 위한 문화기반 제품의 특성과 환경에 관한 3요소로서 ``외적상황요소``, ``맥락적단서``, ``의미적경험``을 정의하였다. 이를 제품과 이문화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인하고 정의함으로써 지역특화 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용자가 경험하는 이문화간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제품의 환경적 특성을 구체화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디자인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현지화 요구에 부응해야하는 기업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인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open market through Globalization broke down the physical and ideological boundaries formed after the industrial society. Unlike the past, the regional boundaries disappear and global similarities in consumer preferences will be arisen. however, this is a young and cutting edge business mostly having less need for Localization such as fashion items or IT and mobile devices. but rathe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and air conditioner related to real life is having great need. And failure case of global company about Localization is to be found easily in the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data based on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user for regional-specific development of Glocalization Design such as furniture and home appliances as a tool related to real life.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clarify a gap of perception of intercultural user based on cultural background such as a structure of culture, cultu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style by literature search and theoretical preceding study. in addition, it``s to materialize an attribute of design reflected cultural background through failure and success cases of global companies. As a result, 3 elements ``elements of external circumstances``, ``contextual cues``, ``meaningful experiences`` are defined as three elements of product attribute based on culture. these elements defined by interaction between product and intercultural user can be applied for development of regional-specific design. A theoretical foundation of Glocalization Design is provided by an clarification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in order to reduce ``gap`` between other cultures experiencing by user. Also it will be expected to be effective guideline for corporate designers who has to meet the demands of Localization.

      • KCI등재

        경험적 가치에 기반 한 기업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유연적 활용에 관한 연구

        조유석 ( Cho Yoo Seok ),변상태 ( Byun Sang Ta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뉴노멀과 저성장시대의 기업 디자인 전략으로써 소비자가 경험하는 가치에 기반을 둔 디자인 아이덴티티의 체계를 구체화하고 유연적 디자인 아이덴티티 요소를 정의하는 것이다. 경험적 가치에 대한 이해을 위하여 소비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경험하고 지각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선행 기억(기존에 익숙하거나 안정된 것)에 대한 파악이 소비자의 적극적인 정보 습득과 수용을 하게 만드는 단서가 된다는 것을 고찰하였고, 지각된 경험적 가치가 드러나는 사례를 통해 기업의 슬로건보다는 ‘실제로 하고 있는 일’이 브랜드의 이미지로 각인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변적 사업 환경의 변화 등 저성장과 뉴노멀로 대표되는 새로운 시장질서로 인해 아이덴티티를 구축해가는 경향과 유형이 변화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자동차나 IT제품과 같은 단일 품목 제품군에서 구현되고 있는 형태나 칼라, 재질 등 외형적 요소만으로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가는데 대한 한계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유연적 일관성이라는 개념을 기초하여 아이덴티티 개선방안으로써 ‘디자인 아이덴티티 통합관리 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기업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거버넌스 활동의 주관부서 역시 구분하였다. 또한 디자인 아이덴티티 통합관리 체계 안에서 유연적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3가지 아이덴티티 요소로써 시각적 요소, 사용경험 요소, 의미적 요소를 새롭게 제안하였고, 유연적 활용방안에 대한 실증적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이해수준과 활용가능성을 높였다. 향후 연구과제로 소비자의 선행 기억에 대해 문화권 혹은 사업영역 등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범주화하게 되면, 소비자의 원만한 지각을 돕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명확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factors of flexible design identity by refined system of design identity based on experiential value of consumer as corporate design strategy in the stage of low growth and new normal. In order to understand experiential value, the former memory was considered by analysis of process for consumer to experience and perceive products and services and it was proven as a clue to make consumer to accept information. And through examples showing perceived experiential value, it was checked that actual experience to use products and services make image of brand in consumer``s mind. Due to the new market order as represented by low growth and new normal including change of variable business environment, change of trend and type of identity was understood. And limits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shape, color or material are being implemented in a single item family like car or IT products was revealed. Accordingly, th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design identity was proposed as improved way of identity on the basis of Flexible Fit concept. The running department having governance activities also was classifie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corporate. And three kinds of identity factors (visual factor, experience factor and semantic factor) were proposed newly to make a flexible design identity in this proposed system. And it raised the possibility and level of understanding through introduction of objective samples for flexible utilization. As future research, categorization of former memory separated by culture or field of business is necessary. Because it will be helpful to provide proper experience based on an amicable perception of consumer.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build clear desig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