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언어학은 시민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조원형(Cho, Wonhyong) 한국수사학회 2018 수사학 Vol.0 No.32

        Text linguistics is a “practical science” that can serve as a basis of civil education, because it aim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of the text participants (i.e. text producers and receivers). In this study I discuss precisely how text linguistic theory can help civil education. In Germany, the “Beutelsbach consensus (Beutelsbacher Konsens)” has been adopted as a basic principle of political education, which is the core of civil education. The Beutelsbach consensus will be also helpful for Korean civil education, and text linguistics can make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embodiment of that consensus because students can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especially in writing, by adopting text linguistic theories. Both literacy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ecessary because they are not only preconditions of civil education, but also important parts of the “text understanding education.”

      • KCI우수등재

        국회 상임위원 사·보임에 대한 헌법학적 일고찰 - 비지배(non-domination) 자유와 배제(exclusion)를 기준으로 -

        조원용  (CHO, WonYong)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8 No.4

        효율성과 추진력이 독임제 의사결정 기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국회를 200인 이상의 국회의원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개별 국회의원이 ‘자유위임’이라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지역구민, 정당, 이익단체, 자본 어디에도 기속되지 않고 스스로의 양심에 따라 직무를 행하여 ‘공공의 이익’을 발견하거나 결정하라는 헌법의 결단이다. 만약, 정당 기속이 개별 국회의원의 자유위임적 지위보다 우선한다면 국회 운영의 효율화를 위하여 정당만 선출하고 정당 지지만큼의 직무 권한만 행사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그렇지 않다면 국회의원의 자유위임적 지위는 헌법 제46조 제2항에 의거 국가이익 우선하는 것 이외의 무제한의 자유를 향유하여야 한다. 문제는 국회의원의 자유가 무엇이며 자유의 침해는 무엇인가에 대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자유를 간섭을 기준으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라는 두 가지 축으로 판단하면 간섭 없는 지배를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스키너와 페팃의 비지배(non-domination) 자유라는 제3의 자유론을 원용하여 판단하였다. 공화주의자에게 자유란 간섭의 부재가 아니라 지배의 부재이기 때문이다. 지배 없는 자유를 통하여 교섭단체(정당)과 개별 국회의원의 자유위임적 지위의 갈등 상황은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문제는 우리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임위원회 사 보임 문제는 간섭이냐 지배이냐의 문제를 판단하기에 부끄러운 저급한 문제라는 것이다. 교섭단체의 소속 국회의원의 상임위원 개선 행위는 위원의 의사에 명백히 반한다면 직무에의 완벽한 배제를 구성한다. 그간 학계의 연구와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국회 상임위원의 사 보임 문제에 대하여 사 보임의 다양한 형태를 고려치 아니하고 교섭단체의 권한 안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순한 태도를 취해왔다. 그러나 상임위원의 사 보임은 사 보임 ‘시기’와 교섭단체 소속 상임위원의 ‘의사’에 의해 구분하여 판단해야 한다. 의회제도의 근간이 개별 의원의 자유위임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교섭단체(정당)에 기속되는 관행을 언제부터인가 용인하고 있다. 국회의원의 자유를 근본적으로 침해하여 정당에 예종케하고 심지어는 개별 국회의원이 헌법과 국회법에 의거 부여 받은 법률안의 심의 표결권을 교섭단체가 강제로 빼앗아 상임위원의 직무에서 배제해도 교섭단체의 자율권이라는 보기 좋은 표장지로 상처를 감싸 놓을 뿐이다. 2001년 사 보임 사건 이후 2003년 국회법 제48조 개정 이후 상임위원의 강제사임(해임)과 강제보임 문제는 지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재현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제라도 국회 상임위원 사임과 보임의 판단에 개별 상임위원의 ‘의사’라는 판단 기준을 세워 대의제의 근간인 대표자의 자유위임적 지위를 흔드는 교섭단체와 정당의 월권을 막아야 할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National Assembly consists of more than 200 lawmakers, despite its significant drop in efficiency and drive compared to the single-term decision-making body, is the constitutional decision to find or determine “public interests” by individual lawmakers performing their dutie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onscience without being left behind by the enormous power of “free commission.” If the discipline of a political party takes precedence over the free-standing status of an individual lawmaker, only the parties should be elected and the parties can exercise only as much power as party support to streamline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therwise, lawmakers" free-standing status should enjoy unlimited freedom other than prioritizing national interests under Article 46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If the party"s bonds take precedence over the free delegated status of individual members of parliament, it is necessary to elect only political parties and to exercise their duties as politically as possible in order to streamline parliamentary operations. Otherwise, the free delegation of members of parliament shall enjoy unlimited freedom other than the priority of state interests under Article 46,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 criterion on what is freedom of lawmakers and what is the violation of freedom. Judging freedom from two axes of passive freedom and active freedom on the basis of interference cannot explain governance without interfer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used the third theory of liberty of non-domination freedom of Skinner and Petit. For Republicans freedom is not the absence of interference but the absence of domination. Most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free delegates" positions of bargaining bodies (partys) and individual parliamentarians can be explained through freedom without control. The problem is that the issue of the standing committees in our society is the lower level of matters, whether it is interference or domination. Improving a standing member of a member of the bargaining body"s parliament constitutes a complete exclusion from the job if it is clearly against the member"s intention. Academic research and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taken a simple stance on the matters of the standing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without regard to the various forms of private and visible, within the authority of bargaining bodies. However, the appointment and appointment of standing members should be judged separately by the timing and the doctors of the standing members. Despite the fact that the basis of the parliamentary system is the free commission of individual lawmakers, we have tolerated the practice of engaging in negotiation groups (party) for some time. A fundamental violation of the freedom of lawmakers, forcing them to obey political parties, and even the right of individual lawmakers to deliberate and vote on bills granted under the Constitution and National Assembly Law is forcibly taken by the negotiating group, thus covering the wound with a visible cover of the negotiating group"s autonomy even if it is excluded from the standing committee"s duties. Since the revision of Article 48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in 2003 following the 2001 resignation and appointment of a standing member, the issue of forced resignation and forced appointment of a standing member has continu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recreated in the future. Even now, the government should set a standard for judging individual standing members" “will” in the judgment of the resignation and appointment of standing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to prevent the far-reaching authority of negotiation groups and political parties that shake the free and delegated status of representatives, the basis of the representative system.

      • KCI등재

        사상 : 중국해양사(中國海洋史)에 있어서의 동남(東南)아시아 지역명칭변천사연구(地域名稱變遷史硏究)

        조원일 ( Won Il Cho ),김종규 ( Jong Kyu K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2 동양문화연구 Vol.12 No.-

        중국 해양발전사에서는 동남아시아 지역을 ``남해’ 여러 나라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특히 원·명 시기에는 ``동양’·``서양’으로 구분해서 불려지다가, 청대에 들어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귀국한 사람들이 그곳을 ``남양’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자 곧 광범위하게 ``남양’이라고 하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남양’이라고 하는 명칭은 1950년에 들서야 점차 동남아시아로 바꿔 부르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에 대한 중국에서의 호칭에 관한 사항은 중국의 해양발전사의 측면에서 조명할때 비로소 체계적으로 파악되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고대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들 사이에 진행되었던 국제통상이 대부분 해상을 통해서 이루어졌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중국정부에서 매우 중시하고 있는 지역이며, 영유권 문제로 주변국들과 첨예하게 대립을 하면서 크고 작은 마찰을 일으키고 있는 남중국해 지역이 과거에 어떠한 변화와 발전의 과정을 거쳐 ‘동양’과 ‘서양’으로 구분이 되었었으며, 또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남양’이 동남아시아지역을 통칭하는 의미로 변화되었는지에 대하여 본문에서는 좀 더 심도있는 분석을 했다. In Chinese maritime history, ``Southeast Asia`` had been called ``many nations of the South sea``. During the Yuan Dynasty & the Ming Dynasty, this region was divided into ``the East sea`` and ``the West sea``. And in the Qing Dynasty, name of ``the south sea`` largely used, because many people who returned to their country from the region called this ``the south sea``. This name gradually was changed to ``Southeast Asia`` after 1950. The change is only able to understand from recognition on Chinese maritime history. Because the most international trade between the ancient chinese and nations of ``Southeast Asia`` was done at sea. Currently, the chinese government is noticing the ``Southeast Asia``, acutely having a confronta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is paper`s point follows; Why did ``south china sea`` be divided into ``the east sea`` and ``the wes seat`` in the Yuan Dynasty & the Ming Dynasty?

      • KCI등재

        흰쥐 간조직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목초액의 영향

        조원기(Cho Weon-Ki),최진호(Choi Jin-Ho)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2

        시판 목초액 A (원액 35%)을 사용하여 음용수에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한 다음, CD 계 수컷 흰쥐 (150 ± 10 g) 에 2개월 동안 조제사료와 함께 자유 음용케 하여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로서 수퍼옥시드 라디칼 (O₂?), 히드록시 라디칼, 과산화수소 및 제거효소로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SOD),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 (GPx) 및 카탈라아제 (CAT)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 획분에서는 O₂?의 생성량은 대조군 대비 12~14%의 O₂?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각각 11.0~15.0%의 O₂?의 생성량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간조직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 · OH 생성량이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12~20%의 · OH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 로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7-20%의 'OH 생성 억제효 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2~15%의 유의적인 H₂O₂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마이크로 솜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20~22%의 상당히 유의적인 H₂O₂의 생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M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5~25%나 유의적인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Cu/Zn-SOD 활성은 대조군 대비 11~16%의 유의적인 SOD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17%의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간조직의 마이크로솜획분의 GPx 활성은 대조군 대비 10~14%의 유의적인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간조직의 미토콘드리아획분의 CAT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14%의 유의적인 CAT 활성 증가효과가 나타났고, 간조직의 시토졸 1획분에서는 대조군 대비 15~27%의 CAT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간조직 중의 활성산소의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방어시스템으로서 활성산소 제거효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여 노화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on oxygen radicals and their scavenger enzymes in the liver of Cri/Bgi CD rats (7 rats per group). Male rats were fed a basic diet prepared in our Lab., PL-0 (Control), PL-1, PL-25, PL-50 and PL-75 groups were prepared to be 0%, 1%, 25%, 50% and 75%with distilled water using pyroligneous liquor 05% of Choa Co. Ltd.), and were administrated orally for 8 weeks. Superoxide radical contents in liver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12-14%, 11-15%,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ydroxyl radical content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markedly decreased to 12-20% and 17%,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ydrogen peroxide content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bout 15-12% and 22-20% in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Mn-SOD and Cu/Zn-SOD activities in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were remarkably increased to 15-25%, 11-1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GPx activities in mitochondria and microsom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AT activities in mitochondria and cytos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o 12-14%, 15-27%, respectively, in the liver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administration orally of 25 and 50% pyroligneous liquor may effectively inhibit the formation of oxygen free radicals, and also scavenger enzyme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 through the administration orally. (Korean J Nutrition 40(2): 111~117, 2007)

      • KCI등재

        혈청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목초액 (Pyroligneous Liquor)의 영향

        조원기(Cho Weon-Ki),최진호(Choi Jin-Ho) 韓國營養學會 200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 No.1

        목초액 투여가 생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아제약에서 개발하여 특허출원한 목초액에서 조제한 시판 목초액 (원액 35% 상당)을 사용하여 0%, 1.0%, 25.0%, 50.0%, 75.0%가 되도록 조제 (control, PL-1, PL-25, PL-50, PL-75 groups)하여 실험용 조제사료로써 8주 동안 자유 음용시킨 다음, 목초액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목초액 투여에 의한 체중변화 및 사료 섭취률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렇지만, 혈청 중의 중성지질의 영향은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20.5% 및 19.5%의 매우 유의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목초액 PL-75 투여군도 대조군 대비 12%의 유의적인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의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 대비 79.3% 및 83.7%로서 20.7% 및 16.3%의 매우 유의적인 총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20.3% 및 16.9%의 유의적 LDL-콜레스테롤의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36.4% 및 25.5%의 HDL-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목초액 PL-25 및 PL-5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37.0% 및 50.0%로 매우 유의적인 동맥 경화지수 (AI)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액의 장기간 투여는 중선지절,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HDL-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AI)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목초액의 장기투여는 성인병의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liquor on lipid metaboilsm in serum of SPF/VAF Cri/Bgi CD rats. Male CD rats were fed basic diet prepared in our Lab., and PL-0 (control), PL-1, PL-25, PL-50, PL-75 groups were prepared with pyroligneous liquor (35% of Choa Co. Ltd.) of 0%, 1 %, 25%, 50% and 75% in purified water per day for 8 weeks. Body weights and food intakes almost did not change in these five groups, and triglyceride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20.5% and 19.5%,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markedly decreased (20.7%, 16.3% and 20.3 %, 116.9%,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but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bout 36.4% and 25.5% in serum of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therogenic indices were also remarkedly decreased (63.0%, and 50%, respectively) in these PL-25 and PL-50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g term administration orally of pyroligneous liquor in 25 to 50% may inhibit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through improving of lipid metabolism of lower TG & LDL-cholesterol and higher HDL-cholesterol, and lower AJ. (Korean J Nutrition 40(1): 24~30, 2007)

      •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기기 연구

        조원식(Won-Sik Cho),김광성(Kwang-Seong Kim),김경호(Kyoung-Ho Kim),황두성(DooSung Hwang)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0

        본 논문에서는 운동시간과 칼로리 소모량, 운동시신체운동정도를 3축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건강밴드를 성계 하였다. 건강관리를 위해 하는 운동은 많은 양의 운동을 하는 것 보다 규칙성 건강을 관리를 해야 한다. 주거환경의 변화가 친환경적으로 되는 지금 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쉽게 집 주변에서 운동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밴드를 설계하여 보다 쉽게 규칙성 있게 도와주는 운동 보조 시스템을 설계 하여 각 운동별로 센서의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측정한 결과 걷기, 조깅, 줄넘기의 3축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은 걷기에서는 X축의 센서의 변화량이 다른 축의 변화보다 변화량이 많이 심하였고, 조깅의 경우 X, Y, Z축의 변화량이 전체적으로 걷기보다 변화가 많았다. 줄넘기에서는 걷기, 조깅과는 다르게 신체의 움직임이 상하로 많이 있는 운동이기 때문에 Y, Z축의 변화량이 X축의 변화량 보다 많이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별 신체의 사용량 측정에 이용이 가능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