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신현민(Hyunmin Shin),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보이는 대학생들이 SNS 중독경향성에 이르게 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지의 여부와 이 변인들 간 최적화된 경로모델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온라인을 통하여 전국의 18세에서 28세 사이의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변인들 간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하고, 경로모형 검증을 위해서 Mplus 7.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경험회피,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 가능한 경로모형의 양상을 비교하여 가장 적합한 모형을 확인한 결과, 연구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내현적 자기애에서 SNS 중독경향성 경로를 제외한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최종모형 분석 결과, 모든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에서 SNS 중독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거부민감성 및 경험회피의 단순 매개효과가 각각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는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통해 대학생 상담의 개입방향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mediated by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Korean college students aged between 18 and 28 nationwide via onlin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1.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ith Mplus 7.0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by comparing the possible path models among the variables, we found that the partial-mediation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n full-mediation model. And, we removed a path from covert narcissism to SNS addiction tendency because the path is not signficant thus the edited model was chosen as the final model. In the path analysis of the final model, all the paths among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ird, there was a singl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path from covert narcissism to SNS addiction tendency, respectively. Fourth, covert narcissism has impact on the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consecutive mediation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direction and necessity of intervention in college student counseling through variables affecting SNS addiction tendency.

      • KCI등재

        초기 성인의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곽인희(Inhee Kwak),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의 구조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각 변인들이 어떤 경로를 거쳐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533명(남 233명, 여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와 MPLUS 8.6(Muthén & Muthén, 1998-2014)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대상경험, 건강한 자기애, 공감지각, 자기위로능력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셋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의 단일매개효과는 없었으나 자기대상경험이 공감지각과 자기위로능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건강한 자기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Kohut의 자기심리학 관점에서 볼 때, 자기대상경험과 건강한 자기애와의 관계에서 공감지각 및 자기위로능력이 과정 변인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건강한 자기애를 형성하기 위해 교육현장, 직장, 상담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자기 및 자기대상에게 개입해야 할 방향과 교육자료 및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adults’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that was explored, and which paths each variable formed healthy narcissism through.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19 to 39 across the country, and data of a total from 533 people (233 men and 300 women)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 and MPLUS 8.6 (Muthén & Mutén, 1998-2014)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mpathy, healthy narcissism,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elf-sooth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 narcissism. Fourth, the singl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was found insignificant, however,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elf-object experience through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on healthy narcissism was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Kohut’s self psycholog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perception and self-soothing ability play the role of procedural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bject experience and healthy narcissism. Therefore, in order to form healthy narcissism, the direction to intervene in various scenes such as education site, workplace, and counseling, and the need to provide educational materials and programs were confirm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Jiyoung Kim),조용주(Yongjoo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501명(남 247명, 여 254명)의 자료를 온라인 방식으로 2021년 6월 1~30일까지 수집하였고, 변인들 간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SPSS 25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Mplus 8.6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부와 모의 공감,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자비 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부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모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공감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자비를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father's and mother’s empathic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by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n online survey sampled a total of 501 students (247 men and, 254 women), enrolled in undergraduate university program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Data was collected online form 1 June to 30 June 21 2021,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Mplus 8.6.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of university students, paternal empathy and maternal empathy,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variables. Second, emotional clarity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empathy, and resili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hird,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mother's and resili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self-compass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empathy and resilience, but it did not have the sam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resilience.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 and mother's empathy and resili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were sequentially double mediated to affect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university students'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the factors that influence resilience.

      • KCI등재

        부모공감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

        이혜진(Lee Hyejin),조용주(Jo Yong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부모공감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과 인지적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07명을 대상으로 부모공감 척도, 자기개념명확성 척도, 인지적유연성 척도,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부모공감의 하위요인 중 공감적정서반응과 과민정서반응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를 각각 별개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정서반응 및 과민정서반응과 자기개념명확성, 인지적유연성 대안 및 통제, 학교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났으며,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개념명확성의 단일매개효과와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단일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대안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공감적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과민정서반응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단일매개효과와 자기개념명확성 및 인지적유연성 통제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소년기 학생들에게는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으로 고민하고 있는 부모에게는 자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문제 상황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부모 스스로가 자녀에 대한 자신의 정서반응을 인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부모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 개인의 인지적유연성 대안과 인지적유연성 통제 능력을 함양하고 확장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mpathy and adolescents’ school-life adjustment. Method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of 707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using the parental empathy inventory, self-concept clarity scal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and school-life adjustment scale. In particular, this study set the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empathy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 the self-concept clarity and the alternative and control of cognitive flexibility as integrated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4.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pathic and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self-concept clarity,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and control, and school-life adjustment. Secon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bu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appeared,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was showed. Third, there was no sing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 eac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s school-life adjustment, and also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them was not showed. Four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ic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Fifth, both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were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cessive emotional reaction and their children s school-life adjustme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resource for finding solutions for adolescent students who appeal of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and for parents who are struggling with their children s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ill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will be able to help them have a new point of view about the problem situation.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parent education so that parents themselves can recognize their emotional responses to their children, and to develop practical programs that can cultivate and expand students individual cognitive flexibility alternatives and cognitive flexibility control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