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시 공간에서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pp.171-175)

        조영희,이승권,최이권,김재경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월

        전시 공간에서 전시 제공자는 자신의 마케팅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하고 관람객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를 원한다. 또한 전시 관람객은 자신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분야의 부스를 관람하고 그 분야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어한다. 그런데 전시장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에게 상호 작용적 맞춤 개인화 마케팅 서비스를 관람객의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면 전시 제공자와 관람객 모두의 요구를 충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의도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인지된 정보를 기준으로 해서 선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개개인의 선호도와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기본으로 해서 관람객 개인별로 가장 적합한 전시 참가 업체의 마케팅 정보나 부스 정보를 관람객이 소유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는 지능형 개인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 KCI등재

        한국 성인 남성에서 음주와 AST/ALT 비의 연관성

        조영희,김종성,김성수,정진규,윤석준,김현영,배윤경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7 No.2

        Background:The aspartate transaminase (AST)/alanine transferase (ALT) ratio increases with alcohol consump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ST/ALT ratio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and predictive power of AST/ALT ratio for heavy drinking in Korean men Methods:In 2015, 830 men with no history of disease or medication affecting liver function values were selected. Using 14 g of alcohol as the standard glass, odd ratios (ORs) of AST/ALT ratio over 1 among the drinking group were compared with the non-drinking group by multiple logistic analyses. Screening of heavy drinkers was conducted according to both NIAAA and Korean guidelines. Using AST/ALT ratio >1,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s, negative predictive values, positive likelihood ratios, negative likelihood ratios and odds ratios were investigated. Results:After correcting for age, body mass index, exercising, and smoking history, ORs (95% confidence interval) of AST/ALT >1 were 1.607 (1.048-2.464) in <8 glasses group, 2.172 (1.160-4.065) in the 14 glasses group, and 3.670 (2.218-6.053) in the >14 glasses group. When AST/ALT >1 in the drinking group,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s, negative predictive values, likelihood ratios (LR)+, LR- and OR according to NIAAA guidelines, were 57.2%, 52.7%, 23.2%, 76.8%, 1.21 (1.04-1.41), 0.81 (0.67-0.98), and 1.49 (1.05-2.01), respectively. By Korean guidelines, these values were 55.2%, 55.3%, 33.7%, 66.3%, 1.24 (1.03-1.36), 0.84 (0.72-0.98), and 1.40 (1.04-1.89), respectively. Conclusions:Healthy male ad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isk of AST/ALT >1 and drinking amount compared to the non-drinking group. Use of the AST/ALT >1 in combination with other blood markers to predict excessive drinking is advisable. 연구배경: 과음은 간질환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 중에 하나로 간 기능검사의 변화를 일으킨다. AST/ALT 비는 과음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한국 남성에서 음주량에 따른 AST/ALT 비와 AST/ALT 비의 과음 예측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2015년 충남대학교병원 종합검진센터에서 검진을받은 남성 중, 간 기능 수치에 영향을 주는 질병력 및 약물복용력이 없는 환자 8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음주량은알코올 14 g을 표준잔으로 하였고, 주당 8잔 이하, 8잔 초과14잔 이하, 14잔 초과 음주군으로 나누어 AST/ALT 비가1을 초과하는 교차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혼란변수들을 보정하여 비음주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AST/ALT 비가 1을 초과하는 경우 NIAAA와 한국 기준의 과음을 선별하는데 있어서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양성우도비, 음성우도비,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결과:AST/ALT 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령, BMI, 운동여부, 흡연량을 보정한 후 AST/ALT 비가 1을 초과하는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는 음주군에서 8잔 이하 음주군에서 1.607 (1.048-2.464), 8잔 초과 14잔 이하에서2.172 (1.160-4.065), 14잔 초과의 경우 3.670 (2.218-6.053)이었다. 음주군에서 AST/ALT 비가 1을 초과할 때 NIAAA guidelines 기준의 과음을 선별하는데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양성우도비, 음성우도비, 교차비는 57.2%, 52.7%, 23.2%, 76.8%, 1.21 (1.04-1.41), 0.81 (0.67-0.98), 1.49 (1.05-2.01)를 보였다. Korean guidelines 기준의 경우 각각 55.2%, 55.3%, 33.7%, 66.3%, 1.24 (1.03-1.36), 0.84 (0.72-0.98), 1.40 (1.04-1.89)을 보였다. 결론: 무증상의 건강한 성인 남성에서 비음주군과 비교하여 음주군에서 음주량이 증가함에 따라 AST/ALT 비가1을 초과할 교차비가 증가하였고, AST/ALT 비가 1을 초과할 때 과음을 예측하는데 있어 다른 혈액 마커와 함께 임상에서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 KCI등재
      • KCI등재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to Apply into Fermented Dairy Products

        조영희,홍성문,김철현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1

        This study aimed to isolate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Kimchi and to identify suitable probiotic strain for application in fermented dairy product as a commercial starter culture. A total of 106 (LAB) strains were isolated from Kimchi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nd their phenotypic characteristics were assayed. Four isolates from MRS agar plates were selected and designated as DKL109, DKL119, DKL121 and DKL128. They were identified first by API 50 CHL kit and then 16S rRNA gene sequencing. DKL121 and DKL128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casei, respectively. Other two isolates (DKL109 and DKL119)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o estimate their applicability in dairy products,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acid and bile tolerance, cold shock induced cryotolerance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determined. There was wide variation in ability of strains to acid toler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ile tolerance, cold shock induced cryotolerance within selected strains. DKL119 and DKL121 showed the highest resistance to acid and bile and the highest β-galactosidase activity, respectively. When these two strains were used for yogurt preparation as a single starter culture, their viable cell counts reached to 1.0×109 CFU/mL. Lactobacillus plantarum DKL119 showed faster acid development than commercial starter culture. Also storage trials at 10oC showed that the viability of these strains was retained over 15 d. With these results, it was indicated that probiotics isolated from Kimchi can be used in yogurt manufacturing as a starter culture.

      • KCI등재

        근현대에 있어서의 접사적 자음형태소의 변천의 일례

        조영희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0 일본연구 Vol.13 No.-

        복합어기(複合語基)로서의 이자(二字)한어와 이미 존재하는 화어(和語)어기,외래어 어기와 결합하는 자음형태소의 접사적용법은,이자한어의 생산이 정점을 지난 명치말기 이후 활발해진 것이며,현대에 있어서도 여전히 생산적이다.본 논문에서는 명치 이후 전후까지의 근현대에 있어서의 접사적 자음형태소의 변천의 일례로 을 나타내는 접사적 자음형태소의 변천에 대해 고찰했다. 分類語彙表 類語例解典 逆引き苑 大言海分類語彙表 日本語逆引き典에서 25의 현대어에 있어서의 을 나타내는 접사적 자음형태소를 추출하여, 대정·쇼와기의 井上英和大典(大正4年) 新英和大典初版(昭和2年) 新英和大典第三版(昭和28年),세 종류의 영화(英和)사전의 역어에서 그것을 포함하는 용례를 수집했다.수집한 용례의 상기 세 종류의 영화(英和)사전의 초출을 조사한 결과,다음의 사실이 밝혀졌다. ① 명치 이후 전후 동안 유일하게 초출어수가 증가하는 접사적 자음형태소는 「員」이다.전후,새로운 직종이 증가하고 그에 종사하는 사람을 나타낼 필요성에 의해 「員」을 포함하는 을 뜻하는 역어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② 초출어수가 일단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人ジン」은,쇼와기에 들어서면서 「人ジン」의 앞에 오는 성분이 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을 나타내는 것으로까지 확대되어,조어기능이 확대되었다. ③ 초출어수가 감소하는 접사적 자음형태소 중에서도 「人ニン」은,그 의미가 로 축소되었고,그 이외의 일반적인 를 나타내는 의미는 「者」에 흡수되어,조어기능이 축소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