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에 나타난 비서전공자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13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2 No.1

        대졸자 취업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져감에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정부에서 실시하는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를 이용하여 비서전공자의 취업관련 변인을 다른 전공과 비교하는 탐색적인 연구를 통해 비서학과의 취업지도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표본으로 2010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 중 전문대학, 여성, 1985년 이후 출생자의 자료로 한정하여, 계열별?전공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전공자의 취업률은 높은 편이며, 대기업정규직 취업과 월평균소득 면에서 취업의 질적 수준도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취업이행효과 및 임금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취업준비행동과 관련한 참여도가 대부분 다른 전공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나, 인턴십이나 직장체험 등과 같은 활동에서는 다른 전공보다 참여도가 낮아서 이에 대해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셋째,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인성, 자격증, 외국어, 외모 등이 높은 편이었으므로 이에 관련한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넷째, 대학 교육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공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학과차원에서 개선이 가능한 교육과정, 전공교수진의 능력, 열의, 수업방식 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변화하는 현장의 요구에 맞도록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이 계속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rns regarding the employment quality of graduates on university,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 to help employment guidance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retarial major and other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hich was officially carried out by government. The sample was confined to 2-year junior college, women, and people who were born since 1985.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mployment ratio of secretarial-majored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majors, as well as the quality of employed persons, too. Seco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which employee"s prepared was higher than others, but the degree of internship participation and the job experience program was not lower than other majors. It was suggested necessity to improve it. Third, factors which were highly recognized to employment by secretarial-majored graduates were human nature, certifications, foreign language ability, and appearance. Fourth, becaus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fessor’ ability, passion, and teaching style was average, they have to improve these and continue to develop curriculum and textbook to match the actual situation.

      • KCI등재
      • KCI등재

        비서·사무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스마트워크 탐색 연구

        조영아(Cho, Young-Ah),이화진(Lee, Wha-Ji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3

        2011년 국가적인 스마트워크 추진노력에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본격화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근무형태와 사무환경의 변화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워크에 관한 탐색적 조사를 통해서 비서·사무연구 및 비서·사무교육에서 향후 적용해 나가야할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 개념과 유형, 비서학에서의 스마트워크 연구, 비서관련학과에서의 스마트워크관련 교육현황을 문헌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비서학에서 스마트워크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비서관련학과에서 스마트워크에 관련한 교육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저자키워드 네트워크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스마트워크 연구동향을 탐색한 결과, 국내 스마트워크 연구는 공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주제로는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스마트폰, 스마트워크센터, IoT, 서비스, 원격근무, 보안, 모바일오피스, ICT’ 등을 저자키워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또한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서비스, IoT, 보안, 모바일’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저자키워드는 다른 저자키워드들과 가장 많이 연구되고, 다른 저자키워드 및 연구로 가장 빠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저자키워드 간의 연결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사무교육에 스마트워크 관련 내용을 적용할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제안하였다. 향후 실제 업무환경을 고려한 현장성 높은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2011, the nation"s efforts to promote smart work did not achieve remarkable results, but in 2020, telecommuting prompted by the COVID-19 pandemic began to take off. Continuous working patterns and changes in the office environment are expected to continue and are not just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of secretary/office research and secretary/office education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on the rapidly expanding smart work.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s and types of smart work, the study of smart work in secretarial studies, and the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smart work in secretary-related departments. An examination of smart work research trends revealed domestic smart work research to be the most commo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most active: smart work, framework, smartphones, smart work center, IoT, service, remote work, security, Mobile Office, and I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pplying smart work-related content to secretary/office education were finally suggested. The contents related to smart work will be reflected sufficiently in secretary and office education and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reflecting a more practical smart work environment.

      • KCI등재

        흔적과 노년의 이야기 정체성

        조영아 ( Young-ah Cho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2

        노년기는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해석의 과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글은 인간실존의 한계를 스스로 극복하고 가능성의 세계를 지향하는 리쾨르의 성찰에 기대어 노년의 문제를 점검하고 치유를 모색하고자 한다. 노년의 문제들은 시간 속에서 생겨난다. 우리는 노화의 과정에서 낯선 자신을 만난다. 신체적인 노화의 흔적들과 함께 더 이상 예전의 내가 아니라는 당혹감, 체험된 시간과 세계의 시간 사이의 격차, 시간 속에서 충돌하는 불투명한 기억들이라는 문제들을 겪게 된다. 노년의 여정에서 ‘낯선 나’와의 조우는 자신과의 거리두기로 이어지고, 이는 해석학과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소격화는 해석학의 전제이다. 노년의 자아가 타자화된 자신을 보며 소격화의 계기를 맞는 일은 위기 이자 반성을 통한 자기이해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것은 텍스트의 소격화가 비판의 계기인 점과 동일하다. 시간과 함께 타자화되어가는 자신을 자각하고 낯선 자신과 거리두기가 일어나는 노년에는 정체성 재정립이 요청된다. 리쾨르는 의식의 직접적인 자기이해는 불가능하기에 언어를 통한 긴 우회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인간은 이야기구조로 세계와 자신을 이해해왔다. 이야기는 시간에 형태를 부여함으로써 시간구조를 이해하게 한다. 그는 일상적인 경험적 시간의 우연성, 불협화음에 이야기 재구성의 질서를 부여하여 조화를 모색한다. 전통철학에서의 동일성이 무시간 적으로 대상화된 실체적 자아를 지칭한다면, 자기성은 행동의 주체로서 시간 속에서 약속을 준수하는 자신의 삶을 이야기함으로써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능동적인 주체성이다. 이 자기성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전유하며 우회적으로 자기를 이해할 수 있는 이야기 정체성이기도 하다. 이는 자신이 누구인지 묻는 노년에게 본고가 제안하고자 하는 정체성이다. Old age is a time when a process of interpretation that can understand and accept one's life is necessary. This article attempts to lean on the reflection of Ricoeur, who is aiming at the world of possibilit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human existence, to seek the problems and healing of old age. The problems of old age arise in time. We meet ourselves as others in the process of aging. With the signs of physical aging, I am now faced with the embarrassment that I am no longer the old, the gap between the time of experience and the time of the world, and the unclear memories. In old age's journey, encounter with ‘strange me’ leads to distance from oneself, which shows the connection with hermeneutics. Distancing is the premise of hermeneutics. It is also an opportunity to connect with the self-understanding through crisis and reflection that the self of old age sees itself as being typified and the moment of distancing. This is the same as the fact that the distancing of the text is the moment of criticism. It is required to redefine the identity in the old age when it becomes aware of oneself that is being typed with time and distance from stranger oneself occurs. Ricoeur believes that a direct detachment of consciousness is impossible and a long detour through the language is necessary. Humans have understood the world and the self in a narrative structure. Stories allow time structures to be understood by giving form to time. Ricoeur seeks harmony by giving the order of reconstructing story to dissonance, contingency of everyday experiential time. If identity in traditional philosophy refers to a substantive self that is temporally targeted, Self-identity is the active subject that makes identity by talking about the life of the person who obeys the promise in time as the subject of action. This self-identity is a narrative identity that allows the story of another person to be appropriated and to understand himself in a roundabout way. This one is the identity that I would like to propose to an old age who asks who he is.

      • KCI등재

        신입여성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의 조절효과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여성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이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의 조절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여성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조사결과 조직사회화 전략 정보탐색행위, 자기유능감이 각각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사회화 전략과 조직사회화 효과성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4개의 가설은 모두 부분채택되어 연구는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에게는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신입사원 교육보다는 개별화된 현장에서의 교육 훈련이 더 효과적인 적응에 도움이 되므로 on-the-job 교육훈련을 통한 사회화를 꾀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둘째,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므로, 스스로 주도적으로 조직 및 업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찾을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자기유능감을 가질 수 있는 교육훈련이 팔요하다. 셋째, 상사와 동료의 관심과 협조 역시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입비서에 새로운 조직에 잘 적응하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위 시사점은 신입비서를 위한 효과적인 조직사회화 전략 수립을 위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and personal dimension through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see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on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of newcomer secretary. In order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1 newcone secretaries and were analyzed to test hypothes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7.0.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uctured and monolithic orientation for newcomers can interfere with adaptation for work group and job of newcome secretaries. Accordingly, individualized on-the-job training will be more effective for secretaries. Second, information-seek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on organization adaptation. Third. assistance and cooperativeness of superior and coworkers also have positive effect of secretary’s adaptation. Finding from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secretaries.

      • KCI등재

        비서학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비서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개인적 변인에 의한 평균차이를 분석하여 비서학 전공 대학생에 대한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전공만족도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학년별 분석에서는 저학년보다 고학년의 전공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전공만족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만족도가 높은 경우의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인식하고 있는 진로장벽 요인 중에서 ‘능력불안(2.57)’, ‘우유부단한 성격(2.55)’, ‘직업정보부족(2.43)’, ‘미래환경불안(2.43)’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이(1.69)’, ‘신체적 열등감(1.72)’은 낮게 나타나서 장벽으로 여기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경우 진로장벽요인이 낮게 나타나 진로장벽을 낮추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셋째, 진로장벽 요인 모두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입증하였으나 이 관계에 전공만족도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가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에는 각각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분석되었으므로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s of career barrier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The theoretical study of each factor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ry review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hypothesis that were formulated according to the study's obj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and 279 vali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satisfaction level were higher compared to middle point. The higher the grade was. the lower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Second, anxiety about ability, indecisive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hortage, and anxiety about future environment was higher than other barrier factors. The lower major satisfaction level was, the lower career barrier was. Third, all factors of career barrier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major satisfaction didn't play the role of a mediating variable with this relationship.

      • KCI등재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비서직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3

        대학에서 비서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생이 비서직에 대해 어떻게 가치평가를 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는 대학 생활 중 전공수업에 얼마나 열의를 가지고 참여하고 몰두하는지 그리고 졸업 후의 진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가진 비서에 대한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서교육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전문대 재학생 512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직업존중감 중 긍정적 인식, 사회적 인정에 관한 변인은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직업존중감 중 부정적 인식은 전공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비서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사회적 인정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정적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비서직의 직업존중감이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전공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비서직으로 취업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직업존중감, 전공몰입 모두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비서관련학과는 비서직 취업률 향상이 학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비서직 직업존중감과 취업의도를 확인하고 그 영향관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서 비서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 바란다. Secretarial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ecretarial jobs is related to their enthusiasm for their major classes and their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To verify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cretarial college students" job-esteem for secretaries on their commitment to their major and their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This study was also aimed at suggesting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for secretarial educati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after receiving a questionnaire from 51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among elements of job-esteem positively affected on major commitment and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negative perception negatively affected major commitment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ployment intenti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secretarial position, while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negative percep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ajor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esteem of the secretary job and the job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firmed the occupational respect and employment intention pertaining to the secretarial position and verifie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job estee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성년자와 성인에서의 안드로겐탈모증의 임상적 차이 분석

        조영아 ( Young Ah Cho ),손형석 ( Hyung Seok Son ),이지수 ( Ji Su Lee ),김진희 ( Jin Hee Kim ),최용범 ( Yong Beom Choe ),안규중 ( Kyu Joong Ahn ),이양원 ( Yang Won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9

        Background: Androgenetic alopecia (AGA) is characterized by terminal hair miniaturization, which progressively decreases hair density and thickness.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role of androgen in AGA have been widely accepted; however, its definite mechanism has not been clarified. AGA may also occur in adolescents, although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ease prevalence have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differences of AGA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Methods: Six-hundred fourteen patients with AGA were recruited and information about age, sex, and family history, comorbidities were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74.5% of adolescents and 66.4% of adults had family history of AGA, with “paternal only” as the most common pattern. A total of 27.3% of adolescents and 44.5% of adults had comorbidities, with seborrheic dermatitis being the most common. Other common comorbidities were acne, follicul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dyslipidemia, hypertension, mood disorder, and diabetes mellitus in adults. A total of 12.7% and 15.0% of adolescents and adults, respectively, had abnormal serum testosterone levels, and 5.5% of adolescents and 7.5% of adults had abnormal serum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levels. Regardless of ag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bnormal testosterone levels was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Conclusion: AGA showed paternal predominance in family history regardless of sex or age, suggesting paternal history as an important factor of AGA. Testosterone and DHEA-S abnormalitie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AGA,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rapeutic effect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hormonal profiles. (Korean J Dermatol 2021;59(9):693∼69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