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탈북주민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영아 ( Young A Cho ),방기연 ( Kee Yeon B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1

        본 연구는 탈북주민을 상담한 상담자들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탈북주민 상담자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탈북주민 상담을 지속적으로 해온 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고 면담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상담자는 자신이 상담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졌다. 탈북주민 상담을 시작하면서 상담자는 낯선 상담주제와 상담환경으로 자신감을 상실하였고 상담의 효과에 대해 불안해했다. 또한 외상 경험을 들으며 대리외상화를 경험했지만 적절한 수퍼비전을 받지 못해 소진을 경험했다. 상담을 통해서 북한 사람이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효과적인 개입능력이 향상됨을 경험했다. 탈북주민에게 신뢰감을 주기 위한 인성적 자질을 쌓으려고 노력하였고, 인생의 경험에 대해 수용하고 회복하는 힘이 늘어남을 경험했다. 또한 상담자 자신의 편견에 대해 예민해지면서 탈북주민에 대해 적극적인 옹호자로 변화되어감을 경험하였다. 연구 결과가 탈북주민 상담과 상담자 교육에 미치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ven counselors` experiences in helping North Korean refugee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Counselors reported having been confused about their roles because they often had to perform roles of teacher, neighbor, and social worker. In helping the refugees, the counselors experienced loss of confidence because of the counseling contents and environment they were not familiar with. Also, they experienced burnout due to role conflicts,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lack of supervision. However, they recognized their own biases about North Koreans, becoming more congruent and accepting about their experiences. As they became more sensitive to their own biases, they became advocates for North Korean refugee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the refugees and counselor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 발현과정

        조영아(Youngah Cho)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성인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적용되어 온 계획행동이론을 모델로 경력관리행동과 계획행동이론의 주요 변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및 의도 간의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성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64명의 설문이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연구 모형의 적합도, 변인 간 직 간접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경력관리행동,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적 구조모형의 직접 경로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며,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의도는 경력관리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경력관리행동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관계에서 의도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는 의도를 매개로 경력관리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근로자의 경력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과 이들의 유기적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력관리행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시키고, 개인 및 조직에게 경력관리행동을 촉진시키고 발현시키는 데 관련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tention of employee. The population of for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 total of 364 surveys was used for analysis. Windows SPSS 18.0 and AMOS 18.0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verify descriptive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research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nferential statistics result concluded the standar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t .05.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intention of employee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Second,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Third, subjective norm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ou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intention. Fifth,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Especially, intention took a crucial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all variables affected career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신입여성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의 조절효과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8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여성신입비서의 조직사회화 전략이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의 조절영향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여성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이용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조사결과 조직사회화 전략 정보탐색행위, 자기유능감이 각각 조직사회화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사회화 전략과 조직사회화 효과성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4개의 가설은 모두 부분채택되어 연구는 유효한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에게는 형식적이고 획일적인 신입사원 교육보다는 개별화된 현장에서의 교육 훈련이 더 효과적인 적응에 도움이 되므로 on-the-job 교육훈련을 통한 사회화를 꾀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둘째, 정보탐색행위 및 자기유능감이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므로, 스스로 주도적으로 조직 및 업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찾을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자기유능감을 가질 수 있는 교육훈련이 팔요하다. 셋째, 상사와 동료의 관심과 협조 역시 조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신입비서에 새로운 조직에 잘 적응하도록 다각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위 시사점은 신입비서를 위한 효과적인 조직사회화 전략 수립을 위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interaction of organizational and personal dimension through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see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on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of newcomer secretary. In order to do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121 newcone secretaries and were analyzed to test hypothes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7.0.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uctured and monolithic orientation for newcomers can interfere with adaptation for work group and job of newcome secretaries. Accordingly, individualized on-the-job training will be more effective for secretaries. Second, information-seeking activities and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on organization adaptation. Third. assistance and cooperativeness of superior and coworkers also have positive effect of secretary’s adaptation. Finding from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that may be useful to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secretaries.

      • KCI등재
      • KCI등재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 비서직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2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0 No.3

        대학에서 비서학을 전공하고 있는 전공생이 비서직에 대해 어떻게 가치평가를 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에 관한 문제는 대학 생활 중 전공수업에 얼마나 열의를 가지고 참여하고 몰두하는지 그리고 졸업 후의 진로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 대학생이 가진 비서에 대한 직업존중감이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서교육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전문대 재학생 512명으로부터 설문을 받아 실증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직업존중감 중 긍정적 인식, 사회적 인정에 관한 변인은 전공몰입과 비서직으로의 취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직업존중감 중 부정적 인식은 전공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비서직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사회적 인정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부정적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둘째, 비서직의 직업존중감이 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전공몰입이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어 비서직으로 취업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직업존중감, 전공몰입 모두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비서관련학과는 비서직 취업률 향상이 학과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비서직 직업존중감과 취업의도를 확인하고 그 영향관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서 비서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며, 직업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되기 바란다. Secretarial major students" perception of secretarial jobs is related to their enthusiasm for their major classes and their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To verify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ecretarial college students" job-esteem for secretaries on their commitment to their major and their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This study was also aimed at suggesting implications that can be used for secretarial educati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after receiving a questionnaire from 512 college student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among elements of job-esteem positively affected on major commitment and intention to work as a secret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negative perception negatively affected major commitment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ployment intention.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the secretarial position, while at the same time minimizing the negative percep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ajor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esteem of the secretary job and the job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firmed the occupational respect and employment intention pertaining to the secretarial position and verified their relationship.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job esteem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KCI등재

        비서·사무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스마트워크 탐색 연구

        조영아(Cho, Young-Ah),이화진(Lee, Wha-Jin)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3

        2011년 국가적인 스마트워크 추진노력에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재택근무가 본격화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지속적인 근무형태와 사무환경의 변화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워크에 관한 탐색적 조사를 통해서 비서·사무연구 및 비서·사무교육에서 향후 적용해 나가야할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 개념과 유형, 비서학에서의 스마트워크 연구, 비서관련학과에서의 스마트워크관련 교육현황을 문헌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비서학에서 스마트워크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비서관련학과에서 스마트워크에 관련한 교육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저자키워드 네트워크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스마트워크 연구동향을 탐색한 결과, 국내 스마트워크 연구는 공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연구주제로는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스마트폰, 스마트워크센터, IoT, 서비스, 원격근무, 보안, 모바일오피스, ICT’ 등을 저자키워드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다. 또한 ‘스마트워크, 프레임워크, 서비스, IoT, 보안, 모바일’은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들 저자키워드는 다른 저자키워드들과 가장 많이 연구되고, 다른 저자키워드 및 연구로 가장 빠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저자키워드 간의 연결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서·사무교육에 스마트워크 관련 내용을 적용할 시사점을 마지막으로 제안하였다. 향후 실제 업무환경을 고려한 현장성 높은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2011, the nation"s efforts to promote smart work did not achieve remarkable results, but in 2020, telecommuting prompted by the COVID-19 pandemic began to take off. Continuous working patterns and changes in the office environment are expected to continue and are not just a temporary phenomenon caused by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should be applied in the future of secretary/office research and secretary/office education through exploratory research on the rapidly expanding smart work.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concepts and types of smart work, the study of smart work in secretarial studies, and the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smart work in secretary-related departments. An examination of smart work research trends revealed domestic smart work research to be the most common in the field of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 The following research topics were most active: smart work, framework, smartphones, smart work center, IoT, service, remote work, security, Mobile Office, and I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applying smart work-related content to secretary/office education were finally suggested. The contents related to smart work will be reflected sufficiently in secretary and office education and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reflecting a more practical smart work environment.

      • KCI등재

        Task Effectiveness and Word Learning in 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조영아 ( Young Ah Cho ),마지현 ( Jee Hyun Ma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연구 Vol.4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sk-induced involvement and word exposure frequency on low-level L2 colleg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ll the groups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types of tasks featuring different task-induced involvement conditions with two levels of word exposure frequency.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within-group design and was devised under multiple treatment sess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involvement load and exposure frequency contribute to better word knowledge gains for long-term as well as short-term retention. No interaction effect is observed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for the different strengths of lexical competence, involvement load, exposure frequency, and time intervention affect learners’ word knowledge for initial and long-term retention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groups performing the task with a higher involvement load show better performance in active recognition word knowledge while the groups under a high frequency of words (four-time) proves to be more effective than those under a singular encounter for both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Dongshin University)

      • KCI등재

        직무중심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사례연구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2

        교육과 직무간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의 개발은 시대적, 정책적 요구에 의해서 전문대학에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개발을 한국연구재단(201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개발한 H여대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환경 및 요구분석, 학과 인재양성유형 설정, 직무정의 및 NCS 분류체계 기술, NCS 체계에 의한 직무모형 설정 및 검증, 교과목 도출,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 NCS와 교과목 연계성 기술, 직무별 교육과정 로드맵 작성의 총 8단계에 거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 환경 및 요구분석의 경우에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빈도분석하였으며, 그 이후의 절차는 내부 전임교원 3인과 외부 산업체위원 4인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 회의를 통해서 논의되고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교육과정을 NCS교육과정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NCS 교육과정의 특징과, 효과적인 비서 교육을 위하여 보완하여야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업무별로 분리된 교과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있도록 비서학 개론의 내용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종합적인 비서업무상황에서의 업무처리능력을 위해서 종합적인 실무연습 과목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외국어나 회계 교과목의 경우에 해당 분야의 기본적 지식을 NCS교과목에서 충분히 교육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보완할 수 있는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ementation advice for developing and reorganizing post-secondary secretarial curriculum in according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Guidelin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2015). The eight development steps are as follows; (1) environment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2) establish the type for training competent individuals, (3) job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NCS category structure, (4) job model setup and testing, (5) selection of subjects (6) creating subject profile (7) describing connection with NCS and subjects, and (8) making training map by job.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CS curriculum and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more effective secretarial education; resulting from comparisons between NCS curriculum and current curricula.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secretarial science subject is of greater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secretarial duties. Furthermore, the subject for total secretarial practice is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readth of secretarial duties Second, the subject for basic knowledge of accounting or foreign languages is need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mproved operation,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

        AHP기법을 통한 전문대학 비서학 교육과정 중요도 분석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계층분석방법(AHP)을 이용하여 전문대학의 비서학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전문가조사를 위하여 교수, 경력비서, 비서과를 졸업한 신입비서의 3그룹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을 설정하고, 각 교육과정을 비서실무영역, 사무정보기술영역, 커뮤니케이션영역, 연관학문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교과목을 나누어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비서실무영역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영역내 교과목의 중요도는 비서실무영역에서는 비서실무실습과 직장예절의 중요도가 높았고, 사무정보기술에서는 스프레드시트와 파워포인트, 커뮤니케이션영역에서는 영어회화와 비즈니스 영어의 중요도가 높았다. 연관학문영역에서는 인간관계론과 경영학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교수진의 인식도가 전ㆍ현직비서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므로, 특히 교수진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직장예절과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이 소홀하지 않도록 주의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외 연관학문분야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은 행정학보다는 경력비서 들이 중요성을 높게 인식한 경영의 각 분야에 대한 편성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전체적으로 실습중심의 교육과정과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교과목이 중요 하다는 점을 입증하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교과목 편성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secretarial curricula in colleges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ree expert groups -- professors. experienced secretaries, and fresh secretaries who majored in secretarial science --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important fields of curricula and subjects. Secretarial practic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ield by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Secretarial Practice Exercise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field. Business Etiquette and Manners was also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ubject in the secretarial practice field. In the field of office skills, Spread Sheet and Powerpoint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English conversation and Business English were important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s and the Principle of Business Management were viewe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subjects in the related secretarial science field. Further, the opinion of the participating professors was different than that of the participating secretaries. In particular, the professors considered Business Etiquette and Manners and Business Communication to be less important subject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rofessors to focus more on these important subjects that would encourage secretarial practice and exercise and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The experienced secretaries considered organization management, marketing, and HRM as more important than other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