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요인에 따른 영아-교사 간 애착 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 차이

        조영아(Cho Young-Ah),김수영(Kim Soo-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와 형성하는 애착 유형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24-32개월 영아 33명과 그들의 보육교사 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영아의 기질과 교사와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교차분석 및 다변인변량 분석으로 자료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기질하위요인 중에서 규칙성, 반응강도, 기분, 지구성, 적응성 요인이 교사와의 애착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접근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영아 기질의 하위요인 중에서 반응강도, 기분, 적응성 요인은 또래 간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활동수준, 규칙성, 접근성, 지구성, 반응역, 주의분산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on differences in the peer interaction and the attachment between toddler and teacher. For the evaluation, the toddler temperament questionnaire(TTQ), peer interaction, and attachment Q-set tests were performed on 33 toddlers under 2 years old and 7 teachers in the S child care center located at D city. The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s and MANGVA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teacher attachment are regularity,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persistence, and adaptability. Seco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toddler temperament affecting the difference In the toddler interaction are intensity of response, positive or negative mood, and adaptability.

      • KCI등재

        직무중심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사례연구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2

        교육과 직무간의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의 개발은 시대적, 정책적 요구에 의해서 전문대학에서는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NCS 기반 전문대학 비서과 교육과정 개발을 한국연구재단(2015)의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개발한 H여대의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환경 및 요구분석, 학과 인재양성유형 설정, 직무정의 및 NCS 분류체계 기술, NCS 체계에 의한 직무모형 설정 및 검증, 교과목 도출, 교과목 프로파일 작성, NCS와 교과목 연계성 기술, 직무별 교육과정 로드맵 작성의 총 8단계에 거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 환경 및 요구분석의 경우에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빈도분석하였으며, 그 이후의 절차는 내부 전임교원 3인과 외부 산업체위원 4인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 회의를 통해서 논의되고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교육과정을 NCS교육과정 이전의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NCS 교육과정의 특징과, 효과적인 비서 교육을 위하여 보완하여야할 내용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업무별로 분리된 교과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할 수 있도록 비서학 개론의 내용이 보강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종합적인 비서업무상황에서의 업무처리능력을 위해서 종합적인 실무연습 과목의 필요성도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외국어나 회계 교과목의 경우에 해당 분야의 기본적 지식을 NCS교과목에서 충분히 교육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 보완할 수 있는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ementation advice for developing and reorganizing post-secondary secretarial curriculum in according with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Guidelin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2015). The eight development steps are as follows; (1) environment analysis and demand analysis, (2) establish the type for training competent individuals, (3) job definition and description of NCS category structure, (4) job model setup and testing, (5) selection of subjects (6) creating subject profile (7) describing connection with NCS and subjects, and (8) making training map by job.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CS curriculum and suggests recommendations for more effective secretarial education; resulting from comparisons between NCS curriculum and current curricula.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secretarial science subject is of greater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secretarial duties. Furthermore, the subject for total secretarial practice is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readth of secretarial duties Second, the subject for basic knowledge of accounting or foreign languages is need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Further study is needed for improved operation, evaluation and quality management of NCS-based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양식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에서 분리된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의 특성

        조영아 ( Young Ah Cho ),한현자 ( Hyun Ja Han ),문희은 ( Hee Eun Mun ),정승희 ( Sung Hee Jung ),박명애 ( Myoung Ae Park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어병학회 2013 한국어병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2년 8월, 우리나라 울산 소재의 강도다리 양식장에서 뚜렷한 증상 없이 강도다리 폐사가 발생하여 그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생충, 세균,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하였으며, 내부 장기에서 균이 순수 분리되어 해당 분리균주의 표현형 및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순수 배양된 균체를 확인하여 계대 배양하여 생화학적 성상과 16S rRNA 유전자와 capsular polysaccharide (CPS)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으로 동정되었다.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와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는 TCBS agar 배지의 균주 배양 유무, 16S rRNA 및 CPS 유전자 분석을 통해 구분할 수 있었다. 실험 균주는 ofloxacin과 gentamycin에 대해서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배양 온도에 따른 발육시험 시 18℃ 및 25℃에서 시험한 다른 균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장율을 나타내었다.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body length 4.4 ± 0.51 ㎝) that became sick during an outbreak of disease at mariculture facilities at Ulsan, Korea in August of 2012,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disease. Diseased fish didn`t show a unique sign, but the oxidase-positive and gram negative rod was isolated from moribund fish. The bacterium was revealed as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piscicida by biochemical analysis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16S rRNA and capsular polysaccharide (CPS) genes. The isolates (AD5) was carrying susceptible to ofloxacin and gentamycin and showed high growth value at 18℃ and 25℃ compared to four other P. damsela strains.

      • KCI등재

        노년의 실존미학으로서 리쾨르의 자기해석학에 대한 연구

        조영아 ( Cho Young A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연구 Vol.- No.66

        우리 사회는 전례 없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노화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감정을 동반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의 각 시기는 누구나 자신에게는 처음의 시간이다. 나이가 든다고 저절로 지혜로워지는 것은 아니다. 나이가 들면 우리는 삶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을 다루는 철학에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반면 우리 사회에서 노년기에 대한 논의는 복지 분야에 집중되어 있기에 보다 풍성한 철학적 담론이 요청된다. 본 논문은 노년이 삶을 예술작품으로 조형함으로써 자존감을 회복하는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리쾨르에 따르면 자기존중은 곧 자기해석이다. 자존감은 자기가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으며 선한 삶을 목표로 심사숙고한 선택을 따를 줄 아는 존재라는 것을 인정할 때 얻어진다. 이는 자신이 선한 삶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윤리적 주체임을 증명하는 일이다. 자기존중은 타자를 배려해야 얻을 수 있기에 타자로 말미암아 만들어지는 자기해석이다. 자기해석과 실천이 따를 때 연륜은 성숙과 확장의 능동적인 과정이 되어 예술로서의 삶을 조형하게 될 것이다. 노년은 많은 사회적 관계들보다는 진정성이 있는 소수의 관계에 집중해야 할 때이다. 친애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은 노년담론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고는 리쾨르의 자기성 형성에 있어서 자기존중과 타자배려의 과정에서 드러나는 조화와 새로움의 생성, 신뢰를 지키는 일관성의 맥락이 실존미학으로 귀결될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노년에게 예술로서의 삶을 제시하고자 한다. Our society has entered an unprecedented age of aging. Continuous aging is accompanied by several negative emotions. Each period of our lives is the first time for everyone. Age doesn’t make us wise on our own. As we get older, we become interested in philosophy that deals with the most essential parts of life. On the other hand, in our society, discussions on old age are concentrated in the welfare field, so a richer philosophical discourse is requested. This paper seeks to find a way to restore self-esteem by shaping life as a work of art in old age. According to Ricoeur, self-esteem is self-interpretation. Self-esteem is gained when one acknowledges that one has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that one is capable of following a well-thought-out choice with the goal of a good life. This proves that you are an ethical subject who pursues a good life. Self-esteem is a self-interpretation created by others because it can be obtained only by considering others. When self-interpretation and practice are followed, experience will become an active process of maturity and expansion, shaping life as an art. Old age is the time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the few with sincerity rather than many social relationships. The hermetic consideration of friendship means a lot in the discourse of old age. This paper aims to present life as an art to the elderly by proving that the context of harmony, creation of newness, and consistency that protects trust in the process of self-esteem and consideration of others can result in existential aesthetics in the formation of Ricoeur’s Self Identity.

      • KCI등재

        Task Effectiveness and Word Learning in a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조영아 ( Young Ah Cho ),마지현 ( Jee Hyun Ma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연구 Vol.4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sk-induced involvement and word exposure frequency on low-level L2 colleg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All the groups were exposed to three different types of tasks featuring different task-induced involvement conditions with two levels of word exposure frequency.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within-group design and was devised under multiple treatment sessions. The findings reveal that involvement load and exposure frequency contribute to better word knowledge gains for long-term as well as short-term retention. No interaction effect is observed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for the different strengths of lexical competence, involvement load, exposure frequency, and time intervention affect learners’ word knowledge for initial and long-term retention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groups performing the task with a higher involvement load show better performance in active recognition word knowledge while the groups under a high frequency of words (four-time) proves to be more effective than those under a singular encounter for both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Dongshin University)

      • KCI등재

        소비자 전시회 참가자 특성에 따른 참여제약과 협상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

        조영아 ( Young Ah Cho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14 MICE관광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constraint and negoti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articipants. Data was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from 404 participants of three consumer exhibitions and was analyzed to test hypotheses by t-test and ANOVA using SPSS 18.0 for windows. As a result of this study, purchasers more highly recognized structural constraints than non-purchasers. Structural constraints factor includes lack of sub-program and experience chance, inconvenience of facility, and confusion of venue. Because purchasers are important people for exhibitors, structural constraints must be improved by exhibition planner. Many constraints factors and negotiation factors were more differ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a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Participation-related characteristics include buying status, type of visit, frequency of exhibition visits per year and type of exhibition. Exhibition planners have to pay attention thes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crease and revitalize exhibition participation.

      • KCI등재

        AHP기법을 통한 전문대학 비서학 교육과정 중요도 분석

        조영아(Cho Young-Ah) 한국비서학회 2009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계층분석방법(AHP)을 이용하여 전문대학의 비서학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전문가조사를 위하여 교수, 경력비서, 비서과를 졸업한 신입비서의 3그룹으로 나누어 조사 대상을 설정하고, 각 교육과정을 비서실무영역, 사무정보기술영역, 커뮤니케이션영역, 연관학문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교과목을 나누어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비서실무영역이 가장 중요도가 높은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영역내 교과목의 중요도는 비서실무영역에서는 비서실무실습과 직장예절의 중요도가 높았고, 사무정보기술에서는 스프레드시트와 파워포인트, 커뮤니케이션영역에서는 영어회화와 비즈니스 영어의 중요도가 높았다. 연관학문영역에서는 인간관계론과 경영학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룹별로는 교수진의 인식도가 전ㆍ현직비서와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므로, 특히 교수진이 중요도를 낮게 인식한 직장예절과 비즈니스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이 소홀하지 않도록 주의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 외 연관학문분야에서 중요도가 가장 낮은 행정학보다는 경력비서 들이 중요성을 높게 인식한 경영의 각 분야에 대한 편성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전체적으로 실습중심의 교육과정과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교과목이 중요 하다는 점을 입증하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교과목 편성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secretarial curricula in colleges b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ree expert groups -- professors. experienced secretaries, and fresh secretaries who majored in secretarial science -- ha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important fields of curricula and subjects. Secretarial practic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ield by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Secretarial Practice Exercise w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for the field. Business Etiquette and Manners was also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ubject in the secretarial practice field. In the field of office skills, Spread Sheet and Powerpoint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nd English conversation and Business English were important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Human Relationships and the Principle of Business Management were viewed to be more important than other subjects in the related secretarial science field. Further, the opinion of the participating professors was different than that of the participating secretaries. In particular, the professors considered Business Etiquette and Manners and Business Communication to be less important subjects. This suggests the need for professors to focus more on these important subjects that would encourage secretarial practice and exercise and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The experienced secretaries considered organization management, marketing, and HRM as more important than other subjects.

      • KCI등재

        미성년자와 성인에서의 안드로겐탈모증의 임상적 차이 분석

        조영아 ( Young Ah Cho ),손형석 ( Hyung Seok Son ),이지수 ( Ji Su Lee ),김진희 ( Jin Hee Kim ),최용범 ( Yong Beom Choe ),안규중 ( Kyu Joong Ahn ),이양원 ( Yang Won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21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9 No.9

        Background: Androgenetic alopecia (AGA) is characterized by terminal hair miniaturization, which progressively decreases hair density and thickness. Genetic predisposition and the role of androgen in AGA have been widely accepted; however, its definite mechanism has not been clarified. AGA may also occur in adolescents, although it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disease prevalence have not yet been fully established. Objective: To analyze the clinical differences of AGA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Methods: Six-hundred fourteen patients with AGA were recruited and information about age, sex, and family history, comorbidities were collected. Results: A total of 74.5% of adolescents and 66.4% of adults had family history of AGA, with “paternal only” as the most common pattern. A total of 27.3% of adolescents and 44.5% of adults had comorbidities, with seborrheic dermatitis being the most common. Other common comorbidities were acne, follicul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adolescents, dyslipidemia, hypertension, mood disorder, and diabetes mellitus in adults. A total of 12.7% and 15.0% of adolescents and adults, respectively, had abnormal serum testosterone levels, and 5.5% of adolescents and 7.5% of adults had abnormal serum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levels. Regardless of ag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bnormal testosterone levels was higher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Conclusion: AGA showed paternal predominance in family history regardless of sex or age, suggesting paternal history as an important factor of AGA. Testosterone and DHEA-S abnormalities were found in patients with AGA, indicating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therapeutic effect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hormonal profiles. (Korean J Dermatol 2021;59(9):693∼698)

      • KCI등재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가 집적된 900 MHz 대역의 RFID 수신단

        조영아(Younga Cho),김동현(Dong-Hyun Kim),김남형(Namhyung Kim),이재성(Jae-Sung Rieh) 한국전자파학회 201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6 No.1

        본 논문에서는 0.11μm CMOS 공정을 이용한 900 MHz 대역의 RFID 통신 수신단을 제안한다. 본 RFID 수신단은 포락선 검출기와 저역 통과 필터, 비교기와 D-플립플롭, 그리고 디지털 블록의 클록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기가 집적된 형태이며, 저전력으로 구동하도록 설계하여 수동 RFID 통신용 태그에 적합하게 하였다. 본 수신단은 종래의 아날로그 데이터 슬라이서가 아닌 디지털 데이터 슬라이서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였다. 클록의 주파수는 1.68 MHz이고, 소비전력은 5 μW이며, 제작된 회로의 크기는 측정 패드를 제외하고 325 μm×290 μm이다. In this paper, a receiver has been developed in a 0.11-μm CMOS technology for 900 MHz RFID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The receiver is composed of an envelope detector, a low-pass-filter, a comparator, D flip-flops, as well as an oscillator o provide the clock for digital blocks. The receiver is designed for low power consumption, which would be suitable for passive RFID tags. In this circuit, a digital data slicer was employe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analog data slicer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clock frequency is 1.68 MHz and the circuit operates with a power consumption as small as 5 μW. The chip size is 325 μm×290 μm excluding the probing pads.

      • KCI등재

        국내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조영아(Youngah Cho),이재은(Jaeeun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이 연구는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국내문헌에서 경험이 어떻게 정의되고 측정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진로관련 경험의 구체적인 내용과 영향요인 및 결과변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Whittemore와 Knafl(2005)가 제안한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2018년 12월 31일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의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진로’, ‘경험’과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을 검색어로 자료를 검색하였고, 연구자가 선정한 기준에 따라 연구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논문을 제외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2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을 다룬 연구들은 대부분 경험을 ‘활동 및 프로그램 참여 행위’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여 유/무와 빈도를 중심으로 경험을 측정하고 있었다. 셋째, 중등단계 학생들의 진로관련 경험은 대부분 ‘진로교육 경험’을 다루고 있었으며, 특히 ‘학교 진로교육 경험’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의 영향요인에는 크게 학교특성, 개인특성, 학습관련 경험,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은 진로성숙도, 자아개념, 목표설정, 학습동기, 직업인식과 같은 진로 관련 태도 및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진로관련 경험 연구에 갖는 함의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education is defined and measured, what is the specific content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and what is the influencing and consequential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in the existing literature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2005)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total 27 articles a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excluding unfit literature for research purposes after searching data based on ‘career’, ‘experience’ and ‘middle school student’ or ‘high school student’ among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KCI Journals until December 31,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approached to experience as ‘activities and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most of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the student in the secondary education measured experience as a status of participation and frequency. Third, the career-related experiences of secondary students were mostly focused on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were found to be especially focused on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chool. Fourth,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characteristics,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rning experience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arents. Lastly,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career such as career maturity, self-concept, goal setting, motivation to learn, and perception of occup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esented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considering the career-related experience of students in second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