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이해 - S대학교 대학원 <경제교육연구> 수업을 중심으로 -

        조영달 ( Youngdal Cho ),이수정 ( Sujeong Lee ),심소현 ( Sohyun Sim ),김지윤 ( Jiyoo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0 경제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탈현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모형을 실천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안적 경제교육의 개념’을 공동으로 구성하는 대학원 ‘경제교육연구’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으며, 수업을 구상 단계, 실천 및 전개 단계, 산출 및 정리단계로 분석하여 단계별 수업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모형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탐색자(探索者, explorer)’로서의 모습을 띠었다. 탐색자로서의 교수자는 수업과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기반으로, 매 상황에 맞는 최선의 기여 방법을 즉시적(impromptu)이고 유목적(nomadic)으로 탐구하는 자이다. 타자에 대한 환대(hospitality)의 태도를 가지고 진리의 미결정성(undecidability)을 인식하는 교수자는 기존 질서를 넘어서는 생성과 탈주를 가능하게 하여 대안적 경제교육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적 지평을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탐색자로서의 교수자’를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에서의 교수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제안하며, 이러한 개념화가 전통적 패러다임에서의 교수자의 역할 개념을 넘어서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ole of ‘instructor’ who practices ’Co-construction of Social Knowledge(CSK)’ reflecting the post-modern paradigm at post-secondary education. ‘Economic Education Research’ class at graduate school, which co-constructs the alternative concept of economic education, was selected as a case and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he class for a semester is consist of ‘the planning stage’, ‘the practice and development stage’, and ‘production and arrangement stage’, and the interaction of the class participants and the role of the instructor in each stag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ole of instructor in CSK was conceptualized as ‘instructor as an explorer’. Instructor as an explorer is a person who does impromptu and nomadic exploration to find the best way to contribute to each situation,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class and the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The instructor, who perceives the undecidability of truth with an attitude of hospitality to others, has contributed to expand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alternative concept of economic education by enabling devenir and fuite beyond the conventional thought.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instructor as an explorer’ as an understanding of the activities of the instructor in the CSK, and expects to aid overcoming the concept of instructor’s role in the traditional paradigm.

      •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학교급 별 교육지원 방안 연구

        조영달(CHO Youngdal),김재근(KIM Jaeguen),, 박윤경(PARK Yunkyung),박선운(PARK Sunu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연구와 실천 Vol.77 No.-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교급 별 교육지원 요구와 현황의 특성을 밝히고, 이에 따른 학교급 별 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학교급 별 교육지원 요구를 파악하였으며, 동시에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지원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학교급 별 지원방안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가 제안하고 있는 바는 다음과 같다. 유치원 급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공동체적 소통과 상호이해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도록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초등학교 급에서는 그 목표는 유치원 급과 비슷하지만, 교육내용에서 언어교육 및 문화교육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학교 제도에서 소통과 상호이해를 더욱 진전시키기 위해 다문화가정 학생들에 대한 학교적응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중학교 급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자아정체성 강화 교육과 일반적 수준의 진로직업교육에 강조점을 둘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급에서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관련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하며, 구체적 수준의 진로직업교육과 관련하여 본격적인 지원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교급 별 차별화된 교육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 학생과 학교교육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demand and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support for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m, it also aims to suggest the educational support pla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For this purpose, analysis of the present educational support program for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conducted. On top of that, analysis of the education support deman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nd investigation on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al support has been conducted as well. Educational support pla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for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the kindergarten level,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are requir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as a member of society.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general objective of educational support plan is similar to that of kindergarten level. But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school adaptation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s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in the frame of school institution, as well as the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general career-education and identity education need to be emphasized. At the high school level, educational support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more detailed career-education, is required. By suggesting these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plan according to school levels,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n society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e step closer.

      • KCI등재
      • KCI등재

        ‘기업의 역할’에 대한 중등 경제교육 프로그램 설계 연구-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조영달 ( Youngdal Cho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6 경제교육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경제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패러다임으로서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을 제안한다.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이란 구성원간의 비대칭적 상호작용 윤리를 전제한 수업공동체 속에서, 협력과 승인을 기반으로 경제지식을 공동으로 구성하는 수업을 의미한다.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을 설계할 때 지켜야 할 원칙이 다음의 네 가지 측면, 즉 수업의 환경, 수업 공동체 내 구성원의 역할, 수업 방법 및 전략, 수업 평가의 측면에 걸쳐 제시되었으며, 구체적인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참여 - 이해와 구상 - 표현과 소통 - 성찰과 모색 - 권한부여 및 승인. 마지막으로 ‘경제지식 공동구성 수업’에 적당한 주제로 중학교 사회의‘기업의 역할’을 선정하고, 이상에서의 이론적 논의에 기반 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as a new teaching and learning paradigm for economic education.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is defined as a pedagogy that generates economic knowledge based on a cooperation and recognition, under the premise of asymmetric ethics among the community members. The study also suggested principles for planning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in the following four areas: (1) Environment of the teaching, (2) Role of the members of learning community, (3) Teaching method and strategy, (4) Assessment. Specific procedures for “Co-construction of Economic Knowledge” could be divided into five stages: participation - understanding and planning -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 reflection and exploration - empowerment and recogni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the topic of the “Role of corporation.”

      • KCI등재

        한국 경제사회 공간의 기업 책임과 인성: “인격적 자본주의”의 제안

        조영달 ( Young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와 자본의 특성에 유의하면서 기업공간의 “인격성”과 “존재의 복수성”을 전제로 그 행동윤리(책임과 권리)를 규명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공간의 인격성과 관계성 논의를 통하여 이론 프레임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그 구체적 행동책임과 권리(기업의 덕목과 인격 역량)를(을) 논의하였다. 또한 여기에 더하여 그러한 행동윤리의 경제사회적 의미를 기업자체의 측면과 경제사회적 측면(자본과 민주주의)에서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의 실현 보장조건으로서 기업 경제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ursues to inquire corporate ethics(social responsibility and rights) and its meaning under the situation of changing capitalism. For this purpose, the study makes a theoretical frame to discuss concre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ights of corporation(4 virtues and 9 personality competences) with the assumptions of “personality in corporation” and “multiplicity of corporate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is, the meaning of this virtues and personality competences was discussed as following aspects; corporate brand power, decreased uncertainty, and increased democratic value. Of course, economic education for corporate and business is necessary condition to come true this proposed ideas.

      • KCI등재

        교원 연수 파견 및 복직 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사회과 파견교사를 중심으로 -

        정영선 ( Young Son Jung ),조영달 ( Youngdal Cho ),이승연 ( Seung-yu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교사교육연구 Vol.56 No.1

        이 연구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사들은 자신의 교과와 교수 학습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대학원 진학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와 대학원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다. 학교는 교수 학습이라는 실제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이며, 대학원은 교수 학습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주로 하는 공동체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격의 공동체를 오가는 경험은 교사로서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가? 이들의 전문성은 향상되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했던 세 명의 사회과 교사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교사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교원 연수 파견 제도의 경험을 통해 교사의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학교와 대학원에서 이들은 각각 교사 정체성, 연구자 정체성을 발전시켜왔으며, 이 둘은 때로는 분리되어, 때로는 상생하며 변화하였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전문성이 교원 연수 파견 제도의 경험을 통해 계발되었다고 생각했지만, 학교에 복귀한 후에는 대학원이라는 학문 공동체에서의 경험이 학교 현장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경우, 복귀한 학교의 현장이 교사 자신의 전문성을 적용할 수 있는 맥락인 경우에 한하여 교원 연수 파견 제도에서의 경험이 교사로서의 삶에 지속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의 교육 정책적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첫째, 대학원 파견 교사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둘째, 학교교육의 개선을 위해 파견교사들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하게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changes by exploring the narratives of three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Graduate School Secondment Program (GSSP). This program functions to help in-service teachers develop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o become leaders among other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our study, the three teachers only regard the GSSP as meaningful and beneficial to thei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if they could employ the knowledge learned in graduate school to teach the students in their schools or to help other teachers in the teacher communities outside their schools. In school cultures that does not tolerate new ideas t graduate school studies, these teachers tended to hide the knowledge they had learned in graduate school, and therefore they have constructed professional identities unrelated to their graduate school experiences. Based on this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GSSP must include a subprogram for connecting its participants to the teacher communities outside schools to encourage its participants to develop a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and become leaders among teachers.

      • KCI등재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 이해: 서울 지역 중·고등학생들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윤경 ( Park¸ Yun-kyoung ),조영달 ( Cho¸ Youngda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4

        As the political polarization of our society intensifies, what position teachers should take when dealing with socially and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in classroom instruction is itself emerging as a controversial issue. Along with this, discussions are being made for the necessity of basic principles that can be applied to deal with issues in school education and to establish specific standard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se social discussions by in-dep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classroom instruction composed by student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xpressed the opinion that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es was necessary and useful, and also presented a positive position on dealing with socially sensitive issues. When the students judged the sensitivity of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ey noted the pros and cons, the political disposi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fact that the students are interested parties. Next, when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class, students preferred discussion method to lecture method in that the discussion is not one-sided, unlike lectures, and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share different opinions. Finally, regarding the role of teachers in the issue class, students suggested that teachers share all different opinions on social and political issues, but not more correct opinions. In addition, students were opposed to the teacher's way of influencing the students to disclose their opinions.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students had expectations for the formation of their own political opinions and concerns that the process could be distorted by teachers in relation to class o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this study, we interpreted that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rooms has the meaning of ‘transformation of classrooms into political spa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dealing with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school class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속 미국 온라인 경제 교육 플랫폼 현황 분석 - AP Classroom 및 EconEdLink를 중심으로

        최윤경 ( Yoonkyung Choi ),조영달 ( Youngdal Cho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 상 경제 교육 현황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두 가지 경제 교육 온라인 플랫폼, AP Classroom과 EconEdLink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기능 차원의 분석과 내용 측면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능 차원에서는 두 가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주요 교수학습 기능과 이 플랫폼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역할 분석에 중점을 두고, 내용 차원에서는 미국 CEE가 개발한 Voluntary National Contents Standard 및 경제 사회 변화 내용 적용에 중점을 두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능적 측면에서 두 개의 경제교육 관련 온라인 링크에서 모두 교육 내용 제공, 학생 관리, 평가, 각종 수업 자료 등을 제공하는 ‘다기능’적 역할이 이루어지며 경제교육 플랫폼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미국 CEE가 개발한 내용 요소들의 반영과 함께 코로나 시대의 내용을 반영한 경제 교육 자료 등 넓은 스펙트럼의 교육 내용 제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두 플랫폼 모두 기능적인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 교육에 끼칠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되며, 앞으로도 시대의 변화에 주목하여 이를 반영하는 경제 교육 분야의 개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exploring the status quo of economics education in the U.S. in post COVID 19 era based on two distinguished online platforms-AP Economics Classroom and EconEdLink. The analysis of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link was based on main teaching and learning tools as well as functional roles for teachers and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spect was based on contents relation with Voluntary National Content Standard provided by CEE and adoption of contents related to changes of economic society. The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the functional aspect, it could be found out that ‘multi-functional’ platforms enable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be engaged in economics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rough various functions provided. Secondly, from the contents aspect, there was a wide-spectrum of contents provision, especially dealing with topics related to current world-wide situations. Overall, it is clear that the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depend on the contexts of society. Therefore, showing interest in new forms of economics education for providing optimized education in this fast changing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제와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박성혁(Park, Sunghyeok),조영달(Cho, Youngdal),성경희(Sung, Kyunghee),박선운(Park, Sun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배경의 교사들이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언수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적합한 연수과정 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관심이나 인지도, 제도 및 연수 만족도 측면에서는 진학지도 담당/일반계고 교사, 고3 지도 경력 및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놈은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집단간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수 만족도 항목은 3점대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기대효과 측면에서는 부장교사, 진학지도 담당 교사, 연수 경험이 있거나 작은 규모의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수 내용의 중요도 측면에서는 세 집 단 모두 모든 항목에 대해 중요도를 높게 응답하였으며, 특히 입학사정관 전형의 실제적인 준비와 관련된 내용은 상당히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 만족도가 낮으면서도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 한 인식이 높다는 점,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일수록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점에서 교원 연수가 입학사정관제의 안정적 실행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직급, 담당교과, 학교 유형, 근무지 등 다양한 배경에 따라 입학사정관제 및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의 세부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차별화된 맞춤형 연수 과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proper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at a general high school and in a small-sized region, have experiences of senior class,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 the questions of interest/recognition/satisfaction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satisfaction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Even though teachers answered each item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they were dissatisfied wi th the in-service program of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teachers who are a chief teacher, work in a small-sized region, and have experience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nswered more positively to the questions of expected effects about an admission officer system, They agreed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ould select qualified and potential students, but all the other effects would be limited. Third, in the questions of importance of training content, all the teachers answered with high scores in all the sub-items of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Especially, the content related to practical preparation of college admission showed the highest sco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constructing the proper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 understanding of an admission officer system as follows. First of all, in order to stabilize an admission officer system,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sustained and strengthened considering the fact that training satisfaction scored low, while significance of training content scored high and the teachers who have training experiences showed positive response. Nex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consist of diverse content that can meet the diverse needs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