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서식지 이용 패턴 비교 분석

        조신일,나수미,안치경,김현정,정유정,임양묵,김선두,송재영,이훈복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산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행동권 및 서식지 이용 패턴을 확인하고 종간 상호 경쟁관계 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 8월 2일부터 2011년 1월 30일까지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계곡 상류지역에 위치한 정수역인 금붕어광장 연못에서 수행되었다. 서울동물원에서 인공증식한 남생이 3개체와 국내의 연못과 저수지 에 서식하고 있던 붉은귀거북 3개체를 포획하여 위치추적발신기를 부착한 후 방사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방사된 개체들의 행동권과, 서식지 이용반경을 측정하였고, 금붕어광장 연못의 온·습도 및 수온, 지온 등 환경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남생이와 붉은귀거북은 제한된 일광욕 장소, 먹이자원 이용, 동면지 등 여러 측면에서 중복된 생태적 지위를 가지고 있어서 상호 경쟁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교적 몸집이 작은 남생이가 몸집이 큰 붉은귀거북에게 경쟁에서 밀려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생이가 서식하고 있는 원서식지에 붉은귀거북의 이입을 통한 종간, 개체간의 행동권과 먹이경쟁, 서식지 이용 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남생이 복원사업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home range and habitat using pattern of the native species, Mauremys reevesii, and the exotic species, Trachemys scripta elegans, and to analyze the mutual competition relationship of the two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Goldfish square pond, which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valley of Cheonggye mountain from August 2, 2010 to January 30, 2011. We used the three artificially proliferating M. reevesii and three T. scripta elegans which were inhabited in the ponds and reservoirs for monitoring study after attaching the transmitter to each of them. We measured the home range and the habitat utilization radius of three individuals of each specie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soil and water temperature around the Goldfish square pond. As our results, it was analyzed that the M. reevesii and T. scripta elegans have a redundant ecological positions in various aspects such as limited sunbathing places, food resource utilization, hibernation place, etc. We also found that the relatively small M. reevesii was being pushed out of the competition by the relatively big. Further investigation of food competition and habitat utilization should be necessary for these two species for the natural habitats, their home range, food competition, and habitat util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data M. reevesii’s restoration project.

      • 서울동물원에서 한국산 남생이(Maunemys reevesii)의 복원을 위한 인공 증식 연구

        조신일,김현정,정유정,임양묵,나수미,송재영,이훈복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9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7

        남생이(Maunemys reevesii)는 파충강(Reptilia) 거북목(Testudines) 남생이과(Geoemydidae) 에 속하는 담수거북이다. 과거 남생이는 우리 민족의 문화와 예술로 승화되어 서민과 귀족의 생활 속에 친숙하게 자리했던 야생동물중 하나이다. 그러나 인간 활동의 증가와 기후변화에 의한 서식 지의 파괴와 파편화, 외래종인 중국산 남생이를 비롯한 거북류의 대량 수입과 무분별한 방사로 인 한 생태계의 교란, 질병의 확산과 인간에 의한 남획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러한 국내외적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적색목록 위기종(Endangered, EN), 환경부 멸 종위기 야생생물 Ⅱ급(2005) 및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제453호(2006)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환경부는 남생이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보호하는 것은 고유 생물자원의 보전뿐만 아니라 생물 다양성의 제고와 함께 건강한 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는 중요한 과업이므로 멸종위기에 처한 남생 이의 보호와 복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피력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대공원 남생이 대량인공 증식은 유전적 다양성을 지닌 최소존속가능 개체수를 확보하여 자연으로 방사시킴으로써 남생이 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생이의 보전을 위해 최소 존속가능한 50개체 이상을 확보하기 위해 남생이의 인공증식기법 체계화를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인공증식 방법을 보완함으로써 남생이의 부화율과 생존율을 높이고, 나아가 이 를 체계화시켜 대량인공증식시스템 구축과 향후 국내 자생하는 남생이 보전 및 복원에 기여하고 자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입경 골재를 이용한 중온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의 적용 연구

        조신,백유진,김낙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3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소입경 골재와 중온 기술을 사용한 저소음 포장의 현장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배합설계 및 실내실험 수행결과, 소입경 골재를 사용하면 골재간의 맞물림 면적이 증가하여 비산저항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점도 아스팔트 바인더를 사용하는 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은 선회다짐기를 통한 다짐온도 결정이 적합하였으며, 중온 첨가제 사용시 약 15℃의 다짐온도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험 시공 후 현장투수시험과 소음측정을 하였으며 현장투수시험을 통해 저소음 포장이 충분한 공극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소음측정결과 10㎜ 소입경 저소음 포장의 소음감소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극률이 다소 작게 확보된 10㎜ 중온 소입경 저소음 포장도 13㎜ 저소음 포장에 비해 높은 소음감소효과가 나타나 소입경 골재의 사용이 저소음 포장의 소음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저속에서의 소음감소효과가 뛰어났다.

      • KCI등재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에폭시 화학 조성에 따른 양생수준 예측

        조신,김낙석,Jo, Shin Haeng,Kim, Nakseok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2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화학반응이 진행되어 양생시간을 거쳐 성능 발현이 이루어진다. 에폭시 아스팔트의 양생수준은 후속공정의 진행과 교통개방 및 공정계획의 수립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예측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예측식에 사용되는 인자들의 화학적 의미 분석을 통하여 에폭시 수지의 농도와 경화특성을 반영하여 기존식보다 확대된 적용 범위를 갖는 양생수준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실외양생 실험과 비교 결과 상관계수가 0.971 이상으로 나타나 조성이 다른 에폭시 아스팔트 혼합물의 온도와 시간에 따른 양생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ing of epoxy asphalt mixture depends on the chemical reaction of epoxy resin and the curing agent. The curing level of epoxy asphalt mixture needs to be predicted in order to decide traffic opening time and to establish further construction plans. In this study, chemical analysis of the prediction model was executed to exp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evious prediction model. Consequently, the curing level prediction model of epoxy asphalt concrete mixture was proposed using the concentration ratio and the acid value rati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tdoor curing experiments, the final prediction model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greater than 0.971. Precise prediction results of different composition epoxy asphalt were obtained by reflecting the chemical composition ratios in the curing level prediction model.

      • KCI등재

        Application of Two-Dimensional Detector Arrays to the Delivery Quality Assurance in Breast IMRT

        조신,Jae-Uk Jeong,Mee Sun Yoon,Taek-Keun Nam,Sung-Ja Ahn,Ju-Young Song 한국물리학회 202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6 No.5

        Most two-dimensional (2D) detector array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dose distribution comprise diode detectors or ion chamber detectors. These detectors show different sensitivities depending on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IMRT beam on the detector.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adiation beam's angle of incidence onto the detector was analyzed in order to find an optimal 2D detector array setup position for delivery quality assurance in breast IMRT. For breast IMRT plans, comprising mostly tangential fields, the dose distribution produced with true composite beams was measured by arranging 2D detector array devices at various angles. The change in dosimetric accuracy was then assessed as a function of the radiation beam's angle of incidence. A total of 72 dos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12 breast IMRT plans. Both the diode detector array and the ion chamber array showed a higher gamma passing ratio in the sagittal dose distribution measurement, where the beam's angle of incidence was relatively larger. This study indicates that using a 2D detector array placed at a relatively large angle of incidence offers a more accurate verification of the IMRT dos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