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 페르소나와 양육행동의 관계: 남녀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조순옥,채수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4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father persona and parenting behavior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gender of Korean college students. Girls’ fathers demonstrated a Vulnerable Child persona and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s more often than boy’s fathers did. For boy’s fathers, the Playful Child persona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warm-accepting parenting behaviors. For girl’s fathers, the Perfectionist persona was related to warm-accepting parenting behaviors. Boy’s fathers with the Critic persona tended to show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behaviors. Girl’s fathers with the Facer persona tended to demonstrate permissive-neglectful parenting. Fathers with the Power persona tended to show rejection behaviors. 한국 대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페르소나 성격과 양육행동에 대해 알아보고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점과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딸이 아들보다 아버지에게서 민감한 어린이 페르소나 성격과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페르소나 성격과 양육행동과의 관련성에서는 아들은 유희적 어린이 페르소나 성격이, 딸은 완벽 지향 페르소나 성격이 온정․수용적인 양육행동과 관련되었다. 아들에게는 비판적인 페르소나 성격이, 딸에게는 체면지향적인 페르소나 성격이 허용․방임적인 양육행동과 관련성이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자녀의 성별과 무관하게 아버지의 강함지향 페르소나 성격은 거부․제재 양육행동과 관련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 양육행동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상담을 진행할 때 자녀 성별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평생학습체제를 위한 유아교육의 방향과 과제

        조순옥 인간교육자원경영학회 2005 학술대회 자료집 Vol.15 No.-

        21c는 다변화사회의 특징을 지닌다. 인구구성, 가정기반, 지역기반 등에서 변화의 속도가 빠른 만큼 변화에의 적응을 위해 평생교육의 필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발표자는 평생학습체제와 관련하여 유아교육의 전반적인 입장을 잘 분석하고 있다. 토론자는 먼저 발표자의 논문 주요 내용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의 내용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다음으로 몇 가지 면에서 토론하고자 한다.

      • 유네스코 평생교육 논의에서 나타난 평생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어제와 오늘

        조순옥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4 한국평생교육 Vol.2 No.1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plore implications or strategies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role of schools as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which were brought up in the discussion about lifelong learning led by UNESCO. To achieve this aim, major literature related to UNESCO’s lifelong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from 1970’s to this date have been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ESCO continues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lifelong learning as a basic principle that constructs the schooling system and contents of education. Four pillars of learning represent the fundamental skills that every member of the society needs to acquire through lifelong learning and are being recognized as basic principles for their effects in constructing school’s curriculum. In addition, the function of lifelong learning, which shall be undertaken by the community, will be emphasized even more. Based on the idea of “learning from the community and learning for the community,” the importance in the role of schools as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is expected to grow much higher as well. 본 논문은 유네스코가 주도해 온 평생교육과 관련된 논의에서 평생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역할 확대 및 강화를 위하여 얻을 수 있은 전략 또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및 평생학습 관련 주요 문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네스코는 학교교육 시스템과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기본 원리로서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으며, 학습의 4개 기둥은 평생교육을 통하여 모든 사람이 갖추어야할 기본 기술을 나타내며, 학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기본 원리로 그 유효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사회가 담당해야할 평생교육의 기능은 더욱 강조될 것이며, 이에 따라 “지역사회로부터 학습하고, 지역사회를 위하여 학습해야 한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 학교가 담당해야 할 역할의 중요성 역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OECD 순환교육의 정책요소별 변화과정

        조순옥,이희수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9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7 No.3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of the OECD recurrent education and examine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behind its underlying theory and practice. In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s standing as the first predecessor to contemporary lifelong learning as well as the nature of its influence thereof.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sources were used from the OECD which included historical documents and publications regarding official policy on recurrent education dating back to the organization's establishment in 1960. The method and framework used to analyze the official policy regarding recurrent education included the examination of its goals, target, resources and transitional periods. The time periods were divided between the 1960s, 1970s, 1980s, and 1990s.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he introduction of recurrent education categorically expanded the meaning of education, key elements were improved to form a more accessible and diversified concept. Second, although the OECD left behind the original goals of self-realization and self-fulfillment, the organization concerned itself more with social progress, economic growth,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adaptation. Third, though educational reform was a strong driving force in the early days of recurrent education, the financial aid program that carried the weight of the educational leave system and voucher system gradually became the core element of recurrent education. Fourth, the recurrent education program initially regarded the opportunity of participating in it as the basic rights of citizenry and as a result the government would aggressively intervene. Now the focus of lifelong learning is shifted to account for the importance of an individual learner’s role as well as the company's role and relationship with its workers in a lifelong learning program. 이 연구는 OECD 순환교육의 형성과 확산을 탐색하는 가운데 이의 근저가 되는 이론과 실제 이면의 시대별, 정책의 구성요소별 변화 특징을 밝혀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오늘날 평생학습의 선행자인 순환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그 이후 순환교육이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의 본질을 조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1960년대 OECD의 설립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순환교육에 관한 역사적 문서와 발간물을 포함한 각종 문헌을 활용하였다. 순환교육에 관한 공식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틀로는 각 시기별 정책의 목표, 대상, 수단으로 하였다. 시기는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로 나누었다.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순환교육의 도입 자체로 교육의 의미가 절대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보다 더 접근가능하고 다양화된 개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책의 핵심 요소가 개선되었다. 둘째, 비록 OECD가 원래의 목적인 자아실현과 자기성취를 뒤로하였지만 OECD는 사회진보, 경제성장, 인적자원개발, 사회적응에 관심을 기울였다. 셋째, 순환교육 초기에는 교육개혁이 강력한 동인이었지만 점차 교육휴가제와 바우처 같은 재정지원 프로그램이 순환교육의 핵심 제도가 되었다. 넷째, 초기의 순환교육 프로그램은 순환교육에 참여하는 기회를 시민의 기본권으로 간주했으며, 그 결과, 정부는 적극적으로 개입하려고 하였다. 그런데 오늘날 평생학습의 초점은 평생학습 프로그램에서 기업의 역할과 근로자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개별 학습자의 중요성과 책임을 강조하는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

      • 극놀이 사회적 지지맥락으로서 어머니 참여 : 유아의 연령, 성,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

        조순옥 영유아교육학회 2003 영유아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유아 극놀이에서 어머니 참여가 유아의 연령, 성,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띠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모자간 극놀이에서 어머니의 참여를 관찰한 결과, 어머니의 참여는 유아의 연령, 성,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어머니는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놀이 시작, 모델링, 놀이감 제공, 직접 참여를 많이 나타낸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지켜보기, 지시, 질문, 설명, 추론을 많이 나타냈다. 어머니는 남아에게 지시, 여아에게 인정과 직접 참여를 많이 나타냈다.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제안과 추론을 많이 나타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participation of mother differ according to the age and sex of children, and mother's level of education. Subjects were 30 days of mothers and children who were 2-4 year old children in kindergarten. Scheffe verification and t-test were used in this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 participation according to age. The more likely younger children were used to initiation, modeling, provision of paly material, direct participation than older children. The more likely older children were used to watching, directiveness, question, explanation, and reasoning than younger childre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participation according to sex. The more likely boys were used to directiveness than girls. The more likely girls were used to assertion and role-taking than boys. Third,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participation according to mother's level of education. The more likely mothers in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used reasoning and suggestion than mothers in lower level of education.

      • KCI등재

        인적자원개발 정책의 생애 단계 및 영역별 분포와 그 의미

        조순옥,이희수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First and Second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the agenda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uncil,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of the ministries concerned in terms of lifelong stage. Namely, the analysis is focused upon the training, allocation and usag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sis. In doing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the means with which the government can jump start its human resource policy. It is expected that we can grasp the profil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in terms of lifelong stage, the strong and weak spot in the aspect o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basis. The study reveal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most of the HRD policies were concentrated upon the areas of training irrespective of lifelong stage. Second, most of the HRD policies cover all stages of lif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HRD policies targeted at any specific life stage. Third, it is very regretable to see that low regard is given to the third age group. It can be safely asserted that old adults are neglected species in terms of the social benefit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ies. The study tries to presen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irst, it is needed to pursue a more balanced approach in HRD policies in both lifelong and life-wide basis. More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allocation and usage of human resources developed. Second, deep regard needs to be given to the neglected species of aged group. Third, more efforts be made toward the qualitative approach of HRD policies. So it is desirable to decrease the number of HRD programs and to increase the quality of HRD policies. Finally, it is strongly urged to network among many HRD programs.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제1, 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과 인적자원개발회의에 나타난 생애단계별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양성, 배분, 활용의 분포를 분석하여 정부의 생애단계별 인적자원 정책의 선진화에 기여하기 위하여 착수되었다. 따라서 생애단계별로 씨줄과 날줄로 인적자원개발정책 그물망을 만들어서 인적자원개발정책이 양성, 배분, 활용 면에서 어떻게 분포하고 있으며, 어느 부문이 상대적으로 빈 부문이 많은가를 분석하여 향후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생애 단계면에서 1, 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과 인적자원개발회의 상정 안건 모두 특정 생애 단계가 아닌 ‘전 생애’ 단계를 대상으로 하는 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중기와 성인 후기에 해당하는 과제의 비율이 극히 낮았다. 셋째, 영역별 분포를 보았을 때, 양성과 관련된 과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향후 발전과제로서는 생애단계별 인적자원개발정책과 양성, 배분, 활용간의 균형 있는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평생교육법 영문 번역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조순옥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을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통일성을 확보한 영문 번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령정보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을 대상으로 번역어의 적절성, 번역의 통일성, 번역의 불완전성 여부를 기준으로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번역어의 올바른 선택 측면에서 ‘학습’,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학습휴가’, ‘학습계좌’, ‘평생교육사’의 번역 등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적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평가인정’, ‘평생교육 과정’, ‘평생교육 상담’을 조항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번역어의 통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평생교육법」원문에 포함되지 않는 표현의 표현 등의 불완전한 번역 문제 역시 나타나 이의 수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한 초기 연구인 이 연구에서 복수의 개선안이 제안된 조항에 대해서는 최선의 번역어 선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항을 포함한 평생교육법 전 조항을 대상으로 언어적 측면에서의 번역 오류까지 검토한다면 더 완전한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이 제안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