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혈관 생성 억제 제를 투여한 신생마우스 폐 조직에서 Retinoic acid의 세포자멸사의 억제

        주선영 ( Sun Young Ju ),조경아 ( Kyoung Ah Cho ),유경하 ( Kyung Ha Ryu ),우소연 ( So Youn Woo ),박은애 ( Eun Ae Park ),조수진 ( Su Jin Cho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1

        목적: Retinoic acid는 폐포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미숙아의 기관지폐이형성중의 예방에 사용되고 있다. 기관지폐이형성중의 병태생리는 미숙한 폐의 내피세포와 외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일으킴과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VEGFR2 억제가 신생 폐에서 세포자멸사를 증가시키는지, 또 retinoic acid의 투여가 본 폐 발달 억제 동물모형에서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VEGFR2 억제제인 SU1498을 생후3일된 마우스에 주사하고, 폐포발달이 이루어지는 그 후 10일간 retinoic acid나 위약을 주사하였다. 형태학적인 분석을 하였고, 세표자멸사를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TUNEL 염색과 Annexin V을 표지자로 FACS출 시행하였다. 자멸사한 세포를 확인하기 위해서 동일초점 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SU1498를 주사한 마우스에서 폐포면적과 평균폐포용적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세포자멸사도 약 3배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자멸사한 세포는 내피세포와 상피세포에 분포하였다. Retinoic acid를 주사한 약 50%의 세포자멸사가 감소하였고, 형태학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폐포 발달이 유지되었다. 결론: VEGFR2 억제를 하면 내피세포와 상피세포의 세포자멸사가 증가되면서 폐 발달이 저해되었다. 이어서 retinoic acid를 주사하면 세포자멸사가 억제되어 폐 발달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retinoic acid에 의한 세포자멸사의 억제가 기관지폐이형성증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Retinoic acid is known to play a role in alveolar regeneration and is used in the prevention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premature infants. Many factors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BPD induce apoptosis of the endothelium and epithelium of the premature lung. We hypothesized that VEGFR2 inhibition would increase apoptosis in the newborn lung and retinoic acid would decrease apoptosis in our model of inhibited lung growth. Material and Methods: SU1498, a VEGFR2 inhibitor or vehicle was given to three-day-old mice. Subsequent retinoic acid or vehicle injection was given for ten days for the duration of alveolarization. Morph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Apoptosis was assessed with TUNEL staining and Annexin V staining. Co-localization of apoptotic cells with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was performed. Results: SUI498 injection reduced alveolar surface area and mean alveolar volume in newborn mice. Apoptosis was increased by three-fold in SU1498 injected mice. Apoptotic cells co-localized to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Retinoic acid significantly reduced the degree of apoptosis by 50% in SU1498 injected mice and maintained lung development. Conclusion: VEGFR2 inhibition caused an arrest in lung development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apoptosis of endothelial and epithelial cells of the neonatal lung in mice. Subsequent retinoic acid treatment reduced apoptosis and we speculate that retinoic acid may preserve lung growth in bronchopulmonary dysplasia by inhibiting apoptosis in the neonatal lung.

      • KCI등재

        구강질환과 감염성 심내막염

        조주영 ( Ju Yeong Jo ),조수진 ( Su Jin Ju ),송희상 ( Hii Sang Song ) 조선대학교 치의학연구원 2014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38 No.2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dical treatments, infective endocarditis remains a very serious health problem with considerable morbidity and mortality. Indeed, the frequency of severe endocarditi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in association with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Accordingly, infective endocarditis constitutes a major challenge for clinicians and a considerable burden for the health-care system. In addition, dental disease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prevalence of infective endocarditis. Many reports have demonstrated that antibiotics given before a dental procedure can reduce the risk of bacteremia from oral disease. Here, we review recent treatments for prophylaxis of infective endocarditis before dental procedure.

      • KCI등재
      • KCI등재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관한 연구

        조아라 ( Ah Ra Cho ),김영주 ( Young Ju Kim ),전선희 ( Sun Hee Chun ),조수진 ( Su Jin Cho ),박은애 ( Eun Ae Park ),박미혜 ( Mi Hye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의 비교를 통해 자궁내 환경의 차이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산부인과에서 35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산모군 204명과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산모 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204명의 산모 중에서 118명은 식이조절만으로 혈당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86명은 임신 기간 동안 인슐린을 투여 받았다. 분만 시 제대정맥혈액을 채취하여 원심분리 후, 효소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사용하여 제대혈액내 adiponect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정상임신군에 비해 임신성 당뇨로 진단받은 임신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P = 0.02). 정상임신군과 임신성 당뇨임신군 모두에서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남아에 비해 여아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P = 0.04, P = 0.03). 정상임신군에서 임신 주수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2374, P = 0.0129). 출생 시 주수와 성별을 보정한 경우, 정상 임신군에서 출생 시 체중과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P > 0.05). 임신성 당뇨를 진단받았던 임신군에서, 식이 조절만으로 혈당을 관리한 군과 인슐린 치료를 받은 군의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가 정상임신 및 임신성 당뇨임신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이고, 성별 간 두형태성을 나타내는 것은 이들의 자궁내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임신성 당뇨임신군 및 여아에서 높은 제대혈내 adiponectin 농도를 보이는 것은, 이들의 증가된 지방 축적도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uterine environment on adiponectin level in cord blood through comparison of normal pregnancy group and gestational diabetes group. Methods: This cross sectional study included women with: normal pregnancy (n = 204); and patient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 = 204). Among GDM patients, 118 were managed with diet alone and 86 were insulin requiring.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t birth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GDM treatment pregnancies compared with normal pregnancies (P = 0.02).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higher in female compared with male fetuses both normal and gestational diabetes pregnancies (P = 0.04, P = 0.03).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age (r = 0.2374, P < 0.02). In normal pregnancies,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did not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r = -0.05, P > 0.05). Cor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only diet treated women and insulin requiring women in GDM (P > 0.05). Conclusion: Sex dimorphism for adiponectin and the change of adiponectin in GDM off springs, first appear in utero. Higher adiponectin levels in females or GDM off springs reflect increased adiposity of the fetuses.

      • 돼지 $\beta$-Casein 유전자의 3' 말단 부위의 cis-Acting Element가 유선 상피 세포내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휘철,김병주,변승준,이승훈,김민지,정희경,이현기,조수진,장원경,박진기,이풍연,Lee, Hwi-Cheul,Kim, Byoung-Ju,Byun, Sung-June,Lee, Seung-Hoon,Kim, Min-Ji,Chung, Hee Kyoung,Lee, Hyun-Gi,Jo, Su-Jin,Chang, Won-Kyong,Park, Jin-Ki,Lee, Poong 한국동물번식학회 2008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2 No.3

        Tissue-specific and temporal regulation of milk protein gene expression is advantageous when creating transgenic animal that produces foreign protein into milk. Gene expression, i.e. protein production, is regulated not only by promoter strength but also mRNA stability. Especially, poly A tail length by polyadenylation affects in vivo and in vitro mRNA stability and translation efficiency of the target gene. In the present study, nucleotide sequence of 3'-UTR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RNA stability on the target gene expression. Based on the poly A signal of 3' -untranslated region (UTR), nucleotide sequences of putative cytoplasmic polyadenylation elements (CPEs) and downstream elements (DSEs: U-rich, G-rich, GU-rich) were analyzed and used to construct 15 luciferase reporter vectors. Each vector was transfected to HC11 and porcine mammary gland cell (PMGC) and measured for dual luciferase expression levels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Luciferas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struct #6 (with CPE 2, 3 and DSE 1 of exon 9) and #11 (with CPE 2, 3 and DSE 1, 2 and 3 of exon 9) than construct #1 in the PMGC.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pression of target genes in PMGC may be effectively expressed by using the construct #6 and #11 on production of transgenic pig. 형질 전환 동물 생산에는 조직 및 시기 특이적 발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유즙 내로 외부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유전자 발현 즉, 단백질 생산은 프로모터의 강도뿐만 아니라 mRNA의 안정성에 의해서도 조절된다. 특히, polyadenylation에 의한 poly A의 길이는 in vivo와 올 in vitro에서 mRNA 안정성 및 목적 유전자의 번역효율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RNA 안정성이 목적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UTR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이 3'-untranslated region(UTR) 내의 poly A signal을 기준으로 putative cytoplasmic polyadenylation element(CPE) 부위와 downstream elements(DSE: U-rich, G-rich, GU-rich)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고, 각각의 element를 기준으로 15 종의 luciferase reporter vector를 제작하여, 생쥐 유선 세포주(HC11)와 돼지 유선 세포주(PMGC)에 각각 transfection시킨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luciferase 발현량을 분석하였다. PMGC의 경우, luciferase의 발현은 exon 9의 CPE 2,3 및 DSE 1을 포함한 #6 construct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을 보였으며, exon 9의 CPE 2, 3과 DSE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11 construct에서도 유의적으로 높은 발현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형질 전환 돼지 생산에 있어 #6 및 11 construct의 사용은 목적의 유전자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보건분야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외국 사례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송현종 ( Hyun Jong Song ),강민선 ( Min Sun Kang ),조수진 ( Su Jin Cho ),정설희 ( Seol Hee Chung ),오주연 ( Ju Yeon Oh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08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4 No.1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 및 요구는 가용한 자원의 용량을 초과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것은 전세계 모든 국가의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자원을 배분하여야 하는 선택이 필요하다. 1980년대 후반부터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우선순위 설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한 연구 및 문제제기가 부족하였던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보건분야 우선순위 설정 사례를 분석하고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국가에서는 증가하는 보건의료비가 국가 전체 재정에 영향을 주거나 의료보장 서비스의 제한에 대한 요구가 표출되어 우선순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임상적 기준과 사회적 기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질병의 위중도, 비용-효과성, 개인의 책임 등이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에서 설정되었고 개별 병원과 같은 특정기관에서 우선순위를 설정하기도 하였다. 많은 국가에서 역학 및 경제학적 접근방법을 명시적 우선순위 설정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의료기술평가가 활용되고 있다. 아울러 대중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우선순위를 설정할 때, 명확하고 합의할 수 있는 원칙과 가치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각계의 의견 수렴 과정을 포함하여야 한다.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is one of major challenge among the all nations because health care demand usually exceeds the available resources. Therefore, rationing and priority setting are necessary to allocate scarce resources effectively. However, discussions and studies about priority setting regarding health care are insufficient in Korea while rationing and priority setting in health care has been discussed among the European countries since the late 1980`s. This paper offers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rationing and priority setting in major foreign countries and ultimately drives suggestions for Korea. The health care cost containment and the limitation on health care coverage are major motivation to start discussions about prioritization among the foreign countries. Those prioritizations are based on both clinical standards and social standards including disease severity, cost effectiveness, individual responsibility, etc. The levels of prioritization are feder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 organizations such as hospitals. Epidemiological and economical approaches are used as prioritization methods and recently medical technology evaluation is used for the prioritization in many countries. Th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is getting important in the priority setting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various stake holders and interest groups should be included for the priority setting in Korea to develop clear standards by common consent.

      • KCI등재

        조산 임신부의 분만 전 생식기 Mycoplasmas 감염과 임신 및 신생아 예후에 관한 연구

        정현경 ( Hyun Kyung Chung ),박소연 ( So Yun Park ),박미혜 ( Mi Hye Park ),김영주 ( Yong Ju Kim ),전선희 ( Sun Hee Chun ),조수진 ( Su Jin Cho ),박은애 ( Eun Ae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3

        목적 조기분만 시 Mycoplasmas 감염이 임신 및 신생아의 이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의무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로, 2009년 8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이대목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단태아 조산아를 분만한 116명의 산모 및 이들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체는 자궁경부에서 채취하여 배양 혹은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시행하였으며, 감염에 따른 신생아 이환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16명의 대상 산모 중 생식기 Mycoplasmas 감염된 경우가 42명(36.2%)이었다. 연구군에서 대조군보다 자궁경부 길이가 유의하게 짧았고, 조산 기왕력의 빈도는 높았다. 산과적 합병증으로 임상적 융모양막염과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제대혈관염의 발생빈도 및 산욕기 감염 발생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연구군과 대조군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평균 몸무게, 성별, 부당경량아 비율, 1분 및 5분 Apgar 점수, 제대동맥혈 pH, 인공환기기 사용 여부, 입원 기간,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sepsis, 뇌실내 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동맥관개존(patent ductus arteriosus) 이환율을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RDS 및 기관지폐 형성이상(bronchopulmonary dysplasia)의 상대위험비(relative risk)는 각각 1.55 (95% confidence interval [CI], 0.65-3.70), 1.24 (95% CI, 0.42-3.67)였다. 결론 임상적 특징으로는 연구군에서 조산 과거력이 더 많고, 자궁경부 길이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산모의 질내 Mycoplasmas 감염은 여러 신생아의 질환 발생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bjective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ital Mycoplasmas infection in women who had preterm delivery and the neontal outcomes. Methods We studied 116 women with preterm delivery (gestational age, ranged from 24 to 37 weeks) and their 116 premature infants born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August 2009 to December 2010. Culture for genital Mycoplasmas or a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performed in vaginal fl uid obtained from women who had preterm delivery. For perinatal outcomes, chorioamnionitis, funisitis and puerperal infection were analysed. We also evaluated the following neonatal data; birth weight, sex, small for gestational age, Apgar score, cord blood pH, ventilator care, hospital days,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ronchopulmonary dysplasia, sepsis,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patent ductus arteriosus. Results Genital Mycoplasmas were isolated in 36.2% (42 of 116 patients). History of prior preterm 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cervical length at admissio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patients with genital Mycoplasmas infection ( P < 0.05).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Mycoplasmas infection and the neonatal outcom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The relative risk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bronchopulmonary dysplasia were 1.55 (95% confidence interval [CI], 0.65-3.70), and 1.24 (95% CI, 0.42-3.67), respectively. Conclusion There is higher incidence of prior preterm birth and shorter cervical length in patient with genital Mycoplasmas infection. However, genital Mycoplasmas infection does not affect the neonatal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