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원불교 실학론’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지금까지 ‘실학’ 개념은 주로 서구 근대적인 실용성이나 실증성과의 관련속에서 이해되어 왔고, 실학자의 범위도 조선후기 유학자들로 한정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근대적인 의미의 ‘실학’ 개념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의 것이라기보다는 후쿠자와 유키치(1835~1901)의 ‘과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을 암암리에 차용하여 조선후기사상사 서술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류병덕은 1930년대의 정산 송규의 ‘실천 실학’ 개념을 단서로, 조선후기의 실학을 ‘이론실학’으로 규정하고, 구한말의 안창호나 백용성 그리고 원불교를 이론실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실천실학’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의 실학, 즉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이야말로 사실은 조선후기 사상가들이 말하는 ‘실학’ 개념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류병덕의 실학 개념은 원래의 실학 개념으로 되돌아가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선후기사상가들은 어디까지나 도덕실천이라는 유학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제도개혁을 주장하였는데, 그런 점에서는 원불교에서 말하는 “도학과 과학의 병진”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류병덕의 ‘원불교실학론’은 기존의 ‘실학자=유학자’라는 편협한 도식에서 벗어나서 ‘실학’의 층위와 범위를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세분화하고 다양화해야 할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has been mainly dealt with reference to Western modernity, and its scope has been limited to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i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as a modern science might have come from Hukuzawa Yukichi (1835~1901) in Japan rather than Korean Confucian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Song Gyu, the second leader of Won-Buddhism in the 1930s, suggested that Won-Buddhism is a Practical Learning of action, that is, Practical Learning as a moral practice. Ryu Beong-deok in the 1990s, developed Song Gyu’s suggestion. and argued that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a theoretical Practical Learning. In fact, the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Choson Dynasty is the same as Song and Ryu’s concept of Practical Learning. Confucianists in the late Choson Dynasty pursued political reform based on moral practice. This is similar to the theory of the pursuit of both Dao Learning and science in Won-Buddhism. The Theory of Practical Learning in Won-Buddhism by Ryu Byeong-deok suggests that we should extend the scope and range of Practical Lear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생명과 근대

        조성환(Jo Sung-Hwan)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5 No.-

        윤노빈과 김지하와 장일순은 모두 원주를 거점으로 하여, 동학을 생명사상의 관점에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서구 근대의 부작용을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원주의 생명학파”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중에서 윤노빈은 동학의 주문에서 민중해방의 메시지를 발견하고, 동학을 억압으로부터 민중을 해방시키는 일종의 해방철학으로 재해석했다. 윤노빈의 영향을 받은 김지하는 윤노빈의 동학론을 제3세계의 민중운동에 적용하여, 그것들을 동학과 같은 일종의 개벽운동이자 생명운동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들 두 사람의 동학 해석이 주로 인간해방으로서의 “인내천혁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한다면, 장일순의 경우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생물이나 사물까지도 공경하고 살리는 해월의 경물사상으로까지 나아갔다. 그가 한 살림운동을 전개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살림운동은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도 공생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생명의 전일성에 입각한 ‘전생(全生)운동’이라고 할 수 있고, 이 전일성이야말로 “새로운 근대성”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Yun No-bin, Kim Ji-ha and Chang Il-sun, taking Wonju as their base, reinterpreted Donghak (Eastern Learning) in a modern way from the perspective of focusing on life itself and sought to overcome the deleterious effects brought about by Western modernity. In that sense they can be referred to as the “Life School of Wonju.” Among them Yun Nobin uncovered messages of liberation in the incantations of Donghak, and reinterpreted these incantations as a kind of liberation philosophy to release people from oppression. Kim Jiha, who was influenced by Yun No-bin, reformulated the theories on Donghak by Yun No-bin into a kind of the Great Opening (kaebyŏk) movement and considered the life movement to share many similarities with Donghak by applying the theories on Donghak by Yun No-bin to popular movements in the Third World. While these two persons’ interpretations about the Donghak mainly focused on the “Revolution of Human-is-Heaven” as human liberation, Chang Il-sun advanced to the thought of Respect to Things of Haewol (Choi Si-hyeong) as a way to value all living beings and even things. The reason why he started the Hansallim (one great making-living) movement lies in this. In that the Hansallim movement pursued co-existence not only with human beings but also with nature, it can be also thought of as the ‘holistic life movement’ that is based on the holistic nature of life, and this holistic nature is in fact the ‘new modernity.’

      • KCI등재

        통일론의 비판적 지식사회론

        조성환(JO SUNG HWA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4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3 No.1

        탈냉전,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통일론은 진보 지식인들의 ‘민족담론’과 햇볕정책에 전제된 민족 패러다임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그 지식사회학적 결과는 통일론의 이데올로기화와 ‘남남갈등’의 심화로 귀착되었다. 한반도 통일의 목표가치로써 민족성의 원칙은 냉전종식이라는 국제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객관주의적으로 동일화되는 것이 아니라 남북한에 분립하고 있는 ‘국가성의 현실’을 반영하여 여전히 전략적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대북 및 통일정책에 있어서 ‘민족성’과 ‘국가성’은 절충ㆍ혼합의 문제이지 주종(主從)ㆍ대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자명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진보 진영에 의한 민족담론(패러다임)의 헤게모니 구축은 자칫 남북한 분립의 복합모순을 초월하여 단선적 돌파의 전복적 세계관을 일반화시킬 위험성을 내포한다. 특히 민주=통일의 등식 속에서 진보=민족의 규범적 우월성을 독점하려할 경우 한국 사회의 통일론은 비판과 관용의 민주적 공론정치를 넘어 교조주의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 한국의 통일담론과 대북정책은 민족 패러다임의 이데올로기적 허의의식을 극복해야 한다. 통일 이슈는 국내의 지식사회학적 헤게모니 쟁투나 정파적 경쟁의 매개물로 전락해서는 곤란하며 실용적인 ‘역량배가론’과 ‘환경 조성론’의 맥락에서 전략적으로 현실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지식인들은 통일 이슈의 이데올로기적 국내정치화를 매개하는 그람시적 ‘유기적 지식인’이 아니라 만하임적 ‘자유부동적 지식인’으로 거듭태어나 통일에 대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해야 한다.

      • 스마트폰에서의 하이브리드 암·복호화 기반 데이터 통신 방법

        조성환(Sung-hwan Jo),김성훈(Seong-Hoon Kim),한기태(Gi-Tae Han),이효승(Hyo-Seung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스마트폰의 활용 범위가 점점 확장됨에 따라 데이터 통신량도 증가되어 가고 있으며,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암‧복호화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대칭 알고리즘과 대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암‧복호화 기반 데이터 교환방법을 제안한다. 비대칭 알고리즘은 RSA방법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대칭키의 절반인 반키(Half Key)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대칭 알고리즘은 AE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복호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AES 알고리즘의 S-Box와 키 스케쥴링 과정을 변형하여 무차별 대입 공격에 대해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비대칭 또는 대칭 알고리즘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법보다 안전하고 빠른 보안수준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생명’의 관점에서 본 동학사상사

        조성환(Jo, Sung-Hwan) 역사학연구소 2015 역사연구 Vol.- No.28

        This essay aims at approaching Donghak from three viewpoints: First, Donghak as a history of East Asian Thought; Second, Donghak as a history of Korean thought; Third, Donghak as a Life Philosophy. "Cheondo"(Heavenly Way), Donghak"s another name, means it is a totally brand new thought in East Asia until 19th. East Asia"s main thoughts have been called Three Teachings, or Rujiao, Pojiao, and Laojiao, and these teachings are based on sage"s guiding discourse, while Cheondo on Hanul"s Words. Cheondo"s Hanul is neither Confucious" Tien nor Christian"s God. It refers anthropomorphic Cosmic Life as well as human life. The relation of Heaven and man in Donghak is co-active, and this resonates with The myth of Dangun who is born between Heavenly god(Hwanung) and bear(Wongnyu), while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man always have to emulate Heaven. During Donghak peasant war, Cheon Bongjun"s leadership was based on Donghak"s Life Philosophy. Tanaka Shoujo thought highly of Cheon Bongjun, saying that he tried to change Korean society with religion. Son Byonghee changed Donghak"s name as Cheondogyo, trying to frame Donghak as the category of religion. In the same way, Lee Donhwa"s Philosophy of New Man tries to frame Donghak as the category of philosophy. Son and Lee"s work aims at modernizing Donghak, explaining Donghak"s Life Philosophy in the modern religion and philosophy. Hansalim Community which was established at 1986 returned from this academic approach to Donghak"s social movement based on Life Philosophy in everyda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