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관임신 2예

        강신명(SM Kang),조성원(SW Cho),김원자(WJ Kim),노영자(YJ R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6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7 No.1

        1. 여기에 보고한 2예중 하나는 해부학적분류에 가깝고 다른 하나는 병리 및 임상적분류에 속하는 경관임신들이었다. 2. 이 2예는 모두 술전에 진단이 붙지 못하고 예 1은 전행소파술을 받은 후의 완고한 출혈이었으므로 인공유산후경손상으로 인상되었고, 예 2는 절박유산, 그후 천연유산으로 인상되었다. 전자는 시험소파술후 질식자궁척출을 하였고 후자는 일차 소파 및 경내팩킹을 하였는데 모두 결과 양호하였다. 3. 예 1에 있어서 자궁척출술시 저자가 곤란을 당한 것은 출혈이 보통이상으로 많아서 술중 2,000cc의 수혈을 하였다. 경관임신 때는 정상체부임신때와 달라서 골반상과 특히 방광 및 직장부착부에 혈관증대, 확장 등의 생리적변화가 일어나 있어서 술시 박리곤란 내지 극심한 출혈이 나타난다고 착자는 생각되었다. 따라서 자궁척출시에도 시험소파때와 같이 다량의 혈액을 준비하고서 한다는 것은 역시 대단히 중요하며 이로써 모성사망율도 감소될 것이다. 내반이 확실히 퇴행되었을 때(천연유산등)는 출혈의 위험이 적을 것이라고 본다(예 3). : 자궁경관임신, 자궁경부임신, 자궁외임신.... 2 cases of Cervical pregnancy meeting the criteria of Paalman and McElin; One closed to anatomical proof, the other proved pathologically and suggested clinically have been reported. It was impossible to me to make correct diagnosis preoperatively on either cases. Cases I, who had previous curettage therapeutic abortion(8 weeks gestation) 5 days prior to the admission was treated as post D. & C. hemorrhage or cervical injury, in which performing repeated curettages and cervical packings followed by vaginal hysterectomy. Case II, with vaginal spotting of 7 days duration was treated as threatened abortion at 7 weeks gestation, later as missed abortion, in which carrying out single curettage and cervical packing successfully. The results of 2 cases were good despite of one encountered a stomy hemorrhage during the hysterectomy. I would like to emphasize and urge that even in performing the hystectomy for cervical pregnancy, large amount of blood should be prepaired and available just like performing for the trical of curettage before any treatment is initiated, because I have experienced unforgetable severe hemorrhage during the hysterectomy, requiring up to 2.000 c.c. of blood transfusions(case I); probably due to the physiologic changes in cervical pregncy unlike the corporeal pregnancy, causing unusual vascularization or varicoses over the pelvic floor or vesico & recto-cervical areas depend on the site of implantation. The placenta regression type such as terminated as missed abortion (case II), however will be less chance of bleeding.

      • KCI등재

        아메바성 자궁경부 및 질염의 1치험예

        노영자(YJ Rho),조성원(SW Cho),구혜서(HS Koo),김원자(WJ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6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7 No.3

        52세의 폐경기에 있는 부인에게 있어 악취가 심한 혈성 vaginal discharge가 2주일간 지속하였는데 그것이 아메바성으로 왔다는 것을 확인한 후 Diodoquin과 Hectalin 사용으로 완치된 1예를 보고하였다. A Case of Amebic Cervico-Vaginitis in 52 years old woman is reported. And this case is very rare, so a brief review on the literature is made.

      • KCI등재

        다중중합효소연쇄반응과 써던 블롯팅을 이용한 근이영양증 (DMD) 의 진단

        조성원,이숙환,곽인평,차광열,한세열,박찬,차광은,한정희,김남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5

        Duchene and Becker muscular dystrophy(DMD/BMD) results from mutations in the dystrophin gene, and enormous genetic locus that spans more than two million base paris of DNA on the human X chromosome. Some 60% of DMD patients exhibit deletions, which can be found by cDNA hybridization or, were recently,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We have used the multiplex PCR to identify deletion mutations in the human dystrophin gene. By simultaneously amplifying genomic regions flanking 17 sepastrate exons in mutational hot spots, we were able to detect 16 exons in one family. The DNA encoding each of the 17 exons in the dystrophin gene is copied a million fold to make it visible in an agarose gel. To be certain that the missing band is not artifact of the amplification procedure, the DNA from the blood sample was analyzed by Southern hybridization.

      • KCI등재

        상피성난소암에서 p53 유전자변이 및 난소암의 발생기원에 관한 연구

        김종혁,목정은,김용만,조성원,남주현,송규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3년 12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개복수술을 받은 상피성 난소암 환자 23예를 대상으로 원발병소인 난소뿐만 아니라 전이된 여러 부위의 신선 동결 종양조직에서 DNA을 추출한 다음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이용하여 exon 5, 6, 7 및 8부위의 DNA를 증폭시키고 이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direct DNA sequencing) 상피성 난소암에서 p53유전자의 변이양상을 확인하고 p53 유전자 변이가 관찰된 종양 환자의 각각의 병변에서의 변ㅇ를 비교하여 상피성 난소암이 그 발생 기원에 있어서 단일기원(unifocal)인지 다발성 기원(multifocal)인지, 또한 이러한 변이가 암의 진행과정에 있어서 조기에 일어나는 것(early event)인지 후기에 일어나는 것(late event)인지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환자 23명중 5명의 환자에서(21.7%) p53유전자의 변이가 관찰되었는데 모두 한개의 nucleotide의 치환이 일어난 점 변이였으며 exon 8에서 4예, exon 5에서 1예이었다. Exon 8에서 점 변이가 나타난 5, 7, 8, 및 10번 환자의 경우 점 변이의 위치(codon)는 모두 달랐다. 즉 5번 환자에서는 281 codon(CGT)의 C가 G로, 7번 환자에서는 281 codon(GAC)의 A가 G로, 8번 환자의 280 codon(AGA)의 G가 T로, 10번 환자의 278 codon(CCT)의 C가 G로 치환되었다. Exon 5에서 점 변이가 나타난 16번 환자의 경우는 175 codon(CGC)에서 G가 T로 바뀌었다. 2. 변이가 관찰된 5예는 모두 장액성 난소암이었으며 임상병기는 I기가 1예(5번 환자), III기가 4예이었다. 총 61예의 원발병소(난소) 및 전이 병변으로 부터의 조직중 12개(19.8%)에서 변이가 관찰되었는데 5번 환자의 경우 좌측 난소에만 종양이 확인되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273 codon에서 변이가 관찰되었다. 7번 환자는 좌측 난소, 골반 복막 및 대망에서 종양이 확인되었는데 좌측 난소와 골반 복막에서만 281 codon에서의 동일한 점 변이가 관찰되었다. 8번과 10번 환자는 좌 우측 난소, 골반 복막 및 대망에서 종양을 확인하고 실험한 결과, 8번 환자는 좌측 난소에서만 그리고 10번 환자에서는 좌측 및 우측 난소에서 각각 280 codon 및 178 codon에서 점변이가 관찰되었다. 16번 환자의 경우 좌 우측 난소, 더글라스와 종괴, 대망, 장간막, 골반 임파절, 횡경막과 충수돌기를 제외한 모든 곳에서 175 codon에서 점 변이가 관찰되었다. 두 곳 이상에서 p53 유전자의 점 변이가 관찰된 3예(7번, 10번, 16번)에서 같은 환자의 좌우 난소 및 전이된 부위의 암조직에서 일어난 점 변이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결과는 난소암이 분자 유전학적 측면에서 볼 대 난소 한 곳에서 발생하여 전이된다는 단일기원설(unifocal orgin)에 부합하였다. 또한 원발병소인 난소에서는 모두 점 변이가 관찰되었던 반면 전이된 주위에서는 일부만 점변이가 관찰된 것으로 보아 p53 유전자의 변이는 난소암 발생 단계의 후기에 일어나는 것(late event)으로 추정된다. Although ovarian cancer is the most lethal tumor of the female genital tract, molecular mechanism of tumor development have not yet fully been understood. The loss of heterozygosity on chromosome 3, 6, 11 and 17 has been reported to occur frequently in ovarian cancer,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tumor suppressor gene inactivation in the development of ovarian cancer. I became clear that p53 tumor suppressor gene could be a prime target form genetic alteration in sporadic human malignancies such as lung, colo, brreast and ovary. Activating mutations seem to concentrate in a portion of the gene spanning codons 132-281, corresponding to exons 5-8, and do not seem to conform to a particular parttern, since they range from nucleotide substitution to deletions of variable lengt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the sites, nature and incidence of the mutations of p53 tumor supressor gene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and the stage(early or late event) of the genetic alterations by comparing these mutations in primary tumors with those in metastase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primers form exon 5, 6, 7 and 8 followed by direct DNA sequencing technique, we analysed 61 fresh frozen ovarian cancer samples(primary tumor and metastases) from 23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who were surgically treated in Asan Medical Center. Twelve point mutations were indentified from five(21.7%) of the patients tested. Mutations were shown in exons 5 and 8, but no preferential pattern of nucleotide substitution could be observed. In the cases showing twon or more sites with mutation(case 7, 10, 16) the natures of nucleotide substitution in DNA from different sites within the same patient were identical. This suggests that ovarian carcinomas have unifocal orgin. And it was noticeable that mutations were observed in all primary lesions(ovaries), but in only a few sites of metastatic lesions, suggesting that p53 mutations may occur late during ovarian cancer 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