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14년 호남선 철도 개통이 역명과 지역 중심지 변동에 미친 영향: 전북지역 6개 철도역을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에서는 1914년 호남선 철도(대전~목포) 건설과 함께 전라북도 지역에 개설된 6개 역(함열, 이리, 부용, 김제, 신태인, 정읍)을 대상으로, 역명 제정과 역의 개설이 지역의 중심지 변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역명은 당시의 군현명을 따른 경우는 함열역, 김제역, 정읍역의 3개역이었고, 신태인역은 태인현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이리역과 부용역은 마을명에서 유래했다. 이 중 신태인역과 이리역은 신태인읍과 이리읍으로 행정지명으로 변용되어 지명의 의미 확장을 가져왔으나, 부용역은 지명의 의미 확장에는 이르지 못했다. 역의 개설이 지역 중심지에 미친 영향은, 첫째, 김제역, 정읍역과 같이 중심지의 변화없이 기존행정구역 내에서 시가지의 확장에만 기여한 경우이다. 둘째, 이리역, 신태인역과 같이 새로운 중심지의 형성으로 기존 중심지를 대체한 경우이다. 셋째, 부용역과 같이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행정 중심지까지는 성장하지 못한 경우와 같이 3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 of the railroad station names and their impact to the central place changes with the establishment of Honam railroad line (Daejeon-Mokpo, 1914), focusing on six stations (Hamyeol, Iri, Buyong, Gimje, Sintaein, Jeongeup) in Jeonbuk region. The names of the railroad stations conforming the related administration names were Hamyeol, Gimje and Jeongeup station. And Sintaein station name was derived from Taein Prefecture. But Iri and Buyong were derived from the village names. The Sintaein and Iri station name were selected as an administration region name like a Sintaein town and Iri town that got the meaning of regional regional expansion of the station name. But Buyong station did not have any regional expansion of the station name. The influence to central place by opened railroad station, classified 3 groups. First, Gimje and Jeongeup station were only the expansion the urban area within the existed administrative divisions without changing the central place. Second, the new central places established by the railroad station and replaced the existed central place which were Hamyeol, Iri and Sintaein station. Third, the commercial regional centers newly established but not replacing existed administrative central place was Buyong station.

      • KCI등재

        지리교육에서 7개 스탄 국가 학습을 통한 중앙아시아 지역의 이해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7개 스탄 국가를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지역을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지리와 역사적 측면에서 동질성을 지니면서, 국가명에 ‘스탄’이라는 접미어가 공통적으로 붙은 7개 국가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3단계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 먼저, 다양한 지역 분류 방법(위치, 정치, 기후, 지형, 면적, 인구규모, 민족과 언어, 종교적 측면 등)을 통한 지역의 기본 틀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위치 특성에 의해서 이 지역에 진출한 다양한 세력(메소포타미아 문명, 황허 문명, 인더스 문명)의 이해를 통한 지역 형성 과정을 역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이 지역의 지역문제들(아프가니스탄을 둘러싼 러시아와 영국의 충돌과 같이 지정학 관련 지역 문제, 수자원과 아랄 해, 카스피 해의 자원, 페르가나 계곡을 둘러싼 분쟁 등의 자연지리 관련 지역 문제, 러시아인의 이주, 캐시미르 분쟁, 고려인 문제 등의 인문지리 관련 지역 문제)을 지리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단계이다. 특히 이 지역 국가들의 국가명에 공통적으로 ‘스탄’이라는 접미사가 붙는다는 점과 우리 민족인 고려인이 거주하고 있다는 측면은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요인이다.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centering on seven Stan countries. The Central Asian region is homogeneous in terms of geography and history, and consists of seven countries with the suffix “Stan” commonly attached to their national names. A three-step approach was proposed as a way to understand the Central Asian region. First, it is a step to understand using various regional classification methods (location, politics, climate, topography, area, population size, ethnic and language, religious aspects, etc.) and to understand the basic framework of region through them. The second is the historical stag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regional form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forces (Mesopotamian, Yellow river, Indus civilization) that have entered this reg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Asian region. The third is to understand regional issues in this area (related to geopolitics such as conflicts between Russia and Britain over Afghanistan, natural geography issues such as water resources, Aral Sea resources, Caspian Sea resources, conflicts over Fergana valleys, and human geography issues such as Russian migration, Kashmir dispute, and Goryeo people’s issue) in terms of geography.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national names of countries in this region are commonly labeled “Stan” and that Goryeo people reside in is a good factor that can attract students’ attention.

      • KCI등재후보

        "고잔" 지명의 유연성(有緣性) 고찰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2

        ‘고잔’ 지명은 지형 조건인 ‘곶’에서 유래했다는 논의가 우세하나, 인문 조건인 ‘잔교’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고잔’ 지명은 서해안에만 분포하며, 평안남도와 전라북도 사이에 분포한다. 특히 경기만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둘째, 모두 서해안의 조석간만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위치한다. 셋째, ‘고잔’은 한자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는데, ‘고잔(古棧)’이 가장 많고, 뒷 글자인 ‘잔(棧)’자가 거의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서, 잔교라는 특성을 반영한 ‘고잔(古棧)’이라는 한자의 표기가 본래의 의미를 가장 가깝게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행정구역의 위계 측면에서 과거에 그 기능이 존재했던 지역이고, 현재는 그 기능이 의미가 없는 유물지명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마을의 위치와 주변 지역과의 관계 및 상대적 해발고도 차이 등을 고려할 때, 반드시 ‘곶’ 지형과 관련된다고 정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섯째, 주변에 포구 지명과 함께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나루터나 포구 이전에 존재했고 그 기능을 상실한 어로 관련 접안시설이 있던 마을로 추정된다. Geographical name ‘Gozan’ was known to be mainly originated from topography ``headland``,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ossibility of origination from ``pie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ographical name ‘Gozan’ is only located in the Western Coast region between Pyongnam and Jeonbuk Province, especially highly clustered around the Gulf of Gyeonggi. Second, all the locations of ‘Goza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idal ebb area of the Western Coast. Third, ‘Gozan’ has a variety of chinese names with different characters, but among them, ‘Gozan(古棧)’ is the most frequented and rear letter(棧) is almost same. It can be assumed that ‘Gozan(古棧)’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pier, which is the most close expression to the original meaning. Fourth, in terms of hierarchy of area,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as a function related with the ‘Gozan’ in the past, but the function disappeared, and now remains the name as a relics. Fifth, by considering village``s location,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relative elevation differences, it is difficult to make sure that the name was originated from ``headland`` terrain. Sixth, in terms of presence with a ferry or catch geographical name, it can be assumed that ‘Gozan’ existed before the village which had the ferry or catch function, and lost the function which is a berthing facilities related fishing.

      • KCI등재

        전주 덕진연못(德津池)의 용도 및 축조시기와 장소성 변화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21 한국지리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전주 덕진연못의 용도와 축조시기 그리고 장소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은, 첫째, ‘덕진’의 지명은 ‘덕진(德津)’이 원래 사용되었던 한자이고, 나중에 상징성을 부여해서 ‘덕진(德眞)’으로도 기록했다. 둘째, 덕진연못으로 유입되는 물줄기는 2개이며, 제방은 건지산의 산줄기(46m)와 가련산(72m)를 연결하는 약 400m이고 해발고도는 약 28m이다. 셋째, 덕진연못은 농업용 저수지가 아니라 풍수지리에 의해서 전주 지역의 서북쪽의 허함을 보강하기 위해 조성한 비보풍수용 시설물이다. 넷째, 덕진연못은 상징적인 행사(단오제, 용왕제), 풍수지리설의 도입 시기(후백제 시대), 건지산 중심의 전주성 축성 (고려시대), 전주의 공간 범위 변화(후백제와 전주성 시기), 고려시대 이규보의 기록(1200년경) 등을 고려할 때, 9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덕진연못은 풍수지리 사상에 의해 조성되었기 때문에 조성 초기부터 상징적인 장소로 인식되었으며, 용왕제와 단오행사가 이루어졌다. 1929년 덕진역의 개설과 함께 공립공원과 종합경기장으로의 역할을 추가하였고, 장소의 공간적 범위도 연못뿐 아니라 주변의 운동장까지로 확장되었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urpose of use, the period of co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laceness on Deokjin Pond in JeonJu.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name of ‘Deokjin’ was Chinese characters originally used by Deokjin (德津), and later it was recorded as Deokjin (德眞) by giving symbolism. Second, there are two streams of water flowing into Deokjin Pond, and the embankment is about 400m connecting Geonji Mountain (46m) and Garyeon Mountain (72m) and the altitude is about 28m above sea level. Third, Deokjin Pond is not for the agricultural reservoir, but a facility to remedy topographical defects by Feng Shui Ideology to reinforce the weakness of the northwestern part of JeonJu. Fourth, the period of Deokjin Pond can be estimate to have been built between 900 and 1,200 years, by considering the symbolic events (Dano and Dragon King festival),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Feng Shui Ideology, the construction of JeonJu Fortress as the center of Mt. Geonji, change of spatial range of JeonJu, records of Lee Gyu-bo (1200 years). Fifth, Deokjin Pond was recognized as a symbolic place from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because it was constructed by Feng Shui Ideology, and the Dragon King and Dano Festival were held. With the opening of Deokjin railroad station in 1929, the role of public parks and general stadiums was added, and the range of the place was extended not only to pond area but also to nearby playground region.

      • KCI등재

        전주시의 상대적 저성장에 대한 원인 고찰: 광주 및 대전 광역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성욱 ( Sungwook Cho ) 한국지리학회 2017 한국지리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1900년대 이후 전주시가 근접에 위치하는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와 대전광역시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성장을 하게 된 원인을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전주시의 상대적 저성장의 원인은, 첫째, 1896년 13도제의 실시로 배후 지역이 전라도에서 전라북도로 축소되었던 점, 둘째, 1935년 부군 분리 시에 인구밀도에 비해서 전주부의 행정구역이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되었던 점, 셋째, 부군 분리 이후 행정구역의 확대 과정에서 확장 시기와 속도가 늦었던 점, 넷째, 1960년대 이후 배후지역의 인구흡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점 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research the cause of the relatively low growth of Jeonju city compared to Gwangju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since 1900s.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eonju city has been shrunk the hinterland from Jeolla-do Province to Jeollabuk-do Province by 13 regional district institution in 1896. Second, setting a relatively narrow administrative area compared to the population density in 1935 which was Bu and Gun separation period. Third,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was not proper in time and pace. Fourth, relatively low absorbed in population from the hinterland since 1960s.

      • KCI등재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조성욱 ( Sungwook Cho ),권세경 ( Sekyung K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영유아미술 감상교육을 계획하고 적용하는데 지원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지원할수 있는 영유아 미술감상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 및 서울 지역 어린이집 영유아 교사286명이며본 연구의 도구는 유아미술감상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김정·이수경·이주연,1996;이영자·이정욱·유혜숙, 1998)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나 미술 감상교육의목적 및 내용에 대해 인지하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대상 교사들은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의 목표로 ‘창의적 표현’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장에서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을 적용하는 것이 대체로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유아 미술감상교육은 주로 영유아의 일상생활, 주변환경 및 계절적 특성과 관련된 일반적인 주제로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수준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미술감상교육 관련 연수의 기회는 매우 적었으며 교사들은 교수학습개발 및 교수매체 활용, 연수의 기회에 대해 비교적 높게 요구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give basic data to develop early children``s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ir teacher``s recognition, reality and demand of early children``s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research objects from 286 teachers of Day-Care center in Gang-won and Seoul. And questionaire which was based on Jung Kim, Suk-young Lee, Ju-yeon Lee(1996) and Young-ja Lee, Jong-wook Lee, Hye-suk Yoo(1998)``s questionaire was used for survey of their study after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t appears that low rate of the subjects knew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ey regarded creative expression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But They had difficulty in real situation . Also, as the main subjects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ctivities, the elements of experiences were most based on children``s everyday lives or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it appears low that teachers used teaching aids. Teachers demanded of new teaching methodology, aids and retraining for education for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