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품디자인의 개념과 제품디자인기술사의 역할

        조성근 한국기술사회 1999 技術士 Vol.32 No.6

        This paper has the general idea and definition of product design in industrial design which creates high value added for new products. In addition, it has the relationship to be desired between the engineers and product designers, while developing the products.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the role and ability of the product design professional engineers with the best skills approved by the 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요크셔 종빈돈의 검정성적에 영향하는 환경요인 추정

        조성근,김병춘,송광림,선두원,차대협,김현권,조병욱,신택순,양한술,이정규,김병우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7 No.3

        This study was carry out to study on the on-farm performance test and the birth records of 9,086 gilts of Yorkshire purebred obtained from 2000 to 2010 in KAYA GGP. The effects of year of birth, season of birth, year of final test, season of final test, final test day on major economic traits such as days age at 90 kg, average daily gain, backfat thickness, eye muscle area and lean percent were analyzed. Regression and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es were made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nomic traits on final test da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The means for each trait were 147.537 ± 12.401 days for age at 90 kg, 614.614 ± 56.900 g for average daily gain, 15.771 ± 3.071 mm for backfat thickness, 28.644 ± 3.634 cm2 for eye muscle area, 55.363 ± 3.901% for lean percent. Season of birth affected significantly backfat thickness, eye muscle area and lean percent. The backfat thickness was thinnest in summer by showing 15.385 ± 0.085 mm. Backfat thickness was thickest 16.361 ± 0.079 mm in winter. The eye muscle area, lean percent were highest in spring by showing 29.759 ± 0.091 cm2 and 56.221 ± 0.099%, respectively. As the year of birth passed, backfat thickness and days at 90 kg showed decreased. The performances of the fall test seasons showed significantly superior to other seasons by showing in days age at 90 kg and average daily gain. summer test season showed poor to other season. backfat thickness was thickness in fall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ll trai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ignificant negativ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days to 90 and average daily gain, positiv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days to 90 and backfat thickness, negativ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average daily gain and backfat thickness. negativ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backfat thickness and eye muscle area(-0294), backfat thickness and lean percent(-0.723), positive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found between eye muscle area and lean percent(0.586)Based on the results of regression coefficients analyses for the effects of economic traits on final test day, the estimated equation coefficients were -0.04 mm in backfat thickness, 0.02 cm2 in eye muscle area, and 0.03% in lean percent , -1.26 g in average daily gain, 0.61 days in days to 90 kg. Especially average daily gain, days to 90kg were found that affected economic traits.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a simple conclusion that the final test day effect showed significant for all traits, and it could be considerable in terms of on-farm performance test in major economic traits. However, there could be various effects influencing economic trai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 is genetic or environmental. 본 연구에서는 2000 ~ 2010년까지 11년간 경남 소재 K 종돈장 Yorkshire 종빈돈 9,086두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하여 돼지의 주요 경제 형질인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및 90 kg 도달일령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Harvey et al. (1979)의 최소제곱 평균법으로 SAS @9.2 Package/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SAS Institute, 2006), 상이한 검정개시 체중과 검정종료 체중을 보정하는 방법으로 검정종료 일령을 공변이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된 돼지의 주요 경제형질의 평균치와 표준 편차는 90kg 도달일령의 경우 147.537 ± 12.401 일, 일당증체량의 경우 614.614 ± 56.900 g, 보정 등지방 두께가 15.771 ± 3.071 mm, 등심단면적의 경우 28.644 ± 3.634 cm2, 정육율의 경우 55.363 ± 3.901%로 나타났다. 각 요인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를 보면 조사된 모든 형질에 대해 출생 계절과 검정 계절의 효과에서 고도의 유의성(p<0.01)을 나타내었다. 표현형 상관에서 90 kg 도달일령과 일당증체량은 강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90kg 도달일령과 등지방 두께는 정의 상관을, 일당증체량과 등지방 두께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0.294의 부의 상관을 등지방두께와 정육율은 -0.723의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등심단면적과 정육율은 0.586의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공변이 분석으로 포함한 종료체중의 효과에 대해 추정된 회귀계수는 검정종료일령에 대해 검정 종료 일령이 1일씩 증가함에 따라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 정육율, 일당증체량, 90 kg 도달일령은 각각 -0.04 mm, -0.02 ㎠, 0.03%, -1.26 g, 0.61 일씩 변화하였으며, 특히 일당증체량과 90 kg 도달일령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농장 검정돈의 표현형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Yorkshire 종빈돈의 능력을 평가할 때 유전적 능력과 환경요인에 의한 부분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능력검정을 통한 우수한 종빈돈의 선발과 개량이 곧 현 국내의 축산업의 발전을 위한 노력의 기반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산학협력을 통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디자인 실무연계 프로젝트의 교육 개발과 적용

        조성근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lies in establishing a series of courses and contents as follow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industrial complex project education for G.U.I Design, improvement of the design major students' adaptive capabilities to actual business environment through such application, providing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such excellent students with their competence proved as such in the process of those courses, and acknowledgement of credits for students. For this purpose, F University has been selected and joined the ‘Design department operating project on a contract basis' with EKKA DESIGN, the company specialized in G.U.I. And during the project, the university has developed and applied the education by means of the project on G.U.I Design connected with actual business practices through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G.U.I 디자인 산학연계 프로젝트 교육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실무적응능력을 향상시키고 그 과정에서 능력이 검증된 인력의 채용 기회를 제공하는 한편 학점을 부여하는 일련의 과정과 내용을 정립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F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와 (주)EKKA DESIGN은 사전에 교육사업계획서를 공동 작성, ‘디자인학과 계약운영제사업’에 제안 및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선정되어 참여하게 되었고, 사업기간 동안 산학협력을 통한 G.U.I 디자인 실무연계 프로젝트 교육을 적용하였다. 산학협력형 교육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소요되는 사업비 지원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교육도 지식경제부가 시행하는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주관하는 ‘디자인학과 계약운영제사업’ 비용을 지원받아 진행하였다. 만약 이러한 지원이 없었다면 산학협력을 통한 G.U.I 디자인 실무연계 프로젝트 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연구 성과로는 첫째, 기업맞춤형 교육의 주제인 네비게이션 화면의 G.U.I 디자인에서 각자의 창의성을 평가하고자 3개 팀을 구성하였고, 각 팀별로 1개씩 안이 구체적으로 제작되었다. 기존 같으면 시장조사 및 분석 단계에서 학생들은 책상에 앉아 인터넷을 통해 찾은 자료들을 컴퓨터로 출력하고 잘라 붙여 맵을 만드는 작업을 타성에 젖은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행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교육에서는 네비게이션 제품이 팔리는 시장에 직접 가서 소비자ㆍ판매원ㆍ네비게이션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기록하거나, 마니아의 일상생활을 하루 종일 쫓아다니며 유심히 관찰하고 카메라 일기를 쓴다거나, 스토리텔링을 하는 등 네비게이션 사용자들의 실제 경험을 탐구한 것이 유익한 학습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프로젝트 교육에 집중하였기에 디자인실무 적응능력이 향상될 수 있었고, 전문가에게 배우는 실무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G.U.I 디자인 업무에 적응된 것이다. 둘째, 디자인학과의 교육과정을 개선하였다. F대학교 교과과정에는 ‘현장실습’, ‘창업실습’이 있는데, 본 교육에서 5월 중순부터 방학기간까지 연계하여 교육시간을 배정한 결과 무리없이 질높은 교육을 할 수 있었다. 이는 산학협동 프로젝트 진행시 항상 지적되어 온 제한된 시간 문제와 공간 장소의 문제, 다시 말해 기업의 담당자는 제한된 시간만을 낼 수 있고 공간적으로는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문제점을 동시에 극복한 사례가 되어 교과과정을 개선하였다. 셋째, 우수 교육생이 채용되었다. (주)EKKA DESIGN은 당초 본 G.U.I 디자인 실무연계 교육과정을 통해 검증된 우수학생 1명을 정규직으로, 2명을 인턴직으로 채용하기로 계획했었는데, 3팀에서 작업한 2명 모두를 정규직에, 1팀의 2명도 인턴으로 채용하였다. 또 2팀의 2명은 당시 (주)EKKA DESIGN에 취업하지 못했으나, 졸업 후 관련 U.I 전문기업에 취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끝으로 성과 활용계획 측면에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맞춤형 G.U.I 디자인교육을 통한 최적의 취업연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F대학교는 (주)EKKA DESIGN과 디자인교류를 통한 산학연계 정보를 공유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우수교육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면 향후 ...

      • KCI등재

        기업내 산업디자이너 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기초 연구

        조성근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As the industrial structure is changing rapidly, the industrial design has been taken up as a very useful strategy for companies in accomplishing business goals in the middle of ever-increasing product competition as well as imminent awareness of crises which lead to the situation we cannot but seek for customers and develop markets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design. Now companies have been required to carry out systematically the training of capable industrial designers. Accordingly, this thesis tries to aim at achieving three goals including procedures to establish reasonable plans, desirable organizational methods and development tasks, which constitute the bases in the dimension of basic research to develop the retraining curriculum for industrial designers within companies. The research method used an inductive method to draw up the conclusion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hich employed the process of collecting, classifying and analyzing each literature data relating to the retraining of company and design. As a result, the retraining curriculum for industrial designers with companies has to start from the needs of individual industrial designer as well as the company, and its objectives and goals should be clearly stated. In addition, it should approach organizationally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structuring stage and be able to cope with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time sensitively. Furthermore, it is high time that the design divisions of universities should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he design education to the level of advancing the time through reorganizing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link with the retraining curriculum of companies as well.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품경쟁 속에서 산업디자인은 경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업전략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오늘날 감성시대, 디지털 기술 패러다임을 맞아 기업들은 유능한 디자인 인재를 영입하는가 하면, 디자이너들의 역량을 강화시켜 디자인의 전략적 활용을 늘려가는 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 배경에는 산업구조가 급격히 전환되면서 기술혁신과 디자인으로 고객을 찾아 시장을 개척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절박한 위기의식이 작용한 때문이다. 최근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불확실한 시대에 기업을 둘러싼 이와같은 환경의 구조적 변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인적자원 계발을 통한 창조적 이노베이션의 추진 여부가 현재 기업이 당면한 최대 과제라 할 수 있다. 디자인의 영역은 넓지만 그중에서도 산업디자인은 불특정 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조하는 분야이다. 제품은 형태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상품이 갖는 개념과 의미성, 사용성, 경제성, 설계 및 생산성 등 고려해야 할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고객들로부터 제품에 새로움을 부여하고 감각적 가치를 높이는 산업디자인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