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실 분재용 무궁화 품종 선발

        조선행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8 公州敎大論叢 Vol.4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election of Hibiscus syriacus species for pot planting in classroom. Budding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obtained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 The first green budding date of Danshim and Wolsan cultivar was earlier than those of pot planting treatment in classroom. The green budding duration was decreased along with delaying the first budding date, on the other side the flower diameter w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the green bud diameter. The first flower budding date of Danshim and Wolsan cultivar was almost same at July 1, but this of Hansol and Baejo cultivar was same date at July 18. The first flowering date of Danshim and Wolsan was earlier by July 16 than those of pot planting treatment. 무궁화 품종에 따른 삽목묘를 이용한 실내의 분식 재배 시험을 하면서 녹색 봉오리, 꽃 봉오리 및 개화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애국심 함양 매개체 학습 자료의 활용과 원예적 가치 증진을 위한 재배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녹색 봉오리의 출현 개시일은 단심과 월산 품종이 5월 말에 나타나 가장 빨랐고 한솔과 백조 품종이 가장 늦었다. 녹색 봉오리의 지속 기간은 출현 개시일이 늦을수록 짧은 경향을 보였고 화경이 큰 품종이 녹색 봉오리의 직경도 컸다. 꽃 봉오리의 출현 개시일은 단심과 월산이 7월 1일경이었으며 한솔과 백조는 7월 18일로 나타났다. 꽃 봉오리의 출현과 개화 개시일이 늦어질수록 꽃 봉오리의 지속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무궁화 개화시는 단심과 월산이 7월 16일로 가장 빨리 피었고 한솔과 백조가 7월 29일로 가장 늦게 피었다.

      • KCI우수등재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향상(發芽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2 :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 처리(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조선행,김기준 한국약용작물학회 199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 No.2

        1989년(年)에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채종(採種)한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를 재료(材料)로 하여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처리(處理)한 후(後) 발아상(發牙床)에 넣어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계수(發芽係數)를 조사(調査)하여 발아율제고(發芽率提高)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30%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침종처리(浸種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20℃, 4일(日) 침종구(浸種區)와 10℃, 6일(日) 침종구(浸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환수처리(換水處理)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발아억제물질(發牙抑制物質)의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컸다. 3. Gibberellin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20%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침종구(浸種區)에서 2ppm, 무침종구(無浸種區)에서 5ppm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ncrease ofgermination percent by the treatment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GA3) in Angelica gigas Seeds caltivated in 1989. The germination percent was increased by 30% with stratification, and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optimum soaking temperature and periods were found to be 4days at 20℃ and 6dys l0℃ of water temperature. When exchanged water every day during soaking period, inhibitors were more extracted than non-exchange one.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GA3 also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 about 20% campared with control, and the reasonable level was 2ppm in soaked seed and 5ppm in non-soaked seed.

      • KCI우수등재

        참당귀(當歸) 종자(種字)의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아율(發芽率) 저조(低調) 원인(原因)

        조선행,김기준,Cho, Seon-Haeng,Kim, Ki-June 한국약용작물학회 199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 No.1

        참당귀(當歸)(Angelica gigas Nakai) 종자(種子)를 파종(播種)했을 때 발아율(發芽率)이 낮아 종근(種根)의 안정적(安定的) 생산(生産)에 큰 문제점(問題點) 으로 부각(浮刻)되어 있기 때문에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향상(向上)시킬 방안(方案)을 모색(摸索)하고자 발아특성(發芽特性)과 발아율(發芽率) 저조(低調) 원인(原因)에 대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出芽率은) 추파구(秋播區)에서 66.6%, 춘파구(春播區)에서 41.1%로 (추파구)秋播區에서 높았고 출아시(出芽始)도 춘파구(春播區)보다 (추파구)秋播區가 빨랐다. 2. 저온구(低溫區)$(10^{\circ}C)$나 고온구(高溫區)$(30^{\circ}C)$보다 $20^{\circ}C$구(區)에서 발아율(發芽率) 62.7%, 발아세(發芽勢) 51.7% 발아계수(發芽係數)7.57로 가장 높은 수치(數値)를 보였다. 3. 종자침종시(種子浸種時) 흡수속도(吸水速度)는 수온(水溫)이 높을수록 증가(增加) 하였고, 발아시(發芽時)의 함수양(含水量)은 음건종자(陰乾種子) 무게에 대한 함수종자(含水種子) 무게의 비율(比率)로 각피종자(刻皮種子)는 2.3배(培), 무박피종자(無剝皮種子)는 3.4배(倍)로 나타났다. 4. 종자(種子)의 배유(胚乳)가 클수록 발아율(發芽率)이 증가(增加)하였고 녹색(綠色) 종자(種子)다 갈색(褐色) 종자(種子)가 발아율(發芽率)이 높았다. 5.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발아율(發芽率)은 채종(採種) 당년(當年) 종자(種子)가 가장 높고 묵은 종자(種予)일수록 낮아졌으며 실온(室溫)에서 2년간(年間) 저장(貯藏)한 종자(種子)는 전혀 발아(發芽)하지 않았다. 6. 종자내(種子內)에 함유(含有)한 발아(發芽) 및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에 대한 참당귀종자(當歸種子)와 상추종자(種子)로 생물검정(生物檢定)했을때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이 가장 효과(效果)가 컸고 다음은 증류수(蒸溜水)이었으며 Ether가 가장 낮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ecrease cause of germination percent in Angelica gigas Nakai seed. The emergence percent of winter sowing was higher than that of spring sowing as 66.6% and 41.1%, respectively, and the first emergence date was also earlier in winter sowing. The seed germination speed, percent and coeffic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20^{\circ}C$ of incubation temperature, but lower value at $10^{\circ}C\;and\;30^{\circ}C$. The water uptake speed w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The weight of imbibed seed at germination was 3.4times higher based on the weight of intact dry seed and 2.3times on removal of seed coat. In terms of length of seed was large, the germination percent was higher. The germination percent of brown colored seeds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green colored seeds. The prolonged storage period decreased germination percent. When A.gigas seeds stored at room temperatue for 2years, the seeds were lost their viability. The biological inhibition effect of methanol, water and ether extract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A.gigas and lettuce seed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methanol extract, followed by water extract and the least in ether extract.

      • KCI우수등재

        참당귀(當歸)의 생육단계별(生育段階別) GA3, IAA 및 ABA 함량변화(含量變化)

        조선행,신국헌,안상득 한국약용작물학회 1994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2 No.1

        참당귀(當歸)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GA3, IAA 및 ABA의 함양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여 생육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이용(利用)한 추대억제방법(抽臺抑制方法)의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3 함양(含量)은 개화전기(開花前期)에 4.87mg/kg으로 가장 높은 수치(數値)를 보였으며 이 시기(時期)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전(前) . 후단계(後段階)로 갈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IAA의 함양(含量)도 개화전기(開花前期)에 2.27mg/kg으로 가장 높은 경향(傾向)이었고 그 전(前) . 후단계(後段階)로 갈수록 0. 15 -0.33mg /kg 수준(水準)으로 감소(滅少)하였다. 3. ABA는 생육단계(生育段階)가 진전(進展)됨에 따라 점진적(漸進的)으로 증가(增加)하여 결실기(結實期)에 0.37mg/kg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화기(開花期)에는 일시적(一時的)으로 감소현상(減少現像)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in gibberellin(GA3), indol-3 acetatic acid(IAA) and abscisic acid(ABA) contents known as plant growth regulators in the leaves of Angelica gigas and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practice for the inhibition of floral induction. Changes in GA3, IAA and ABA contents were investgated at different growth stage in the young flag leaves of two year old plants.The contents of GA3 showed the highest value by 4. 87mg /kg at early flowering stage, and those were gradually increased from vegetative stage to early flowering stage, but greatly decreased from early flowering stage to fruiting stage. The contents of IAA were also the highest by 2. 27mg /kg at early flowering stage. The contents of ABA were gradually increas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ge. In the fruiting stage those were the highest value by 0.37mg /kg and in early flowering stage the contents were decreased temporarily.

      • KCI우수등재SCOPUS

        오갈피나무의 육묘이식재배(育苗移植栽培)에 따른 생육특성(生育特性)

        조선행 韓國藥用作物學會 1999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7 No.1

        오갈피나무의 묘목(苗木)을 실생(實生)으로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우스를 이용한 육묘이식재배(育苗移植栽培) 시험을 수행하면서 출아율(出芽率), 활착률(活着率), 득묘율(得苗率) 및 생육특성(生育特性)을 조사하였다. 출아율(出芽率)은 하우스내 파종에서 약 90%의 수치를 보였으나 노지직파(露地直播)에서는 약 40%로 나타났으며, 이식할 때 본엽수(本葉數)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본엽 2~3매에서 100%이었으나 그보다 적거나 많으면 감소하였다. 그리고 이식시기에 따른 활착률(活着率)은 4월 하순부터, 5월 초순에는 100%로 나타났으나 그보다 이르거나 늦으면 감소하였다. 또한 득묘율(得苗率), 수고(樹高), 근장(根長) 및 생체중(生體重)은 노지직파재배구(露地直播栽培區)보다 육묘이식재배구(育苗移植栽培區)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grown under different conditions and seasons. The emergence percent of seeds sown in the vinyl house was about 2.2 times better than that in the open field. The plants which had 2 to 3 normal leaves showed the highest value in root setting percent, and the root setting percen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ants with one normal leaf and 4 to 5 normal leaves. The root setting percent of plants transplanted from April 19 to May 2 was 100%, but plants transplanted at April 4 or from May 17 to June 1 showed lower root setting. Tree percent,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fresh weight of plants grown by transplanting culture were better than those of plants grown by direct seeding.

      • 취목번식에 따른 오갈피나무의 생육특성

        조선행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0 公州敎大論叢 Vol.47 No.2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Eleutherococcus species grown under layering propagation. Numbers of saplings per branch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E. koreanum and those of roots per sapling showed also the highest values. Those of saplings and roots in E. sessiliflorus were lower by 3.5 and 3.5than those in E. koreanum, respectively. When E. sessilflorus were grown under different seasons, numbers of saplings per branch and roots per sapling were almost same between plants layered in Nov.20 and Mar.l0. When E. sessilflorus were grown under different plant age, numbers of saplings and roots showed the greatest values in 4 year plant. 오갈피나무의 결실 특성이 우수한 우량품종을 선발하여 영양체 번식율을 높이기 위해 취목번식법으로 재배하면서 종묘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오갈피나무속 식물의 종에 따른 가지당 종묘수와 종묘당 근수는 섬오갈피나무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가시오갈피나무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무경오갈피나무의 열매 우량품종은 섬오갈피나무보다는 낮지만 각각의 측정한 수치는 3.5와 3.3으로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종묘의 초장은 개오갈피나무, 무경오갈피나무 및 지리산오갈피나무가 20cm 내외로 비교적 우량 종묘를 얻을 수 있었고, 섬오갈피나무와 가시오갈피나무는 크기가 저조하였다. 취목 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은 가을(11월 20일)과 익년 봄(3월 10일)에 실행한 것이 우량묘목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연생별 무경오갈피나무의 취목은 4년생 성목에서 개체 당 종묘수와 10a당 종묘수의 수치가 높게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참당귀(當歸) 종자(種子)의 발아향상(發芽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 처리(處理)가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조선행,김기준,Cho, Seon-Haeng,Kim, Ki-June 한국약용작물학회 1993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1 No.2

        1989년(年)에 건국대학교(建國大學校) 실습농장(實習農場)에서 재배(栽培)하여 채종(採種)한 참당귀(當歸) 종자(種子)를 재료(材料)로 하여 층적(層積), 침종(浸種) 및 Gibberellin처리(處理)한 후(後) 발아상(發牙床)에 넣어 발아율(發芽率), 발아세(發芽勢) 및 발아계수(發芽係數)를 조사(調査)하여 발아율제고(發芽率提高)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수행(遂行)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층적처리(層積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30%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저온처리(低溫處理)의 효과(效果)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침종처리(浸種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20^{\circ}C$, 4일(日) 침종구(浸種區)와 $10^{\circ}C$, 6일(日) 침종구(浸種區)에서 가장 높았으며 환수처리(換水處理)는 무처리(無處理)보다 발아억제물질(發牙抑制物質)의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컸다. 3. Gibberellin처리(處理)에 의한 발아율(發芽率)은 무처리(無處理)보다 약(約) 20% 증가(增加)를 나타내었으며, 침종구(浸種區)에서 2ppm, 무침종구(無浸種區)에서 5ppm에서 발아율(發芽率)이 가장 높았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increase ofgermination percent by the treatment of stratification, soaking and $Gibberellin(GA_3)$ in Angelica gigas Seeds caltivated in 1989. The germination percent was increased by 30% with stratification, and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optimum soaking temperature and periods were found to be 4days at $20^{\circ}C\;and\;6dys\;l0^{\circ}C$ of water temperature. When exchanged water every day during soaking period, inhibitors were more extracted than non-exchange one. The exogenous application of $GA_3$ also increased germination percent about 20% campared with control, and the reasonable level was 2ppm in soaked seed and 5ppm in non-soaked s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