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적 이상향으로서 인문주의에 나타난 ‘안과 밖’의 모순 - 독일 교양시민계층의 사례와 정전(正典) 논쟁을 중심으로

        조상식(Sang-Sik Cho) 한독교육학회 202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9 No.2

        이 논문은 변증법적 논리학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인문주의 교육의 이상과 그 실현 사이의 모순을 안[內]과 밖[外]에 비유하여 두 가지 역사적 사례에 초점을 두었다. 첫 번째의 안과 밖은 근대 인문주의 교육 이념의 독일적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Bildung 개념과 이를 계층(급)적 정체성으로 삼은 교양시민계층의 사회 정치적 귀결이다. 독일 교양시민계층이 이해한 신인문주의 교육 이상과, 다른 한편으로 사회적 신분 유지를 위한 교육의 도구화 결과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학교교육의 계층불평등의 근대적 기원을 보여준다. 두 번째의 안과 밖의 모순은 유럽적 전통 및 가치라는 안의 논리와 비(非)유럽적 관점이라는 밖의 논리 사이의 대립이다. 인문주의는 정전(正典)이라고 불리는 권능이 보장된 고전을 시대와 사회를 초월한 절대적인 가치로 간주해왔다. 하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다문화주의에 의해 추동된 다양성 담론, 오리엔탈리즘 비판. 페미니즘, 정치적 올바름 논쟁 등과 같은 흐름은 정전화(正典化)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인문주의가 ‘안으로’ 정전이 가지는 유럽적 유산으로서 내용적 가치를 보존하려고 했지만, ‘밖으로부터’ 유럽중심주의적 혐의가 고발된 것이다. 이러한 인문주의가 안고 있는 모순된 두 역사적 사례는 교육의 이념과 실제 사이의 불일치라는 난제와 관련이 있다. This thesis focuses on two historical cases by compar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ide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its realization in the concept of dialectical logic to the inner and outer. The first inside and outside is the socio-political consequence of the Bildung concept, which is the German typical of modern humanist educational ideology, and the educated middle class, which has made it a group identity. The result of the neo-humanistic educational ideals and the instrumentalization of education understood by the German educated middle class shows the modern origin of class inequality in schooling, which is a drastic problem in modern capitalist society. The second contradiction is that between the inner logic of European tradition and values, and the outer logic of non-European perspectives. Humanism has regarded the power-guaranteed classics, called canon, as an absolute value transcending time and society. However,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discourse of diversity driven by multiculturalism, criticism of orientalism, feminism, and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have raised questions about the canonization itself. Humanism tried to preserve its content value as a European heritage, but from the outside, charges of Eurocentrism were accused. The contradictory attributes of humanism are related to the aporia of discord between the ideology of education and reality.

      • KCI등재

        普遍論爭과 교육학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0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8 No.1

        본 논문은 철학적 주제인 보편논쟁(Universalienstreit)을 교육철학적 주제로 고찰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교육이 사회적 실제라는 보편성을 개별인간에게 전수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보편성과 개별성의 관계는 또한 교육철학적 주제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철학적 논쟁으로서 보편논쟁에 대한 문제사적 접근을 간략히 정리하여 이론적 단초를 마련한다. 그런 다음 교육사상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인 19세기 전후 독일에서 있었던 Niethammer의 “논쟁서”에 주목하여 당시 계몽주의와 신인문주의 사이의 교육 이념적 대립을 살펴본다. 당시 신인문주의자들의 교육적 이상을 대표하는 “논쟁서”의 사회사적 배경을 함께 고려하면서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보편논쟁이 오늘날 교육상황에 비추어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 정리한다. Im vorliegenden Artikel geht es darum, die pädagogische Bedeutung des Universalienstreits, der im Mittelalter über das Problem der Universalien ontologisch-logisch geführt war. Um diesen rein philosophischen Streit auf die pädagogische Konstellation zu übertragen, beziehe ich ihn auf das konkrete Ereignis, das sich die philosophischen Sinne des Universalienstreits zum erstenmal im pädagogischen Feld ausdrückte : Der Streit zwischen Aufklärung und Neuhumanismus im Anfang des 19. Jahrhunderts. Ideengeschichtlich griff die von Niethammer bearbeitete pädagogische Schrift an, in deren er versuchte, die Individualität in der ‘fragmentierten’ Gesellschaft unbeschadet zu bewahren, das aufklärerische Projekt, d.h. die universale Vernunft zu hypostasieren und stattdessen das konkrete Individuum unter dem arbeitsgeteiligten Umstand abzustrahieren. Der Versuch, die aufklärerische Abstraktion zu überwinden und zugleich die allseitige Bildung des Individuums instand zu halten, spiegelt sich deutlich im Leid der meisten Neuhumanisten im 19. Jahrhundert. Aber die Frage, ob ihre Problemlösungen erfolgreich waren, bleibt noch offen. Interessantweise spiegelt sich solche pädagogische Gegenüberstellung auch in der heutigen Situation wider. Das ist eine ideengeschichtliche Wiederholung, oder?

      • KCI등재

        ‘볼로냐 프로세스’와 독일 고등교육개혁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볼로냐 프로세스(Bologna Process)는 1999년 6월 이탈리아의 볼로냐에서 유럽연합 국가들이 2010년까지 비교 가능한 고등교육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육 및 학술교류의 확대뿐만 아니라 미래의 단일 유럽 문화권을 완성하고 유럽 국가들의 고등교육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는 이전의 ‘소르본 선언’을 계승하고 ‘유럽고등교육권역(EHEA)’의 구축을 목표로 한 것이다. 최초의 협약 이후 유럽연합은 2년마다 회의를 개최하며 협약의 이행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계속해 왔다. 그 결과 2010년 드디어 협약의 내용들이 유럽 국가들의 고등교육 시스템에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볼로냐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독일 고등교육 시스템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난 수년 간 독일 대학의 개혁은 이른바 신자유주의 교육시스템이라는 외적인 조류에 순응했던 측면도 있는 반면, 볼로냐 프로세스에 능동적으로 적응한 결과이기도 하다. 아울러 고등교육 개혁이 교육정책의 핵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Bologna Process was introduced in June 1999 in Bologna, Italy, which has a symbolic and historical meaning as the originating place of the first university, in order to found a comparatible higher educational system within the European area. And thus it enables to make the educational and academic exchanges smooth and to build up competitive power of the European universities in the world dimension. This Process took over the spirit included in the previous Sorbonne declaration and set the goal at establishing the foundation of the European Higher Educational Area(EHEA) . Since the first agreement among the European nations, EU held a conference every two years (2001 in Prague, 2003 in Berlin and 2005 in Bergen)and has prepared for fulfilling its agreement. Finally from 2010 the contents of its convention began to be applied to the higher educational system of the European na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changing aspects of the German university in relation to the Bologna Process . The main contents of its agreement resolves itself into the following seven points;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al attestation, modularization of the curriculum, European credits transition system, strength of core competency, diploma supplement for standardization of an academic degrees, transcript records and ensuring of the educational quality. The drastic changes of the higher educational policies in Germany has a passive aspect which must adapt to the neo-liberalistic tendency . In addition, it reflects outstanding results which came from coping with the Bologna Process actively. This comparative case in the higher educational policies gives us important implications.

      • KCI등재

        현상학의 "비(非)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조상식 ( Sang Sik Cho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지금까지 독일과 영미권을 포함한 한국에서의 현상학적 교육학의 주된 연구 패러다임은, 현상학의 `실재론적 접근`의 주요 개념들인 생활세계, 신체(몸), 환경, 행위 등과 같은 범주를 통해 교육사태를 `맥락주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아동의 지각 및 행동을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접근방식은 응용현상학으로서 현상학적 교육학이 학문내적 한계로 인해 선험적 주관성이나 현상학적 환원의 본래적 차원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전반적인 인식에서 기인한다. 그럼에도 후설의 선험 철학적 현상학에 기대어 아동 의식의 구성과정에 접근하려는 시도도 간혹 있었다. 이 논문은 바로 그러한 발생론적·초월적 현상학적 접근에서 인간의 학습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문은 의식의 선(先)반성적, 선(先)술어적인 작동의 차원인 비(非)정립적 의식을 독특하게 해명해준 후설(Husserl)의 아이디어에 주목한다. 이 개념을 통해 창조적 개념의 산출, 발견적 도약, 돌발적 이해과정 등과 같이 전통적인 학습이론인 `단선적 진보 모형`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학습 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하지만 비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인간의 학습현상에 대한 일반론적인 해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할 질문으로 남아 있다. Up to now the main research paradigm of phenomenological pedagogy in Korea, including Germany and Anglo-saxon areas, has been characterized as a contextualistic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realities through the categories such as `life world`, body, milieu and behaviour which are `realistic traces` in the late phenomenological tradition, or as a `phenomenal` analysis of children`s behaviour and perception. Of course this research approach resulted from the comprehensive recognition that the phenomenological pedagogy as an applied phenomenology could not receive an original dimension of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such as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nd phenomenological reduction. It shows the scientific internal limitation of pedagogy, because this starts from a value-loaded theory and praxis, and can not recognize the overall psychological states based upon the consciousness philosophy of phenomenology. Though it being rare examples, there have been approaches to the constitutive process of children`s consciousness and memories from the point of Husserl`s ideas. This article also focuses upon explicating the phenomenon of learning. Therefore, it belongs to the approach of the developmental, transcendent phenomenology. The paper aims at explaining learning phenomenon through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nicht-thetisches Bewusstsein`) Husserl emphasized as the pre-reflexive and pre-precative operating dimension of consciousness. This concept helps to understand learning phenomenon such as products of creative ideas, a emergent leaping discovery and an unexpected insight. These abnormal learning events can not be explained through the traditional learning theories as `uni-linear progressive models`. But it remains the question whether the concept of non-positional consciousness can be a general conceptual instrument to explicate the phenomenon of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MacIntyre의 반(反)계몽주의에 대한 교육사상사적 검토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18세기 서구 계몽주의는 근대교육학의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념적으로 보았을 때, 계몽주의는 인간이성, 계몽, 성숙, 해방 등과 같은 개념을 통해 인간 교육의 풍부한 아이디어를 제공해주었다. 반면에 최근 교육철학 연구에서 자주 논의된 바 있는 MacIntyre의 관점이 근대교육학의 토대인 계몽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교육학자에게 적지 않은 당혹감을 던진다. 아울러 그의 『덕의 상실』에 나타나는 반(反)계몽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달리 반(反) 근대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MacIntyre의 반계몽주의의 핵심은 목적론(teleology)의 몰락으로 특징지어지는 계몽주의 이후의 서구 지성사를 겨냥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의 주장대로 계몽주의 시기를 기점으로 서양교육사상사에서 탈목적론의 주요한 징후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다. 특히 Humboldt의 Bildung 이론의 등장에 주목해 보면, MacIntyre가 주장하는 목적론의 퇴조를 분명히 읽을 수 있다. 논문은 그 흔적을 추적하면서 MacIntyre의 주장을 교육사상사적으로 검토할 수 있었다. 비록 그가 주목하고 있는 탈목적론적 계몽주의 흐름을 18세기 근대교육학에서도 확인할 수는 있었지만, 계몽주의 유산에 많은 부분 의존하고 있는 교육학의 학문적 토대에서 그의 반계몽주의를 받아들이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The western Enlightenment of the eighteenth century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modern pedagogy, so thus we can call it the ``century of education`` not only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al aspect but also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ideas.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ideas that the Enlightenment provided are fruitful for human education with their basic categories of education such as reason, enlightenment, maturity, emancipation, etc. But there were various counter strategies against its ideas which were derived from its self-antinomic character. MacIntyre`s argument from recent educational articles debases our pedagogists because he criticizes the Enlightenment as a basis of modern pedagogy. It is very interesting that he developed his anti-Enlightenment position in his main work 『After Virtue』which contains the elements of anti-modernity in contrast to postmodernism as a contemporary trend. The essence of his anti-Enlightenment comes in contact with a great stream of western history of ideas that are characterized as the downfall of teleology. This article accepts his main assumptions of anti-Enlightenment, and show that there would be few various traces for this around eighteenth century. Turning our attention to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Humboldt`s theory of ``Bildung``, we can find out evidently the low-tide tendency of teleology, as MacIntyre had insisted. In addition, the paper discusses some points at issue. Although we can recognize that MacIntyre`s main position corresponds to the de-teleological tendency in German modern pedagogy, his argument falls heavily on our modern pedagogists, as his theoretical assumptions could break down the modern ground on which our modern pedagogy still depen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선거연령 하향 조정과 정치교육의 과제

        조상식(Cho, Sang-Sik) 한독교육학회 202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5 No.1

        2019년 12월 국회는 만 18세 이상으로 선거연령을 하향 조정하는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였다. 이 법의 개정을 둘러싸고 정치권에서는 특유의 ‘선거 공학적’ 이해득실을 따지며 다양한 찬반논리가 있었다. 특히 신규 유권자에 고3 재학생이 일부 포함되면서 학교현장에 다양한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대두되었다. 이에 논문은 고등학교 재학생의 선거 행위와 관련한 교육학적 주제 영역이 정치교육이라는 가치교육의 영역이라고 규정하고, 18세 선거연령을 둘러싼 정치 교육적 쟁점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정치교육의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되는 독일의 ‘보이텔스바흐 협약’의 의미와 한계를 평가하고 향후 우리의 정치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와 올바른 정치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국 정치교육은 문서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며 사회의 다양한 제도에 학생들을 직접 참여하게 하고 활동하도록 하는 교육이 ‘건강한 삶을 위한 교육’임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다. In December 2019, the National Assembly revised the Public Election Act, which lowered the age of elections to those over 18 years old. Around the revision of this law, there were various pros and cons of politics in pursuing a unique election engineering loss and gain. In particular, as new voters included some high school studen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would be a variety of problems at the school site. In this paper, the pedagogical themes area related to the election partic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s defined as the value education area of political education, and it deals with political and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18-year-old election age. To this end, the thesis evaluat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German Beutelsbach’s Convention, which is considered as a good example of political education, and presented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our political education in the future and a strategy to establish correct political education. In the end, political education is not based on documented knowledge, and it is emphasized again that education should have students engage and take an action in various systems of society. This is nothing more than education for a healthy life.

      • KCI등재

        윌리엄 제임스의 의식이론에 대한 학습 이론적 고찰 :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조상식(Cho Sang Sik) 한독교육학회 200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7 No.1

        In dierser Abhandlung handelt es sich darum, die Einsicht des Zeitbegriffs, der in der Bewußtseins- bzw. Handlungstheorie von William James eine der wichtigsten Rollen spielt, von Standpunkt der Lerntheorie aus in Betracht zu ziehen. Dazu wurde sowohl die psychologische Definition des Zeitbegriffs, der in seinen frühen psychologischen Werken formuliert ist, als auch die metaphysische Definition, die in seinen späten Aufsätzen ununterbrochen auftritt, berücksichtigt. James’ Bewußtseinstheorie in seiner Psychologie, wie sie insbesondere in dem “Bewußtseinsstrom” oder “Feldtheorie des Bewußtseins” zeigt, charakterisiert sich als den Vorzug der Kontinuität menschlichen Erfahrungsprozesses und der wahrnehmenden Dimension vor dem begrifflichen Denken. Indem sich in seiner späten Metaphysik die Unmöglichkeit der sprachlichen Annäherung an die Erfahrung selbst philosophisch spitzt, werden seine Bewußtseinstheorie aber mit den den traditionell-erkenntnistheoretischen Schemata entgegentretenden Thesen angefüllt. Beispielsweise ist der “Radikale Empirismus”, der James’ späte Metaphysik bzw. Kosmologie resümiert, eine Doktrin, die die wahrnehmende(“perceptual”) Dimension vor der Trennung zwischen Erkennendem und Erkanntem ‘analytisch’ greift und formuliert. Damit betont James, daß menschliche Erfahrung grundsätzlich weniger auf dem logisch-abstrakten Denken als auf dem unmittelbaren Wahrnehmen beruht, und daß das menschliche Bewußtsein von vornherein die gefühlbezogenen Elemente begleitet. James’ Bewußtseinstheorie hat einige lerntheoretische Implikationen wie folgt : Vor allem die Kontinuität und Prozedualität menschlicher Erfahrung, deren Bedeutungen sich seiner Bewußtseinstheorie entnehmen läßt, deutet hin, daß wir uns lernpraktisch für den Erfahrungsprozeß des Lernenden selbst interessieren soll. Einerseits hat sie den Schwachpunkt, daß man nur die ‘passiven’ lerntheoretischen Strategien über den Lernprozeß in sich vorhaben muß, da dieser sprachlich nicht zugänglich ist. Nicht zuletzt ist es tatsächlich theoretisch paradox, die Unbeschreibbarkeit des Prozeßes begrifflich so und so zu formulieren. Andererseits trägt James’ Bewußtseinstheorie dazu bei, den vorschnellen Versuch der technologischen Modellierung des Phänomens des Lernens zu kritisieren. Darin bewahrt sich der kontinuierliche Prozeß der kindlichen Erfahrung und zugleich wird die Vorsorge für die vom Lernenden selber aktiv gestaltete Lernumgebung zu einer pädagogisch-praktischen Hauptaufgabe. In solchem Sinne ist das von Hoffmann entworfene Lernmodell bedeutungsvoll. Lerntheoretisch zeigt die psychologische Tradition über die Zusammenhang zwischen der Handlung und der Wahrnehmung, deren theoretische Schwerpunkt bei Wundt, James, Mead und Dewey übereinstimmend auftritt, daß das freiwillige Handeln des Lernenden eine zentrale Kategorie zur überwindung der Dichotomie zwischen dem Lernenden und dem Wissen ist. Während die spontane bzw. freiwillige Handlung in den traditionell-mechanistischen Handlungstheorien aussschlißlich als die zeitliche Vor-Nach-Beziehung betrachtet worden ist, setzen die Konzeption des antizipatorischen Handelns und das von Hoffmann aufgebaute Lernmechanismus “der verhaltenssteuernden Antizipation” den physiologischen Grund der Wahnehmungsvorstellung voraus, die ein bestimmtes Handeln auslöst. Dadurch macht dies klar, daß das menschliche Handeln anfänglich den wahrnehmenden Ursprung der antizipatorischen Handlung enthält. Daher liegt die Bedeutung des Lernens in dem Erwerb der Gesetzmäßigkeit, d.h. Bildung der Begriffe, die sich in dem Verbindungsverhältnis zwischen dem anfänglichen Handlungsentwurf und seinem realen Ergebnis differnziert und entwickelt. In diesem Punkt ist das Lernen im Anpassungsprozeß des Organismus an Umwelt begr&u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