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뢰 형성 이론의 리더십 연구 적용 가능성 탐색

        조삼섭 숙명여자대학교숙명리더십개발원 2008 숙명리더십연구 Vol.7 No.-

        신뢰(trust)는 커뮤니케이션 분야, 경영학, 심리학, 사회학에서 연구관심 대상 이었다. 신뢰는 미시적인 연구차원의 대인신뢰, 조직신뢰와 거시적 차원의 사회 안에서의 일반신뢰(generalized trust)로 구분하여 나눌 수 있다. 리더십의 구성 요인 중에 신뢰는 리더십 기초를 구성하는 자질적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충성과 애착심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리더의 신뢰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타 분야에서의 기존 신뢰이론을 토대로 리더십 연구에 응용가능한 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전문성, 원칙성, 일관성이 신뢰를 이루는 하부요인으로 보았고, 마케팅에서는 역량성, 배려성, 원칙성을 강조하고 있다. 조직행동에서는 리더의 신뢰에 대하여 공식적인 계약적 신뢰와 자질적 요소인 커뮤니케이션 신뢰, 인간적 신뢰라 할 수 있는 능력신뢰로 신뢰를 구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국적인 사회문화 변인을 감안한 신뢰연구에서는 전문적 능력보다는, 배려성, 커뮤니케이션 신뢰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거시적 신뢰연구로 사회문화적 변인을 적용함 필요하다. 한국 사회문화에서는 대인간 신뢰 가운데 내부적 신뢰(가족, 혈연, 친척)가 외부적 신뢰(낯선 사람, 외국인)보다 타국가 대비 훨씬 강한 것으로 나타나, 합리적인 신뢰문화 형성을 위해서는 외부적 신뢰증진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신뢰를 구성하는 타분야에서의 이러한 미시적 거시적 연구는 리더십 이론에 응용이 가능하며, 리더십 신뢰는 이러한 두 분야를 아우를 경우 이상적인 리더십 등장이 가능하다. Trust has been examined in the area of management, psychology, and sociology discipline. Trust study has been done in two levels both personal trust of micro approach and generalized trust in the society of macro approach. Trust has been noted as fundamental component in leadership, enabling employee's commitment and loyalty to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rust study on the leadership theory building in Korea. In communication discipline, competence, integrity, dependability are subset of trust, whereas competence, consideration to others and integrity consist of trust. In organizational behavior, contractual trust, communication trust and competence trust consist of leadership trust. When combining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into leadership study, consideration to others and communication trust seem to be more effective than competence trust. In Korean society, internal trust (family, blood tie, relatives) is higher than external trust (strangers, foreigner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external trust index in order to improved generalized trust. Both micro and macro level approach to trust can be applied in leadership theory building. Leadership trust study can guide idealistic leadership model by combining both two approache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인들의 Public Relations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인식 연구

        조삼섭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1

        본 연구는 일반인들이 PR에 대하여 가진 일반적인 이미지나 목적을 설문조사를 통 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을 기존 이론이나 정의에 의한 폐쇄형 문항대신에 개 방형으로 질문하여 될 수 있으면 일반인들이 가진 인식을 실제적으로 탐색하였다. 조사 결과, 일반인들은 PR에 대하여 가지는 뉘앙스나 이미지는 대부분 자기PR 혹은 광고를 가장 먼저 떠올리고, 포장하기, 기업 이미지 제고, 설득을 떠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광고와 PR을 거의 동일시 하였고, 광고와 PR에 대하여 거의 구 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일반인들은 PR을 널리 알리는 기능적인 역할에 주목하여 광고 와 PR은 거의 동일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일반인들이 가진 PR에 대한인지나, 지식은 이론에서 정의하는 것과 는 많이 다름을 나타낸다. PR의 이론적 정의에서 강조하는 요소로 볼 수 있는 쌍방향 성, 상호 호혜성, 조직-공중 관계성과 같은 근본적인 개념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결 과로 볼 수 있다. 이같이 일반인이 가진 이미지와 인식은 향후에 PR이 국내에서 학문적 논의를 진행 해나가는데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학회차원에서는 각 대학의 학과명칭이나, 학과 커리큘럼, 정부, 기업의 홍보담당 관리자 명칭에 대하여 제 고할 수 있는 공론장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고 장기적으로 홍보, PR, 커뮤니케이션, 공중관계학의 정확한 개념적 정의를 학계에서는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image and its purpose. The study explored the public’s perception using open-ended questions instead of closed questionnaire to explore natural image on public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ublic perceive as image making, self-promotion, packaging, management of corporate image, and persuasion when it comes to public relations. The most respondents equated advertising with public relations, did not distinguish them. Most perceived that the advertising and public’s role are the same in terms of fun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differ from the theoretical definition in academia. The theoretical words such as two-way communication, control mutuality,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public relations seem to be quite different from public’s perception. The public’s present perception on public relations seems to hinder the theoretical advancement on public relations in Korea. The study suggests that Korean public relations academia needs to activate open discussion on college department name, public relations curriculum, name of public relations professionals. Furthermore, the public relations scholars need to elaborate public relations definition, difference between public relations and Hong-Bo,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