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한 CQI양식 연구

        조보람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5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CQI forms implemented at A university for quality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Under the reorganiz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University A has improved the CQI form so that the planning, process and outcomes of class can be managed systematically. This study proposes a CQI form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has undergone a revision process through external expert verific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developing the CQI form, the questions were composed to evaluate and reflux the entire course of the class, including the planning, operation, results, and feedback of the class. Second, it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such as last semester, current semester, and next semester to prepare a comprehensiv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so that the effect of continuous class improvement and reflux can be obtained. Third, integrating the lesson plans and lecture evaluation results in the preparation of CQI increased the convenience of instructors. Fourth, the objective results (achievement results for each evaluation tool, lecture evaluation results) were provided to the instructor so that they could sufficiently reflect on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CQI development. 본 연구는 수업의 질 관리 및 개선을 위해 A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교과목 CQI양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A대학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아래에 수업의 계획, 과정, 결과가 체계적으로 관리 될 수 있도록 CQI양식을 개선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CQI양식을 제안하였고 외부 전문가검증을 통해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QI양식 개발시 수업의 계획, 운영, 결과, 피드백 등 수업의 전 과정을 평가 및 환류 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지난학기-당해학기-다음학기 이렇게 3단계로 나누어 종합분석 및 개선 계획을 작성하도록 하여 지속적인 수업의 개선 및 환류의 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셋째, CQI작성시 수업계획서, 강의평가 결과를 연동하여 교수자의 편리성을 높였다. 넷째, 교수자에게 객관적인 결과(평가도구별 성취도 결과, 강의평가 결과)를 제공하여 이를 토대로 충분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교과목 CQI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코퍼스 기반 중등 영어과 교육과정 어휘 수준 분석

        조보람,윤현숙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4 영어영문학연구 Vol.56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hree-fold: 1) to analyze vocabulary size in English texts written for the secondary school English curriculum, 2) to examine the effects of 80% vocabulary control on vocabulary size in different sets of textbooks, and 3) to compare vocabulary size between CSATs and textbooks. The study compiled a million word corpus of curricular texts including textbooks, CSATs, and EBS books. RANGE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vocabulary size and text coverage in the corpu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4,000 to 5,000 words were needed to reach 95% text coverage of curricular texts, which is at odds with the myth that 3,000 words are enough for the schoo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extbooks showed that a learner is likely to encounter 4,000 words through the textbooks, while acquiring less than 3,000 words if low-frequent words are excluded for consideration. Those 3,000 words were far short of vocabulary size necessary for CSATs, which required more than 5,000 words to reach 95 percent coverage. After all, the vocabulary control movem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produced a large difference in vocabulary size across textbooks, which does not ease the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burden. The paper end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for revision of the vocabulary control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 KCI등재

        동사 ‘지나다’의 다의(多義) 속성 기술 연구

        조보람,박종호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0 한국융합인문학 Vol.8 No.3

        최근 인공 지능이 발달하면서 인간이 외부 환경이나 사건에 어떻게 반응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한 연구는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인 학문 분야만의 연구로는 인간의 인지 구조를 밝히기는 쉽지 않고, 공학이나 인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융합하여 꾸준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인간의 인지 구조를 탐구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인간의 자연언어를 지식베이스화 하여 하나의 망으로구조화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언어 요소의 속성 체계화에 초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동사‘지나다’를 대상으로 개념명을 설정하고 각 개념명에 소속(mapping)될 수 있는 다의(多義) 속성을 체계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동사 ‘지나다’의 각 개념명별로 기본 의미, 격틀 정보, 논항구조, 의미역, 공기하는명사, 상적 속성, 상황유형 등의 요소를 살펴서 어휘의미망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e Relative Caries Potentialty Index according to the Sweetness and the Viscosity of Several Beverages

        조보람,이해우,이은희,이천희 대한예방치과학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 Vol.10 No.3

        Objective: Factors of creating dental caries include host, pathogen and environment and dietary factor among environmentalfactors is affected by viscosity and sugar content that are physical properties of food. Relative cariogenic potential index is toestimate dental caries inducing index reflecting sugar content and viscosity by each food in order to prevent dental cariesand it is expressed as multiplication of sugar contents (Brix degree) and viscosity. Methods: Beverage was classified into 10 types and it was divided into energy drink, children’s beverage, hangover relievingdrink, soybean milk product, sports drink, coffee product, carbonated drink, milk product (white milk), fruit beverage andfunctional beverage. Results: The sweet was the most in hangover beverage as 16. Twenty-four Brix and the different with the other beveragesstatistically (p<0.05). Viscosity was the most in soy milk as 4.67 centipoise and different from other beverage (p<0.05). Therelative caries potentiality index was revealed the most in soy milk and different from other beverage (p<0.05). There wasno relationship between the sweet degree and the viscosity of the beverage. Conclusion: In connection with cariogenic potential index, as Brix of hangover relieving beverage, viscosity and relative cariogenicpotential index of soybean milk were measured to be the highest,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be utilized for a data in guiding and educating oral cavity health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research on preventive methodfor reducing hazard activity of Brix and viscosity when taking food and beverage.

      • KCI등재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동향

        조보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of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and 31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types, research contents, related variables, and program trend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honor students was actively conducted between 2007 and 2011 and between 2017 and 2021. Second, the trend by study subject was the highest among four-year students, followed by four-year freshmen, cyber college students, and four-year graduates. Thir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study.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most of th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honor students were conducte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the us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confidence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high, and the university honor student program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ixth, when designing programs for honor students, the development of a portfolio management system,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continuous program quality management were emphasized.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honor students in domestic universities, seek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suggests implications.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국내 학술지 31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내용, 관련변인, 프로그램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2011년도와 2017년부터 2021년 사이에 활발히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4년제 재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4년제 신입생, 사이버대 재학생, 4년제 졸업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질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양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대학 우수학생 특성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대학 우수학생 프로그램이 종속변인으로는학업성취도와 진로확신도의 활용이 높았다. 여섯째, 우수학생 프로그램 설계시 포트폴리오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 협동적인학습환경 구축, 지속적인 프로그램 질 관리 등을 강조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우수학생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있다.

      • KCI등재후보

        이미지 강화 활동 기반 조건 연결어미 ‘-아야/어야’의 교육 방안

        조보람,박종호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2 에듀테인먼트연구 Vol.4 No.4

        이 연구는 교사 발화 중심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벗어나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목표 문법 지식을 이미지 강화 활동을 통해 내재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표 문법인 조건 연결어미 ‘-아야/어야’의 의미와 문법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플립 러닝, 형태 초점 교수법, 시각화 등의 교수 기법을 이론적 배경으로 한 교수 절차를 제안하고, 이 교수 절차를 기반으로 이미지 강화를 통한 한국어 연결어미 ‘-아야/어야’의 단계별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 절차와 교육 방안은 이미지 강화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 수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서 교사의 부담이 크고,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 절차와 교육 방안의 효용성을 검증해 보지 못한 것은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메타언어 기반 한국어 문법 교육을 벗어나 문법 사용 상황을 실질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이미지 강화 기반의 교육 방안을 제안한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