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낙랑군의 성격문제 : 낙랑군의 낙랑국 계승 문제를 중심으로

        조법종 한국고대사학회 2003 韓國古代史硏究 Vol.32 No.-

        In this research I study the character of Nakrang(樂浪), especially the independent state, which exited before NakrangKun(樂浪郡). I conclude three new point. First, I suggest a different opinion that the Wimanchosun(衛滿朝鮮) collapsed year is B.C.108 and the NakrangKun setting up year is B.C.107 This means that the capital of WimanChosnn, Wanghumscong(王險城) is not the place of NakrangKun(樂浪郡). For this reason, the collapse of WimanChosun and the establishment of NakrangKun(樂浪郡) is not simultaneous occurrences. Second, the inhabitants of NakrangKun(樂浪郡) is mainly composed by Dongi(東夷系) and some Chinese refugee involved by the natives. Third, the character of NakrangKun(樂浪郡) is the trade city, which related with China. This conclution means NakrangKun(樂浪郡) is connected Nakrangkuk(樂浪國), which is the satellite state closely connected China. So the establishment of NakrangKun(樂浪郡) is the reshuffling of Wimanchosun (衛滿朝鮮).

      • KCI등재

        1884년 미국 외교무관 포크기록에 나타난 전라감영 자료검토

        조법종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60

        George Clayton Foulk visited Jeonju from November 10 to 12, 1884. He was the first US diplomat to visit Jeolla Gamyeong in Jeonju, leaving photographs and important records. This record was used as data to restore Jeolla Gamyeong. In the data left by Foulk,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with Jeolla-Gamsa at the time, the appearance of Jeolla Gam-young, the purpose of his visit, and the overall appearance of Jeonju are recorded. Of particular note i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eonhwadang in Jeollagamyeong. That is, the scale and structure, various objects, and ceremonial tools related to gratitude are recorded in detail. In addition, the auditor Jeolla talked about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rough this, the level and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low-recognition of the first local leaders was shown. Meanwhile, Folk photographed Jeolla gamyeong through a dry plate camera, a modern image recording device. The two remaining dry glass plate photos show the specific situation of Jeolla gamyeong at the time. In particular, it showed well detailed data such as the clothing of the screens and deukgi inside Seonhwadang, and the clothes of related people. Through this, the folding screen with tigers and dragons could be restore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study Jeollagamyeong and the local situation of Joseon at that time through research on the facts identified through folk records and review of related facts. 1884년 11월 10일에서 12일까지 조선주재 미국 외교관으로서 최초로 전라감영을 방문해 기록을 남긴 조지 클레이튼 포크의 기록은 조선후기 근대문물을 접하기 시작한 전라감영의 생생한 현장기록이자 외국인이 기록한 전라감영에 대한 최초 사료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담고 있다. 포크는 조선에 대한 정확한 정보 확보를 위한 조사활동으로 1차 서울,경기북부권, 2차 충청, 전라, 경상 지역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놀라울 정도의 묘사력과 다방면에 걸친 조사활동을 일기기록과 사진으로 남겨 놓았다. 이 가운데 금번 논고는 전라감영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차원의 조사를 위한 부분에 한정하여 정리한 연구이다. 포크기록에 나타난 내용 가운데 먼저 주목되는 것은 전라감영의 공간 구조에 대한 세밀한 묘사와 스케치자료 및 선화당 내부의 유리 건판 사진 자료들이다. 특히, 이 자료는 기록과 그림뿐만 아니라 사진이라는 과학적 이미지 기록 매체까지 활용된 근대 최초의 전라감영 종합 정리자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라왕권과 노비제

        趙法鍾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新羅文化 Vol.22 No.-

        본고는 신라사의 전개과정에서 국가 신분체계의 정점인 王權과 최하층신분인 奴婢와의 상관성을 노비발생양상 및 활용의 내용을 왕권과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고대국가의 왕은 절대적 권위에 근거해 통치영역내에서 사법집행자, 조세수취자로서 위치하여 왕권을 행사하였다. 한편, 노비신분은 발생원인적 측면에서 볼 때 이같은 통치 행위에 대한 거부자 또는 위반자라는 측면이 부각된다. 따라서 이들은 통치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처벌대상자였고 처벌의 일 형태로 인신의 구속과 노동력의 무한착취가 강제된 존재였다. 공노비는 국가기구 및 왕실의 생간기반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왕권유지에 중요요소로 부각되었고 왕의 포상행위의 일환으로 이들이 구사되어 노비는 국가통치력 구성에서 기본적인 요소로서 나타난다. In this treatise I investigate the relations Kingship of Sil1a with nobi(奴婢). Generally Nobi(奴婢) translated slave. In ancient age, slave originated by captive. So nobi(奴婢) works very hardly and exploited by the governing classes. The top of the governing classes is King. In Silla society the 6th century kingship transform the sup_me power man. In this situation public slave makes important role of maintain Kingship of Silla. Especially, Nobi used award for conquest war and means of production. But the whole society. the portion of Nobi is small. Because, the subordinate position people which is the base of nobi changed public people. Therefore Nobi maintained only small production group and private slaves.

      • KCI등재

        논문 : 백제 복속 후 전라북도 지역에 대한 신라의 정책

        조법종 백제학회 2012 백제학보 Vol.0 No.7

        신라는 백제구지 가운데 현재의 全羅北道 지역에 대해 高句麗遺民을 사민시켜 以夷制夷 정책을 통해 구심력을 약화시키고 대중적 신망과 포교력이 뛰어난 元曉와 전통 사후신앙과 관련된 蛇福 및 고구려승려 普德 등을 파견하여 종교적 위무정책을 진행하였다. 또한 眞表로 대표되는 百濟遺民을 대변하는 지역불교가 성장하자 華嚴宗으로 대표되는 신라중앙의 입장을 대변하는 화엄십찰 중 하나인 國神寺(歸信寺)를 설치하여 地域的 統制를 進行하였다.

      • KCI등재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조법종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3 No.-

        Lee GyuBo's journey in south region(南行月日記) described Jeonju territory and include many ancient records about unique things and special buddhist monk. His main interest is un-precedented phenomenon, so he watch with deep concern to unique things, especially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Boduk fleed from his own country, Koguryo(高句麗) for religious persecution to Jeonju(全州) in Baekje(百濟) territory. His exile is by flying small Buddhist temple(飛來方丈), so it became know to miraculously thing. Then, Lee GyuBo visit that temple and write about that. When he visited to Beonsan(邊山), he seek for Wonhyobang(元曉房), which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dwelling. Wonhyo(元曉) and Sabok(蛇福) stand as a symbol for the guidance of afterlife in Shilla(新羅). For this reason, I think that their presence in Beonsan connected to Baekje resistance. He also went on a visit to Jinpyo(眞表)'s Buddhist hermitage, it named miraculous hermitage(不思義方丈). It posited very highly the edge of precipice. so Lee GyuBo climb up a ladder. He also write about Jinpyo(眞表)'s portrait, and so on. In his writ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had unique record and described another points. And he visited dolmen in Gumma(金馬) and decribed that it made by pre historical age people and it represent holy site. So his writings are not only account of a trip but also historical record about Korean ancient histo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