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太極陰陽論과 韓國傳統藝術의 美意識

        조민환 한국미학예술학회 2003 美學·藝術學硏究 Vol.17 No.-

        東洋的藝術作品通常都講究恒常之道。一般來說,東洋繪畵作品或是藝術作品都富含着藝術家超越豊富的思想,因此也稱之爲寫心畵。一介藝術家的思想根源來自于對天地自然的理解,而太極陰陽論是其核心理論。韓國從흔早以前就已將陰陽思想運用于傳統的藝術作品之中。我認爲太極陰陽的思想是體現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回顧過去的傳統藝術作品,大多是體現隨意,朴素等直接蘊含大自然氣息的作品。這正是太極陰陽論的立足点也是一種從天地萬物繁衍生長中獲得的對生命意識的感動。在此有三介具體實例。首先是繪?,例如鄭敾的「金剛全圖」。這一作品充分體現了太極的陰陽內涵,幷且含有「周易」中由剝卦到復卦的變化過程中天地自然的繁衍定理。這一作品綜合南北方的繪?手法,蘊含着李珥二氣之妙的繪畵意境。 第二是書法,例如李서的的「筆訣」。李서的書法藝術結合了陰陽論和河圖洛書論。령外李서以隨時處變爲基礎,以不同形式體現時代的變化,創造出富有自己獨特介性的書法體系--東國眞體。最后看一下韓國語字體的創作原理。韓國語字體的原理爲太極,陰陽及五行。發音中含有天地人三才思想。韓國語也正因爲含有太極,陰陽,五行以及天地人三才思想才會散發出與衆不同的氣息。綜上所述,太極陰陽論可謂是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

      • KCI등재

        음양론 관점에서 본 서왕모(西王母) 인식 변화 고찰

        조민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2 대순사상논총 Vol.42 No.-

        The phenomenon of veneration for Queen Mother of the West [西王母 Chn: Xiwangmu Kr: Seowangmo] is a ‘cultural flow’ that has garnered great interest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Korea for many years. To properly understand the cultural trend regarding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it is essential to view the related mythology as it corresponds to East Asian women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s view of women. In addition to the outcomes that result from the establishment of a patriarchal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desses and gods gradually becomes a relationship of discrimination based upon differences. Accordingly, as women change into objects that are given meaning rather than subjects that give meaning, the de-sacredization of the goddess occurs.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from the view of Yin-Yang theory. This approach shows a transition process of transforming wherein she has morphed into an assistant or spouse of a god as part of a trend that deemphasizes the divinity of her as a stand-alone goddess. Yin-Yang theory is the key to understanding culture, history, and art as well as Chinese philosophy. This key can be further applied to the theme of women in mythology.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about the process by which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defined as a goddess is that she was original described as half-human and half-beast and yet by the time her depictions became fully human and fully woman, she was described instead as an absolute beauty endowed with great artistic talent. In this paper, it will be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Queen Mother of the West, as an absolute beauty and artistic talent, is embedded with the male societal desire for an image of the feminine as understood via Yin-Yang theory. Queen Mother of the West as she was depicted in the Classic of Mountains and Seas (山海經 Chn: Shanhaijing Kr: Sanhaegyeong) had a half-human half-beast form that instilled people with fear of disasters and punishments from heaven. However, in the Han Dynasty, her religious significance became that of an object to ward off evil and attain blessings. By the time of the novel, Tales of the Strange (志怪小說 Chn: Zhiguaixiaoshuo Kr: Jigoesoseol), from the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she was transformed into a goddess in the image of beautiful woman in charge longevity and immort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Yin-Yang theory,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Queen Mother of the West was found to contain the following meaning: as an extens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patriarchal system and subordinate laws, her new form was made to be pleasing to the male gaze and Yin-Yang theory was brought in to support those changes later. 서왕모(西王母) 존숭 현상은 고금에 걸쳐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이른바 ‘문화적 흐름’의 한 현상을 엿볼 수 있는 대상에 해당한다. 서왕모에 관한 이같은 문화적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동아시아 여성과 관련된 신화는 물론 여성관의 변모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가부장제 사회의 정착과 더불어 여신과 남신의 관계도 점차 차이에서 차별의 관계로 만들어진다. 이에 여성은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보다는 의미를 부여받는 대상으로 변화함에 따라 여신의 탈신성화가 일어나게 된다. 본고는 여신의 탈신성화 경향에 나타난 여신의 남신의 보조자 혹은 배우자로 탈바꿈하는 이런 변천 과정에는 음양론 사유가 작동하고 있음을 서왕모 인식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음양론은 중국의 철학은 물론 문화와 역사 및 예술을 이해하는 관건인데, 이런 점은 신화와 여성이란 주제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서왕모가 반인반수(半人半獸)의 여신으로 규정되다가 여선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이른바 절대 미인이면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같은 절대미인이면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서왕모에 대한 인식에는 음양론 차원에서 이해된 여인상 및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 바라는 여인상에 대한 바람이 담겨 있다는 점을 밝혔다. 『산해경(山海經)』의 서왕모는 하늘의 재앙과 형벌을 주관하는 반인반수의 공포감을 주는 형상이지만, 한대에는 벽사(闢邪)와 기복(祈福)의 대상으로 신앙화되고, 위진남북조의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는 장생불사를 주관하는 여선(女仙)으로 변모하는 과정에 담긴 서왕모에 관한 인식 변화에는 음양론 관점에서 봤을 때 주대 종법제(宗法制)에 의한 가부장제 확립과 더불어 이후 형성된 음양론에서의 양 위주의 사유 및 남성 위주의 시선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揚雄) 이해에 관한 연구

        조민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7 No.-

        본 논문은 미시적 차원에서 조선조 유학자들이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을 어떤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했는가 규명하고, 이런 규명을 통해 조선조 유학자들의 학문 경향의 상이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첫째 양웅의 처세술을 ‘망대부(莽大夫)’라고 평가한 것에 대한 견해, 둘째 양웅의 문학성 및 문학작품에 대한 견해, 셋째 양웅의 저술에 대한 견해, 넷째 양웅의 선악혼재설에 대한 견해, 다섯째 후대 인물들의 양웅 평가에 대한 견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 평가에는 주희(朱熹)가 양웅이 왕망(王莽)에게 대부 벼슬한 것을 ‘망대부’라고 비판한 것과 정호(程顥)가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 것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조선조 유학자들은 자신이 어떤 학파에 속하고 어떤 세계관을 갖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와 이해에는 각 인물들이 지향한 세계관과 진리인식의 차이점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런 부정은 대부분 주자학을 존숭하는 유학자들에서 나타났다. 예를 들면 홍직필(洪直弼), 위백규(魏伯珪), 김원행(金元行), 이상정(李象靖)이 그 예다. 영조같은 제왕의 경우도 유사성을 띤다. 다음은 양웅을 긍정하는 경우다. 이 경우는 다시 두가지 견해로 나타난다. 하나는 양웅에 대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거론하는 선택적 차원에서 양웅을 일정 정도 긍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허균(許筠)의 이해가 그것이다. 긍정하는 또 다른 견해는 다시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주자학의 훈도를 깊이 받지 않은 경우다. 서거정(徐居正), 성현(成俔)이 그 예다. 둘째, 실학적 사유를 견지한 경우다. 이익(李瀷)이 그 예다. 셋째 진리다원성을 주장하는 경우다. 장유(張維)가 그 예다. 다만 인성론과 관련해서는 모든 유학자들은 맹자의 성선설을 인정하면서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다. 이상 본 바와 같이 미시적 관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에서 한 인물이 어떤 세계관과 사상을 견지하고 존숭하느냐의 차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양웅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달랐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from what perspectiv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evaluated and understood Yang Xiong’s guiding principles and literature at the micro level and to reveal the academic trends of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This topic is approached as follows: first, an evaluation of Yang Xiong’s way of living as a ‘senior state official of Wang Mang (the controversial Emperor of the short-lived Xin Dynasty)’; second, Yang Xiong’s literary character and his literary works; third, Yang Xiong’s writing style; and fourth, Yang Xiong’s view of good and evil. These can be summarized in three main ways: One is to agree with Zhu Xi’s criticism of Yang Xiong as a ‘senior state official of Wang Mang’ and dismiss his guiding principles, academic achievements, literature, and other accomplishments. Most of these negatives have been found in Confucian scholars who are especially enthusiastic about theology. Examples include Hong Jikpil, Wi Baekgyu, Kim Wonhaeng, and Lee Sangjeong. In the case of kings such as King Yeong-Jo, the assessment of Yang Xiong is quite similar. The following assessments of Yang Xiong are positive though. Positive assessments are presented from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balanced approach that cover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Yang Xiong. For example, Heo-Kyun’s understanding. Another positive view can be analyzed from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case is when the scholars assessing Yang Xiong were not deeply influenced by Zhu Xi’s criticism of him. Seo Geojeong and Seong-Hyeon are examples. The second case are those that broke away from theology or adhered to Silhak [Practical Studies]. Yi-Ik is an example. Third, assessments from scholars who posited that truth was of a pluralistic nature. Jang-Yu is an example of such scholars. Regarding theories of human nature; however, there was consensus among Confucian scholars that Mengzi held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thereby it was common to criticize Yang Xiong’s theory that human nature was a mixture of good and evil. From an ideal micro perspectiv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different assessments of Yang Xiong show that their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Yang Xiong differed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differing worldviews and ideas.

      • KCI등재

        조선조 사대부의 초상화 존숭의 종교성 고찰

        조민환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6

        This study examines why the Joseon Dynasty’s portrait of the noble families is drawn solemnly and neatly with an understated expression while staring at one place with consistent sil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is in connection with Zhū Xī’s remarks, “Put your clothes and coffins right, keep your eyes dignified, settle your mind quiet, and have a reverent attitude as if you were dealing with toward the God.” This point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solemn attitude shown in the portrait of the Noble Famil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pectful and afraid attitude, and the shape of the eyes of the tense frontal gaze. In particular, the present study examines in connection with the religious nature of attitude tower the God contained in the reason for refining from being alone. The noble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held a realistic portrait instead of a deity when the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dead ancestors. This point contains the reason that the portrait used during the ritual contains the soul of a character who becomes an object of respect and admiration. In addition, the portrait used during the ritual contained the reason for responding to energy in the same way as the descendants, and the portrait was also served as a medium for witchcraft. Accordingly, portraits were not just portraits, but sacred objects at the religious level. Moreover, most of the characters in the portraits used in the memorial service are depicted in a solemn, respectful, and afraid shape with fixed eyes, and this shape contained a kind of refining from being alone. In this way, the interpretation of the reason of refining from being alone as reverence and the understanding of attempting to act reverently even in invisible places include religiousness in addition to ethics. Specifically, this religiosity was expressed as a solemn gesture and a respectful yet fearful gaze in the portrait of the grandfathers holding ancestral rites. The gesture and gaze expressed in this portrait were a shape that contained religious piety and beliefs beyond the ethical discipline. 본고는 조선조 사대부 초상화는 왜 ‘한결같이 고요히 한곳을 응시한 채 절제된 표정과 엄숙 단정한 공수(拱手) 자세로 그려져 있을까’하는 점을 주희(朱熹)가 「경재잠(敬齋箴)」에서 “그 의관을 바르게 하고, 그 시선을 존엄하게 하며,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혀 거처하고, 상제(上帝)를 대하는 듯 경건한 자세를 가져라[正其衣冠, 尊其瞻視. 潛心以居, 對越上帝]”고 말한 것과 연계하여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특히 조선조 후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보이는 정제엄숙한 경외(敬畏)적 몸가짐과 긴장된 정면 응시의 눈동자 형상을 신독(愼獨) 혹은 근독(謹獨) 사유에 담긴 ‘대월상제(對越上帝)’에 담긴 종교성과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조 사대부들은 추원보본(追遠報本)의 제사 때 신주(神主) 대신 사실적으로 그려진 초상화를 모시고 지냈는데, 이런 점은 제사 때 사용된 초상화에는 경모(敬慕) 대상이 되는 인물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사유가 담겨 있다. 아울러 제사 때 사용된 초상화는 후손과 동기감응(同氣感應)식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술적 차원의 매개체 역할도 하였다. 이에 초상화는 단순 인물화가 아닌 종교적 차원의 성물(聖物)이었다. 즉, 추원보본 하는 제사에서 사용된 초상화는 인물화 범위를 넘어서 조선(祖先)의 신령(神靈)이 강림한다는 종교 차원의 성물이었고, 이에 초상화는 종교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에 제사에 사용된 초상화의 인물들이 대부분 시선을 고정한 채 정제 엄숙한 경외(敬畏)적 형상으로 그려졌는데, 이 같은 형상에는 일종의 신독 사유가 담겨 있었다. 신독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근독을 ‘하늘을 섬기는 일[事天之事]’로 풀이하는 것과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상제가 임한 듯 경건하게 행동하라는 것을 대월상제와 연계하여 이해한 것에는 윤리성 이외에 종교성이 담겨 있다. 이런 종교성은 구체적으로 사대부들이 제사를 지내는 초상화의 정제 엄숙한 몸가짐과 경외적 시선으로 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유교를 실천적 지도 이념으로 표방했던 조선조에 이르면 효(孝) 사상을 기반으로 한 추원보본 관념이나 경모 대상이 되는 숭현(崇賢) 사상에 따라 향사(享祀)에 쓰일 초상화 수요가 많아지는 특징을 보였는데, 제사에 사용된 이 같은 초상화에는 이상 본 바와 같은 종교성도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조선조 유학자들의 광견관에 관한 연구

        조민환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6 No.-

        Three perspectives can be analyz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extreme passion" made by Korean Confucian scholars who discussed the above. First, there is a "extreme passion" when you call yourself "extreme passion." This "extreme passion" doesn't matter. There are two views when looking at others and calling them 'extreme passion'. One is positive, the other is negative. The latter is mainly the case of so-called 'crazy behavior' that can cause social problems while ignoring the order and laws presented by Confucius. In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were not many cases in which a maniac appeared through action. And in the case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who are leaning toward Confucius studies, they tend to further enhance the "a man of extreme self-preservation" that has kept what they deemed right to the end while pursuing life out of the world. This can be said to belong to a different understanding from China. 조선조 유학자들의 광견관은 중국 유학자들의 광견관과 차이가 있다. 중국은 程朱理學은 물론 陽明學 등과 같이 다양한 사유가 존재할 수 있는 토양이 있었지만, 조선조는 溪谷 張維가 지적한 바와 같이 주자학 존숭이라는 매우 경직된 학술경향에서 이해된 광견관이 나타난다. 조선조 유학자들이 발언한 ‘광’에 대한 이해는 세가지 관점은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자기가 스스로 ‘광’이라고 할 때의 ‘광’이 있다 이런 ‘광’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타인을 보고 ‘광’이라 할 때는 두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긍정적인 견해고, 다른 하나는 부정적인 견해다. 후자의 경우에는 주로 유가가 제시한 질서와 법도를 무시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이른바 ‘形狂’의 경우에 해당한다. 그런데 조선조에서는 행동으로 광태를 보인 이른바 ‘형광’에 해당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 그 원인의 하나로, 조선이 중국에 비해 땅도 작고, 인물도 적다는 점을 들 수 있지만, 철학적으로 보면 정주이학이 조선조 역사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한 점을 들 수 있다. 견자의 경우는 정주이학에 薰陶된 조선조의 유학자들의 경우 탈속적인 삶을 지향하면서 지조와 절개를 지닌 견자를 더 높이는 경향도 있는데, 이런 점은 중국과 다른 이해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感應⋅感發美學에 나타난 倫理性 연구 – ‘象’字에 나타난 美的認識을 중심으로 –

        조민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7 No.-

        Sentence theory tells the organic relation of nature, human and nature as well as human being and human being. This kind of sentence theory starts from the idea of ​​all-unity, all-inclusive. Evolutionary cosmology in sentence theory is mainly related to Yin - Yang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change of natural and physical phenomena caused by the changes of yin and yang are caused by the contact and response of yin and yang. Specifically, in natural phenomena and human life, they "follow each other in a class," "save one another in the same way," and "respon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voice." First, it demands the quietness of not moving, thinking, not thinking, being in the middle of not yet working. It also requires a state of good when it has not yet worked in rela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being exposed and working. The view on this feeling is a theory about the feelings of an ethical dimension. The result of the response to nature and nature is summarized in form. That is, to look at the object of the so-called "protagonist" and to take the form, and to do the intention to say the figure. Starting from this reason, in the creation of actual art, the artist needs to acquire this figure and express it beautifully. In addition, it tries to taste the form of the way of learning about the image of the nature and the nature contained in the nature of the heaven and earth, and to realize it with the mind. In other words, it requires the unity of man and nature through the image, which is expressed specifically as a fusion of mind and object. The fusion of mind and object starts from the framework of the unity of man and all things. 동양철학에서의 감응론은 인간과 인간은 물론 자연,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성을 말해준다. 이런 감응론은 천인합일, 천지만물일체사상에서 출발한다. 감응론과 관련된 氣化論的 우주론은 陰陽의 관계에 주로 나타난다. 즉 음과 양의 변화에 의한 천지자연의 변화는 음과 양의 교접과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 그것은 구체적으로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에서는 “부류로 서로를 좇고(以類相從)”, “같은 기로 서로를 구하고(同氣相求)”, “같은 소리로 서로 응한다(同聲相應)” 라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감응론은 인간의 마음이 사물과 접하는 상황에서는 감발론으로 나타난다. 이같은 감응론과 감발론에서 항상 문제삼는 것은 감응하기 이전, 감발하기 이전의 마음 상태를 문제 삼는다. 먼저 寂然不動이나 無思無慮, 未發之中의 靜을 요구하고, 아울러 已發했을 때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해 未發에서의 善의 상태도 요구한다. 이런 사유를 통해 제시된 감응론과 감발론은 윤리적 감발론에 해당한다. 천지자연에 대한 감응과 감발의 결과는 象字로 요약된다. 이른바 『주역』의 觀物取象과 立象盡意가 그것이다. 동양예술은 이같은 상자에 대한 미적 인식에서 출발하는데, 실제 예술창작과 관련될 때는 작가가 이 象을 체득하고 그 체득한 것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을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천지대자연의 도리, 이치가 담겨 있는 象에 대한 체득의 방법으로 味象, 神遇, 心悟할 것을 제시한다. 즉 象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합일인 心物交融, 情景融合을 요구하고 이런 점은 감응미학의 핵심이 되는데, 그것에는 예술창작자의 윤리적 마음가짐이 요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장자철학의 미학적 연구 : 미추관을 중심으로

        조민환 한국도교학회 1992 道敎學硏究 Vol.9 No.1

        The general theme of his aesthetics comes from the `Tao' which used to be explained as universal laws. The Tao, intangible essence of life forms, is truth. And any life from of truth is the very beauty. That is to say, any natural life from,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truthful by itself, is in itself beauty. His philosophy could be extended that as far as any life form is natural as being truthful, it is of beauty. From this, a significant proposition could be deduced that the being has no value difference(no hierachy of natural beauties). In sum, the beauty of any naturel life form cannot be compared. It has its own beauty(indifference of beauty) therefore the aesthetic perspective of chuang-Tzu philosophy is to explore and intrinsic essence of any life form.

      • KCI등재

        儒家의 ‘誠中形外’ 사유에 나타난 象德美學

        조민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Will the voice of the state of mind that does not see the human inside seemingly revealed precisely understood through gestures? In the Confucian answer is yes to this question. If so, what is the reason to think so? Right 『THE GREAT LEARNING (大學)』 'What truly is within will be manifested without(誠於中, 形於外)' referred to in Chapter 6 are searching for the answer. Riches adorn a house, and virtue adorns the person. 『THE GREAT LEARNING (大學)』 Chapter 6 says, "The mind is expanded, and the body is at ease. Therefore, the superior man must make his thoughts sincere. If the human heart is weeping for a long time says that the state represented by the body itself." From this reason, the heart appears on the face of the face, the face, the heart can be seen. The 'What truly is within will be manifested without' theory is basically the core of the Neo-Confucian aesthetic personality. The Song Dynasty is to say the human figure often associated virtue and sometimes expressed through 'personality meteorological' term.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heory of the genetic code through honesty and stressed. Especially, from this point of view, through the accumulation of morality requires. so, "what is within truly will be manifested without", theory of the confucian thought of people oriented is the core of personality aesthetics. At the same time, this theory is the core theory of the human evaluation. In a word, the 'What truly is within will be manifested without', the confucian thought of morality is a symbol of aesthetic. 보이지 않은 인간 내면의 마음상태를 겉으로 드러난 목소리나 몸짓을 통해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유가에서는 그렇다고 답한다. 그렇다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大學』 6장에서 말하는 ‘誠中形外(誠於中, 形於外의 준말)’에서 그 답을 찾고 있다. 유가철학에서는 낙관적 성선론과 內外相符의 心身一元論적 사유에 바탕한 사유를 전개한다. 즉 인간의 마음상태는 오랜 동안 쌓임이 있으면 자신이 의도하지 않아도 몸으로 표현된다고 말한다. 이런 사유를 가장 적의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誠中形外’이론이다. 이 ‘誠中形外’ 이론은 기본적으로 유가가 지향하는 인격미학의 근간이 된다. ‘誠中形外’는 다양한 측면에서 응용되는데, 특히 ‘視中’와 ‘觀色’란 관점에서 이런 점은 보다 구체적으로 들어난다. 송대 이후의 유가는 덕과 관련된 인간상을 말할 때 자주 氣象이란 용어를 통해 표현하기도 한다. 성인의 덕이 융성한 것을 성인기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그것이다. ‘誠中形外’ 이론은 송대 이후 유학자들은 氣象論 측면에서 인간됨됨이를 파악하는 인격미학의 핵심이 된다. 특히 格物致知 이후의 誠意 단계에서 제기된 ‘誠中形外’ 이론은 특히 타인에게 보여지는 나를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가 수양론의 핵심이 된다. 수양론 측면에서 볼 때 ‘誠中形外’ 이론은 주로 毋自欺, 愼獨, 誠意 등을 통해 인간의 善意志 실천과 公共善 실현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런 점에서 무엇보다도 뿌리내림(根)과 관련된 수양론과 쌓임(積)이란 성실성의 함축을 강조한다. 이처럼 낙관적 성선론에 입각한 ‘誠中形外’이론은 인간을 품평하는 이론적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유가가 지향하는 인간의 인격미학의 핵심이 된다.

      • 裕齋 宋基冕의 經世論에 관한 硏究

        조민환 간재학회 2011 간재학논총 Vol.11 No.-

        裕齋 宋基冕(1882~1956) 당시 자신이 처한 시대상황을 극복하는 방안의 하나로 舊體新用이란 묘합적 사유를 제시한다. 역사적으로 고와 금의 논쟁은 변화된 현실에서 더욱 치열한 논의를 요구한다. 유신에서 신은 고와 금의 문제에서 금의 문제이다. 전통적으로 고를 중시하는 사유에는 고는 좋고 금은 나쁘다는 의식이 잠재되어 있다. 이것은 변화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한계성이 있다. 그렇다고 신, 금만을 강조하고 고를 무시한다면 그것 또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 유재의 진단이다. 古가 體로서 임금, 도덕, 仁, 義, 經道라면 今은 用으로서 臣, 百姓, 利益, 權道에 해당한다. 여기서 유재가 이처럼 금에 해당하는 신 자체, 이익 자체, 백성 자체를 문제삼고 고민한다는 것은 변화된 현실에 대한 적극적 반응이다. 따라서 유재는 일단 구체를 말하지만 그 구체는 고답적인 구체는 아니다. 신을 행함에 있어 그 신을 어떤 방식으로 행해야 하는 가에 대한 조심스런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백성을 위하고 백성을 사랑하라는 위민과 애민 정신이 유재 경세론의 핵심이다. 이런 사유에서 임금과 백성의 관계를 설정하고 바람직한 정치가 무엇인지를 밝힌다. 그 정치론은 결국 경세론의 다른 모습이다. 유재는 변화된 시세 속에서 궁극적으로 백성을 위하고 사랑하는 것을 어떤 방식으로 행해야 할 것을 고민한다. 그것의 구체적인 큰 틀은 유체신용이고 작은 틀은 상법과 변법의 관계이고 의와 리의 관계에 대한 언급이다. 백성을 위하는 정치에서의 시중적 형평성과 공정성을 요구하는 점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이런 과정에서 유재는 임금이 사리사욕을 채우는 것과 임금의 군권남용에 관한 것 등을 암암리에 비판하고 있다. 즉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 임금의 본연의 임무라고 하는 것, 과거의 현명한 임금은 백성을 위해서 노력했다는 것 등은 모두 당시 현실에서의 임금에 대한 인식이나 잘못된 정치에 대한 반성적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王權神授說이나 天授說 및 君權至上主義적 사유는 들어설 곳이 없다. 尊君重民論을 강조하는 것은 당시 군주의 무능함과 잘못된 권력 남용에 대한 유재의 일침으로 역시 오늘날에도 여전히 설득력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