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활엽수림과 침엽수림 부식토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비교

        한송이,조민혜,황경숙,Han, Song-Ih,Cho, Min-Hye,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3

        충남 계룡산 북사면 지역의 대표군락인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검토한 결과, 상수리림 부식토의 pH는 $5.3\pm0.4$, 소나무림의 pH는 $4.1\pm0.9$이었으며, 소나무림 부식토 내 탄질율은 $21.76\pm8%$로 상수리림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 내 총 유기산은 각각 69.57 mM/g dry soil, 153.72 mM/g dry soil로 나타났으며 소나무림 부식토 내 glutamine, pyruvate, succinate, lactic acid 및 acetic acid의 함량이 상수리림 부식토에 비해 약 $1.5\sim4.5$배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림 부식토 내 전세균수는 소나무림 보다 약 16배, 생균수는 약 2배 높게 검출되었다. 각 부식토로부터 직접 DNA를 추출하여 16S rRNA-ARDRA법에 의한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상수리림 부식토로부터 분리된 대표 clone은 ${\alpha}-$, ${\beta}-$, ${\gamma}-$, ${\delta}$-Proteobacteria, Firmicutes, Acidobacteria 및 Actinobacteria의 7개 계통군이 확인되었고, 소나무림 부식토외 대표 clone은 ${\alpha}-$, ${\bet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Planctomycetes, Verrucomicrobia 그리고 Bacteroidetes의 8개의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Shannon-Wiener법에 의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소나무림 부식토 내 세균군집의 다양도는 3.63으로 상수리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CA 분석을 실시한 결과, Clusters I에 속하는 모든 clone은 상수리림 부식토에서 유래된 clone이었으며, Clusters II에 속하는 clone의 67%, Clusters III에 속하는 clone의 63%가 소나무림 부식층 토양으로부터 유래된 clone으로 확인되어 상수리림과 소나무림 부식토내 세균 군집구조는 매우 특징적인 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were investigated in a quercus and pine humus forest soil. Soil pH was $5.3\pm0.4$ and $4.1\pm0.9$ from each sample of a quercus and pine humus forest soil; C/N ratio of humus forest soil was $17.84\pm4.6%$ and $21.76\pm8%$, respectively. Total organic acid was investigated as 69.57 mM/g dry soil and 53.72 mM/g dry soil in each humus forest soil. Glutamine, pyruvate, succinate,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f pine humus forest soil were $1.5\sim4.5$ times higher than those of quercus humus forest soil. As we evaluate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by 16S rRNA-ARDRA analysis with DNA extracted from each humus forest soil. Based on the 16S rRNA sequences, 44 clone from ARDRA groups of quercus humus forest soil were classified into 7 phyla: ${\alpha},{\beta},{\gamma},{\delt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and Firmicutes. Thirty-two clone from ARDRA groups of pine humus forest soil were classified into 8 phyla: ${\alpha},{\beta},{\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s, Verrucomicrobia, Planctomycetes, and Gemmatomonadetes. According to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16S rRNA base sequence, there were three main groups of bacteria. All clone of Cluster I were originated from quercus humus forest soil, while 67% clone of Cluster II and 63% clone of Clusters III were separated from pine humus forest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