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조민우,손효주,김창민,이주혁,김창완,Cho, Minwoo,Son, Hyojoo,Kim, Changmin,Lee, Joohyuk,Kim, Changwan 한국BIM학회 2012 KIBIM Magazine Vol.2 No.1

        건설 프로젝트의 정보를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공유하고 활용하는 것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 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최근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효과적인 정보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도구로써 BIM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BIM은 건설 프로젝트의 초기 계획 설계에서 유지관리 단계까지 프로젝트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 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잦은 설계변경, 기존 도면의 분실 등으로 인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정확한 정보를 포함한 BIM의 획득이 어려워 시공 및 운영 단계에서 BIM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외에서는 BIM 활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건설프로젝트 전반에서 BIM을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 중이거나 완공된 건설 프로젝트의 현장정보를 포함하는 BIM 구축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나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에 대한 필요성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 BIM 활용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 BIM 활용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첨단센서 기반의 BIM 구축을 제안하였으며, 관련 연구 고찰을 통해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has been an important issue within the architect,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BIM provides a way to share and exchange semantically rich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s in order to achieve a successful level of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stakeholders throughout the life cycle of the project. However, despite the recognition of its potential, BIM has not yet been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s because of the need to reorganize the BIM by reflecting the as-built status of the buildings. In order to improve and increase the use of BIM at all phases of a project, several research efforts are exploring the creation of an as-built BIM that is based on advanced sensors. However, there is a lack of literature and investigation on this research area to date within the domestic AEC indust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in which BIM can be utilized within the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stages based on advanced sensors so that it is an approach that might be usefully carried forward. This paper begins by presenting a review of the existing BIM research and achievement in order to determine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BIM in the domestic AEC industry.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for the future applications of BIM and describes how it can benefit from additional research.

      • KCI등재

        방향성 시추를 위한 RSS 기술특성 및 적용사례 분석

        조민우,장호창,유인항,이정환 한국자원공학회 2015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2 No.1

        The rotary steerable system(RSS) is technically capable of controlling a direction during drilling bychanging angle of bits or applying lateral force. The RSS has an advantage which is reducing the drilling timedue to its high rate of penetration(ROP). RSS has been widely applied to develop oil and gas reservoir, as wellas unconventional resources such as shale gas. This study presents technical characteristics about mechanism ofthe RSS operating and introduces laboratory experimental cases and field projects. Laboratory tests show thatit is possible to predict directional behavior of RSS. Furhemore, field projects show that the drilling time is reducedby the increasing ROP since slide was not required. The results in the directional behavior by various concretestrength and bit characteristics can be used to build and apply to a directional drilling plan for oil and gas fielddevelopment. RSS(rotary steerable system)는 시추 비트의 각을 변화시키거나 횡력을 가하여 즉각적인 방향제어가가능한 기술로써, 높은 굴진율로 시추기간을 단축시켜 시추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대규모의유·가스전 개발뿐만 아니라 셰일가스 등의 비전통자원개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SS의 작동메커니즘에 관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시추 시험을 수행한 실험실 및 현장 프로젝트 사례를 소개하였다. 실험실 시험사례를 통해 RSS의 방향성 거동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현장 적용사례 분석 결과 슬라이드없이 작업해 굴진율이 증가함으로써 시추시간이 단축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콘크리트 강도와 비트 특성에따른 방향성 거동 분석 결과는 향후 국내외 유전 개발 시 RSS를 이용한 방향성 시추 계획 수립 및 적용에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수위 예측 모델을 활용한 홍수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조민우,박장순,김성재,정회경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7 No.2

        온라인 포털 플랫폼은 뉴스 기사와 온라인 댓글을 제공하고 있으나, 온라인 댓글의 익명성은 반시민적 표현을 증가시켜 사회적 문제점으로 간주되고 있다. 댓글의 반시민성 검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비시민성을 세분화한 한국어 데이터셋이 구현되지 않아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댓글의 반시민성에 대한 라벨링을 총 13가지 항목으로 시행하였으며 반시민적 표현으로 요약하였다. 또한 어텐션 알고리즘을 이중으로 적용하여 임베딩 벡터를 추출하였고 이후 2-d CNN으로 반시민성 항목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무례한 호칭 및 공격적 어조 등의 반시민성 검출에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민주적 담론을 저해하는 반시민적 댓글들을 탐지함으로써 건전한 온라인 댓글 문화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1853년 李尚迪 연행시 고찰 − 姜時永과 李尚迪의 문헌 비교를 중심으로−

        조민우 동양고전학회 2019 東洋古典硏究 Vol.0 No.77

        Lee Sang-jeok(李尙迪1803-1865), the well-known middle-class interpreter of Joseon, wrote 6 poems with the theme of official travel when he visited the capital city Yanjing of Qing dynasty in 1853. This article analyzes those poems and also compare it with a travel note "Yuheonsamrok(輶軒三錄)" written by Kang Si-yeong (姜時永), who was the chief diplomat during their visit to Yanjing. Though the analyze, this article points out the merits of Lee Sang-jeok’s later-year poetry in two perspectives. First, in the angle of the poet himself, his poem in 1853 was full of gloom and anxiety. As an experienced poet, Lee Sang-jeok skillfully used lots of puns which made his poems both ambiguous and abundant. Second, in the viewpoint of East Asia in the mid 19th century, those emotions and double-meaning words revealed in the poems might be influenced by the internal conflict between the Qing court and the Taiping Heavenly Kingdom. Therefore, these 6 poems mirrored the image of the socio-political circumstance, as well as the Joseon literature in the mid 19th century East Asia.

      • KCI등재

        EQ-5D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 컴퓨터 보조프로그램을 이용한 표준도박

        조민우,권동섭,김선하,길선령,이상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0 No.3

        연구배경: 건강상태별 효용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표준도박법을 적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표준도박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한 바 없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해 인터넷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가치 평가하는 작업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먼저 EQ-5D 건강상태에 대해서 표준도박법으로 가치 평가하기 위하여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할 연구참여자는 경주시 인명전화번호부에서 무작위로 선택하여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10세 단위로 남녀별로 3명씩 모집하였다. 43개 건강상태에 대해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을 이용하여 가치 평가 작업을 수행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 번째 조사 4주 후에 두 번째 조사를 진행하였고, 두 번째 조사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타당도는 각 가치 평가 방법에 따른 모순값의 수를 살펴보고, 더불어 각 방법으로 구한 가중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가치평가작업을 위해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1차 조사에서는 29명의 참가자가 참여를 하였고, 2차 조사에는 이 중 22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였다. 1차 조사에서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에서 4개 이상의 모순값을 보인 참가자는 각각 2명, 9명, 그리고 5명이었다. 더불어 표준도박법과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표준도박법과 시간교환법 간의 피어슨 상관계수는 0.867과 0.894였고, 유의확률은 모두 0.001 미만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인수준에서의 급내상관계수는 시각 아날로그 척도법, 시간교환법, 그리고 표준도박법에서 각각 0.919, 0.701, 그리고 0.805로 나타났다. 결론: 인터넷 보조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한 가치평가작업을 수행한 결과, 모순값과 수렴타당도 측면에서 살펴본 타당도는 받아들일만하다고 판단되었고, 조사-재조사 방법으로 살펴본 신뢰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인터넷 보조도구를 활용하여 표준도박법으로 EQ-5D 건강상태에 대해 가치평가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타당하고 신뢰도가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The Standard Gamble (SG) method is the gold standard for valuing health states as a ut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Q-5D valuation task using a computer-assisted SG method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Methods: An internet-based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to allow respondents to conveniently conduct a valuation of EQ-5D health states with SG. For the first survey, 29 persons were recruited randomly from the general population in Gyeongju city. Of these, 22 participated in the second survey. Direct valuation was elicited for 43 health states (42 EQ-5D health states and ‘unconscious’ state) during face-to-face interviews through an internet program with a visual analogue scale (VAS), time trade-off (TTO), and SG method. Validity was assessed using the number of respondents with 4 or more inconsistenc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S, TTO, and SG value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Of the 29 respondents in the first survey, 5 had 4 or more inconsistent responses compared with 2 in VAS and 9 in TTO.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f SG-VAS and SG-TTO were 0.867 and 0.894, respectively (P<0.001). The relational formulas were SG=1-(1-VAS)0.962 (R2=0.926) and SG=1-(1-TTO)0.932 (R2=0.868). The medians of individual ICC of VAS, TTO, and SG were 0.919, 0.721, and 0.860, respectively.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internet-assisted SG method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valuing EQ-5D health states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South Korea.

      • KCI등재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의 1년 후 임상 지표와 건강 관련 삶의 질 비교: 일개 병원 기반의 뇌졸중 등록 체계에 등록된 환자를 중심으로

        조민우,배희준 대한신경과학회 2009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7 No.1

        Background: Knowing the magnitude of a problem is the first step to improving it, and quantify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llows us to do it with respect to stroke. To identify the HRQOL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nd its affecting factors, and compare it with other clinical and functional scales. Methods: A consecutive series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IS)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was recruited. Their HRQOL and ut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EQ-5Dindex-which evaluates the health profile of an individual in five dimensions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y,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and three levels (no problem, some/moderate problems, and extreme problems)-at 1 year after stroke. The Modified Rankin Scale (MRS), Barthel Index (BI), and NIH Stroke Scale (NIHSS) were used to measur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The EQ-5Dindex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were compared by clinical paramete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scales were examined. Additionally, the EQ-5Dindex in the patients was compared with that in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 Results: Among 538 patients with AIS or TIA, 465 patients (males, 59.8%; age, 65.3±11.8 [mean±SD]; TIA, 7.7%; and initial NIHSS, 4.5±5.1) were evaluated. The EQ-5Dindex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were clearly aggravated by age, but did not differ with most of the risk factors. The EQ-5Dindex was strong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ores on the MRS, BI, and NIHSS. The EQ-5Dindex was lower in patients (especially older ones) than in healthy control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EQ-5D is a feasi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HRQOL in patients with AIS or TIA. Background: Knowing the magnitude of a problem is the first step to improving it, and quantify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llows us to do it with respect to stroke. To identify the HRQOL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nd its affecting factors, and compare it with other clinical and functional scales. Methods: A consecutive series of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IS)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TIA) was recruited. Their HRQOL and ut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EQ-5Dindex-which evaluates the health profile of an individual in five dimensions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y, pain/discomfort, and anxiety/depression) and three levels (no problem, some/moderate problems, and extreme problems)-at 1 year after stroke. The Modified Rankin Scale (MRS), Barthel Index (BI), and NIH Stroke Scale (NIHSS) were used to measur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The EQ-5Dindex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were compared by clinical parameter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scales were examined. Additionally, the EQ-5Dindex in the patients was compared with that in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 Results: Among 538 patients with AIS or TIA, 465 patients (males, 59.8%; age, 65.3±11.8 [mean±SD]; TIA, 7.7%; and initial NIHSS, 4.5±5.1) were evaluated. The EQ-5Dindex and the clinical and functional statuses were clearly aggravated by age, but did not differ with most of the risk factors. The EQ-5Dindex was strong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cores on the MRS, BI, and NIHSS. The EQ-5Dindex was lower in patients (especially older ones) than in healthy control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EQ-5D is a feasi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HRQOL in patients with AIS or 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