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정평가가격의 평가편의(Appraisal Bias) 연구: 법원아파트경매자료를 이용하여

        조무상 한국감정평가학회 2024 감정평가학논집 Vol.23 No.1

        본 연구는 평가편의의 존재여부를 실증분석한 국내 첫 연구로서, 18개년(2005~ 2022년) 간의 법원 아파트경매자료의 감정가격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격 전수자료를 이용하여 감정평가가격에 평가편의가 존재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아파트 법원경매 감정가격에는 평가편의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고,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 크기는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의발생원인에 대한 가설로서 감정평가사가 상승하는 시장에서 과소평가하고 하락하는 시장에서 과대평가 한다는 Quan and Quigley(1991)의 가설은 지지되는 결과를 얻었다.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analyze the existence of appraisal bias and empirically assess whether such appraisal bias exists in appraisal prices using apartment data from court auctions over 18 years (2005 to 2022), alongside actual transaction price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results indicate that appraisal bias does not appear to be present in the appraisal prices of court auction apartments in Korea. Moreover, even if such bias exists, its magnitude is deemed insignificant. The study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proposed by Quan and Quigley (1991), suggesting that appraisers tend to underestimate in rising markets and overestimate in falling markets as a potential source of bias.

      • 지역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아파트 경매시장 분석: 낙찰률을 중심으로

        조무상,이종하 한국지방재정학회 2019 한국지방재정학회 세미나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는 최저매각가격제 및 반복경매 허용 등 우리나라 경매제도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경매시장 분석모형을 제안한다. 먼저 경매시장의 매수자인 투자자의 지불의사가격 방정식(투자자모형)과 경매의 승자인 낙찰자의 낙찰가격 방정식(낙찰자모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다. 자료의 제약으로 인하여 투자자모형과 낙찰자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이 곤란하므로 총계자료를 통해 실증분석이 가능한 낙찰률 모형을 수립하고, 2005년 1월~2018년 12월 기간의 15개 시도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낙찰률 방정식을 추정한다. 반복경매의 특성은 낙찰률 모형에 이번기 및 전기의 총경매건수와 전기 및 전전기의 총낙찰건수를 포함하므로써 반영할 수 있음을 보이고 낙찰률 모형의 이론적 부호와 일치하는 실증분석 결과를 얻었다. 실증분석결과, 우리나라 아파트경매시장의 1차 낙찰률은 대략 20% 수준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반복경매를 고려한 주택경매시장의 낙찰률 분석: 1차 낙찰률을 중심으로

        조무상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2

        This study proposes a model for analyzing the winning rate in house auction markets that can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court auction system that allows repeated auctions under the minimum sale price system. Since the auction market indicators, the winning rate and the winning price rate, are imperfect indicators because they do not remove the risk factors embedded in individual real estat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first-round winning rate. Since houses sold on the first sale date are less likely to contain risk factors, the proportion of winning auctions among newly auctioned ones is defined as the 'first-round winning rate' and a model is established to identify it by estimating the total winning rate equation which is a function of the total number of auctions and the total number of winning bids. Estimating the total winning rate equation using a panel data of 17 provinces for the apartment auction market for the period of January 2005 to December 2022 provides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he total number of auctions and the total number of winning bids are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sign of the winning rat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first-round winning rate would be about 14%. This low level of the first-round winning rate suggests th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improve the speed of auctions, and may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to estimate the true winning rate without risk factors. 본 연구는 최저매각가격제 하에 반복경매를 허용하는 우리나라 경매제도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경매시장의 낙찰률 분석모형을 제안한다. 경매시장 지표인 낙찰률 및 낙찰가율은 개별 경매건에 내포된 위험요인이 제거되지 않아 불완전한 지표이므로, 본 연구는 1차 낙찰률 추정을 목적으로 한다. 첫 매각기일에 매각된 주택은 위험요인을 포함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신규경매건 중 낙찰건수의 비율을 ‘1차 낙찰률’로 정의하고, 경매건수합계 및 낙찰건수합계의 함수인 낙찰률 방정식 추정을 통해 1차 낙찰률을 식별할 수 있는 모형을 수립한다. 2005년 1월~2022년 12월 기간의 아파트경매시장에 대한 17개 시도별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낙찰률 방정식을 추정한 결과, 낙찰률에 대한 경매건수합계 및 낙찰건수합계의 추정계수는 본 연구가 제안한 낙찰률 모형의 이론적 부호와 일치하였으며, 1차 낙찰률은 약 1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낮은 수준의 1차 낙찰률은 경매의 신속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향후 위험요인이 제거된 진정한 낙찰가율 추정을 위한 후속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등록기반통계를 이용한 아파트 공시가격지수 개발 연구

        조무상 통계청 2020 통계연구 Vol.25 No.4

        As an example of register-based statistics that are provided with administration data, this study creates an Apartment Announced Price Database of Seoul during 2017 ∼ 2019 using the raw data of Announced Price for public use, and provides an Apartment Announced Price Index. This study is to improve awareness of usefulness of register-based statistics an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production process of register-based statistics, which are based on completely different approaches from traditional statistics. The Announced Price Database crea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a number of researches with micro-level data, and the Apartment Announced Price Index provided by this study can also be used for various policy analyses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equity of taxation related to announced prices of houses. It concludes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or better utilization of register-based statistics. 본 연구는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되는 등록기반통계의 사례로서, 공개용 공시가격 원시자료를이용하여 2017∼2019년에 대한 서울지역 아파트 공시가격DB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공시가격지수의 작성결과를 제시한다. 등록기반통계는 전통적인 통계작성방법과는 전혀 다른 접근법을 취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등록기반통계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등록기반통계의 작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공시가격DB는 다양한미시적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작성된 공시가격지수 역시 공시가격의 수직적 및 수평적 형평성등 다양한 정책분석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리고 등록기반통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 마무리 짓는다.

      • KCI등재

        코로나 19가 한국의 항공운송산업에 미친 영향

        조무상,임상수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3 e-비즈니스 연구 Vol.24 No.7

        본 연구는 코로나 19가 한국의 항공운송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코로나 19 발병 이전인 2019년과2020년의 한국 항공운송산업의 생산유발계수와 공급지장계수를 비교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OECD에서제공하고 있는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한다. 또한 분석을 위한 모형으로 외생화 기법에 의한 레온티예프역행렬과 고쉬역행렬을 이용한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이용한다. 한국의 항공운송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총산출규모가 감소하였지만 코로나 19로 인한 부정적 영향의 크기는 가장 작았다. 이러한 이유는 중간수요가 감소한반면 최종수요의 증가로 인해 코로나 19로 야기된 부정적 영향을 상당부분 상쇄한 것으로 해석된다. 코로나19는 항공운송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특히 국내 최종수요가 상당부분 상쇄하였으며, 이는 ’해외직구‘ 등 국내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가 항공운송산업에 구조변화(structural change)를 야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in South Korea. It compares the coefficients of the Leontief and the Ghosh Inverse matrix for the Korean air transportation industry in 2019 and 2020. Research Methods: For this analysis, the World Input-Output Table provided by the OECD is used. In addition, as a model for analysis, an industry-related analysis model using the Leontiev inverse matrix and the Ghosh inverse matrix using the exogenous technique is used. Results in Research: The Korean air transportation industry experienced a decrease in gross output due to COVID-19, but the magnitude of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was the smalles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ile intermediate demand has decreased, the increase in final demand has largely offset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Research Conclusion: The negative impact of COVID-19 o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was largely offset by domestic final deman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of domestic consumers such as 'overseas direct purchase' has caused a structural change in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