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정보 및 안내봉사 도입을 위한 연구

        조명희,박준식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99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various basic data for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in the Korean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arrying out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the type and level of the service and the needs for introduction of the service in public libraries and using questionnaires with 242 public libraries(reference librarians) all over the country, so as to examine the librarians' views on the whole service. The questionnaire mainly included questions about actual status, present level and understanding level of the service, reference librarians' response to needs for introduction of the service, and type and level of the service available when the service has been introduced.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basic foundation, so that the Korean public libraries can realize equalization of the service and promote the 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 KCI등재후보

        Virtual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복구 경관분석기법 개발

        조명희,이명보,김준범,임주훈,김성재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1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산불 발생건수 및 피해지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불피해지 복원기술은 주로 사방복구와 조림 등 녹화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산불피해지를 중심으로 GIS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산불피해지의 공간 특성과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기법을 개발하고 virtual GIS의 활용을 통하여 공간정보자료가 산불피해지역 복원에 있어서의 경관생태학적 접근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적용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산불방지를 위해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조성된 내화수림대 및 연구대상지에 3D modeling 기법을 통하여 구축된 3D수종을 적정하게 임분배치하였다. 아울러 지위지수분류곡선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에 경년에 따른 산림경관을 조성하였으며, virtual GIS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와 가장 유사한 3차원지형을 구축하고 tracking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In Korea the number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its damaged area have increased drastically and the plans for afforestation such as sound erosion control restoration and forestation have performed to restore for forest fire damaged area. In this study fire resistant forest was developed by selecting fire resistance tree species and applying GIS analysi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forest fire and location environment in forest fire damaged area along the east coast. Moreover,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how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virtual GIS could be applied during restoring forest fire damaged area and approaching landscape ecology researches. Especially the fire resistant forest was established by using GIS analysis against large scaled forest fires then the best forest arrangement was performed through this fire resistant forest species and 3D modeling in study area. In addition, the forest landscape was established through site index on passing years and then 3D topography and tracking simulation, which is very similar to real world, were constructed by using virtual GIS.

      • KCI등재
      • 경상남도 해안 및 주요 도서지역 해안방재림 입지·토양·식생환경 조사

        조명희,박수규,조용우,장성현,김경하,윤호중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우리나라는 약 11,914.05km의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해양기원의 다양한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고 각종 개발로 인하여 점차적으로 해안방재림이 파괴되고 있어 해안방재림 조성지에 대한 실태 및 입지·토양·식생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해안방재림 입지·토양·식생환경조사는 기존 문헌 및 자료를 이용하여 임분상태가 양호하고 일정면적(1.0ha) 이상인 해안방재림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내용으로는 해안방재림 실태조사로서 해안방재림의 위치정보, 임종, 임상, 밀도, 풍속 측정높이 등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였고 해안방재림 식생구조로는 위치정보, 임종, 임상매목 수종의 경급, 수고 및 교목층 등을 조사하고 해안방재림 토양단면의 위치정보, 토심, 층계, 토색, 토성, 석력 등의 전반적인 토양특성 및 입지 환경의 조사와 토양의 물리적 특성(토색, 토성, 유효토심 등)과 토양의 화학적 특성(pH, EC, 유기물(OM), 전질소,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CEC), 치환성양이온(Ca++, Mg++,K++, Na++) 염분농도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각종 현황 및 식생·입지·토양 등의 경상남도 해안 및 도서지역 해안방재림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몇몇 조사지에서는 지역주민들이 방풍림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조성, 보존해오고 있는 숲이 다수 있었으며 현재도 지속적인 관심과 보호 속에 방재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상남도 해안 및 주요 도서지역의 지역적인 식생을 고려한다면 교목층은 곰솔, 낙엽활엽수, 상록활엽수,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상록활엽수가 해안방재림의 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해안방재림의 문제점으로 몇몇 지역은 해안침식으로 인해 이미 수목의 뿌리가 노출되고 있으며, 해안방재림의 해안 쪽과 해안방재림의 내륙 쪽에 산림훼손이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로 인해 해안방재림의 길이와 폭이 축소됨으로써 방재림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용자의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는 해안방재림내의 시설물과 생활쓰레기 등으로 인해 산림 내에서 오염이 발생되고 있었다. 이런 지역들은 복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해안방재림 모니터링이나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사연구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생태 및 환경 친화적 해안방재림 조성 모델의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해안방재림과 관련한 법률 제정·개정을 위한 기초자료 및 향후 정책방안을 제시 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교육요구분석에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에 따른 모델 수정에 관한 연구

        조명희,이현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3

        This study engages in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target i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It also explores the meaning of importance scores, related issues, and solu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related to background knowledg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rankings between teacher candidates and current teachers were verifi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10 competencies out of 13. Second, this study introduces a modified model for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inexperienced learners. The model was created after exploring issues with preceding studies, alternative models, and better methods. The model focused on the meaning of importance scores of learners with in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riorities of the existing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regarding the educational needs of inexperienced learners, were examined. Its validity and usability were confirmed by comparing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between the existing formula and the modified model.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approached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which is essential in curriculum design, using a more realistic approach. 최근 들어 역량기반의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예비교사와 같이 아직 현장 경험이충분하지 못한 대상자에게까지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요구 파악을 위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은 기존의 경험이 풍부한 대상자에게 적용했던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과 경험의 정도에 따라 보다 타당한 교육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험학습자라고 할 수 있는 현직교사와 아직 교직경험이없는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인식하는 스마트교원역량의 중요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기존에 교육요구분석에서 사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스마트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한 역량에 대해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 큰 인식차이가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결과로, 이는 역량에 대한 중요도 판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과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 보다 적합한 모델을 제안했다는 점에서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사범대학 재학생의 교수역량: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명희,이혜연,이현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4 敎員敎育 Vol.30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studying to become teachers. A conceptual framework was developed by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and a competency model was structured by gathering opinions from experts. After the competency model was finaliz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department heads and the Delphi survey with 17 professor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S university, a teaching competency measurement tool was developed. To validate the model and the measurement tool, 419 student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surveyed fo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even competencies were ethics and passion, subject expertise,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teaching practice, evaluation, counseling and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is measurement tool can be used for revising curricula and improving educational programs in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는 교사가 될 사범대학 재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 및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개념적 틀을 도출한 후,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잠정적 교수역량 모형을 도출하였다. 초점집단인터뷰와 델파이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모형을 확정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모형의 타당성 및 진단도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범대학 재학생 41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어 교수역량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결과, 사범대학 재학생의 교수역량은 윤리의식 및 열정, 교과전문성, 수업설계 및 자료개발, 수업실행, 평가 및 결과활용, 상담 및 생활지도, 학급운영 및 행정의 7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편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