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티스트의 난치병 발병 저감을 위한 창작 환경 개선방안 연구

        조명계,Joh, Myung-Gye 한국교육시설학회 2019 敎育施設 Vol.26 No.3

        Purpose: The human body is a chemical laboratory. Artists are exposed to a variety of chemicals in art studio space and the art materials used in the creation contain toxic ingredients, exposing them to a variety of incurable diseases, including cancer. It aim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tudio space environment and the risks of art materials, which are fundamental causes of the outbreak of incurable diseases, and to derive the direction of specific practices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incurable diseases by artists. Method: The harmfulness of an artist's creative space is the cause of a disease outbreak, and two primary factors cause it. One is the environmental hazards caused by the use of tools, air pollution, and chemical hazards caused by art materials in the architectural space environment of the studio. Necessary measures are put forward to control disease outbreaks by identifying the status and cause of intractable diseases caused by studies. Result: The plan is urgent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ty rules and regular pre-trainthese two factors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investigationing, the legal provisions of studio architecture design and the introduction of labelling rules to control the distribution of harmful art materials.

      • KCI등재

        세계화 과정과 문화패권주의 지역분화 경향

        조명계(Joh, Myung-gye)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프랑스를 거쳐 유럽대륙으로 확산되었던 중세 서구의 사고와 지식 그리고 문화가 지금까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는 프랑스 문화와 합리주의를 내세우는 앵글로색스니즘의 문화가 그 중앙에 서 있다. 그리고 이들 문화 권력은 대량소비사회를 만들어낸 미국사회에서 꽃을 피우게 되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문화패권주의라고 부른다. 문화패권의 흐름은 그리스 로마의 지역문화 패권을 거쳐 중세 유럽 두 곳에서 18-19세기에 다시 나타났는데 바로 프랑스 문화패권주의와 앵글로색스니즘이다. 이들 두 문화패권주의의 흐름과 경향 및 충돌은 현재진행형으로 대부분의 세계가 아직도 이들 영향권 내에 있다. 그러나 문화는 수용보다는 거부의 측면도 존재한다. 헤게모니는 반드시 반작용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경제적 독립개념은 문화적 독립개념까지 불러오게 되었으며 바로 문화적 헤게모니에 대항하는 지역 분화된 문화패권주의를 불러오게 되었다. 그간의 문화패권주의는 기존 열강들이 도전에 직면하고 해체되면서 힘의 균형이 재편되어 지역별로 새로운 힘의 구도가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지역문화패권주의가 떠오르고 있다. 해당 지역마다 고유한 문화패권주의가 자라나기 시작했으며 힘으로 대항하는 때가 도래했다. 즉 기존의 세계화 과정에서 검토했던 전략들보다 새로운 지역문화패권주의 속에서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The thoughts, knowledge, and culture of medieval Europe-proliferated in Europe from France?are currently influencing the entire world. The French culture and the rational culture of Anglo-Saxonism form the center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urope. This cultural power has also flourished in the American society where the culture of mass consumption has grown. All these phenomena are commonly known as “cultural hegemony.” The trend of cultural hegemony was evident in localized cultural hegemony in Greece and Rome and then in Europe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ich is known as French cultural hegemony and Anglo-Saxonism. Unlike Anglo-Saxonism, French cultural hegemony, which has driven the universal proliferation of French culture, was developed while striving to overcome the mighty power of America since World War II. However, the culture may be refused rather than accepted. The concept of economic independence is accompanied by the concept of cultural independence, which pits localized cultural hegemony against cultural hegemony of an economic power. Meanwhile, the balance of power has been reorganized, while the cultural hegemony of the existing powers disintegrated when faced with various challenges. As a result, regions created a new power map characterized by localized cultural hegemony. Now, there appears a unique cultural hegemony in every region and there is conflict between local hegemonies. Therefore, a new strategy may be required in new local cultural hegemony rather than strategies that have been considered in the existing globalization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18세기 영국 미술시장의 발달과정 고찰

        조명계 ( Myung Gye J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18세기를 지나면서 영국은 유럽에서 가장 앞선 경제력을 구가하는 국가가 되었으며 미술시장 역시 가장 커다란 호황기를 맞게 되었다. 18세기는 영국에게 사회 경제적으로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었는데 특히 르네상스 이후 진행과정이었던 예술과 상업의 결합 움직임, 다시 말해 예술의 상업화 과정 속에서 미술시장이 가장 큰 호황기를 가졌던 시기가 되었다. 미술품이 시장에서 순환된다는 것은 경제적인 이유와 사회적인 이유가 있어야 설명된다. 새로운 유통플랫폼으로서 경매의 생활화와 옥션하우스라는 이름의 경매장소가 등장하면서 이들 경매에는 신흥 사회엘리트들과 중산층들이 참여했는데 이들 경매시장은 18세기 들어서 더욱 일반화되면서 경매의 사회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정치 경제적 환경 변화가 선행되었기 때문이었는데 제국 간의 상업경쟁에서 네덜란드를 물리치고 선두로 나섬에 따라 세계 상업패권의 장악, 산업혁명이라는 경제혁명에 따른 내부 사회의 변화로 새로운 사회계급 부르주아지의 등장을 가져왔다. 또한 르네상스 이후 대륙에서 불어온 문예사상의 확대는 계몽사상의 확산과 대중의 휴매니티 현상이 퍼지면서 18세기 영국 미술시장은 대중화되기 시작 한데는 네덜란드로부터 경제력 패권 및 유럽미술시장의 중심축을 넘겨받으면서 유럽의 중심시장으로 서게 된 것이다. 이러한 18세기 영국미술시장의 특징은 과거의 수집과 호기심의 충족이라는 두 단어로 집약된다. Through the 18th century, England jumped up to become the most advanced nation in Europe. Along with this trend, the art market in England went into its most prosperous period. In the 18th century, England experienced numerous social and economical upheavals, one of which was the movement combining arts and commerce. The commercialization of art, which had been underway since the Renaissance, was a driving force of the most prosperous period of art market. The circulation of artworks in a market may be described in economical and social terms. With the appearance of daily auction, which was a new distribution platform, and the Auction House, where auctions were conducted, emerging social elites and middle classes start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auctions. Throughout the 18th century, the auction market grew in popularity, which caused the socialization of auction. Actually, the preceding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 were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Specifically, England`s defeating the Netherlands in the empirical commercial competition allowed the British Empire to take the lead and to assume the global commercial hegemony. In parallel, the economic revolution-the so-called Industrial Revolution-gave rise to changes within the English society where the bourgeois emerged as a new social class. In addition, with the expansion of literary thought, which had been coming over from the Continent since the Renaissance, the Enlightenment spread widely, and the humanistic thought had greatly influenced the public.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rt market in England of the 18th century gained in popularity and, taking over the economic hegemony of the Netherlands, became the central axis of the overall European art market. The multiple and varied characteristics of England`s art market of the 18th century can be boiled down to two central aspects: collection of the past and fulfillment curiosity.

      • KCI등재

        가치수혜개념에 의한 건축물미술작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명계 ( Myunggye Jo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물미술작품제도에 관한 정책이 실행된 후 설치된 대부분의 미술작품들에게는 정책초기의 긍정적인 입법취지와 당위성과는 달리 부정적인 평가가 주어져 왔다. 이에 따라 제도의 개선 필요성이 늘 제기되어 왔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정책 실행 30년째를 맞이하여 이제는 종합적인 평가가 다시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새로운 비평시각에 의한 제도분석으로 문제의 근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현재까지 수행된 선행연구논문들을 제도개선과 관련하여 밀접하게 접근된 논문들 69편을 KERIS의 RISS에서 추출하여 연구자들의 비평방향성을 분석했다. 또한, 기관에서도 문제해결을 위한 공적보고서들을 발표해 왔으므로 이들을 분석했다. 아울러, 서초구 내에 건립된 281점의 조형물들을 실증조사 분석했으며 현 제도의 법률적인 측면을 분석했다. 미술작품의 가치는 감상과 소비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해당 건축물미술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소들인 생산자인 아티스트, 소비자인 건축주와 감상자 이들 관여자들이 현 제도에 의해 가치수혜를 받고 있는지 여부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분석했다. (결과) Primary Data로서의 선행연구 분석으로부터는 대부분 연구논문들이 제도의 불합리성을 인지한 채 찾아낸 문제점들의 근원을 파악하고자 했으며 Secondary Data인 기관의 연구보고서들 역시 제도의 유지관리 문제점이 상당함을 이미 인지하고 이를 위한 해결관리방안보고서들을 내놓고 있는 중으로 이들 두 가지 데이터에서 얻을 수 있었던 바는 미술작품의 관여자들이 가치수혜를 입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유지관리에 관한 개선방안들을 내놓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초구 내 조형물들의 실증조사 결과로부터도 매우 구체적인 미술작품의 환경실태와 관여자들이 어떠한 가치수혜도 느끼지 못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가치수혜를 느끼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는 현 제도가 헌법에 규정한 원론적인 국민기본권 침해의 가능성이 분석되었다. (결론) 근 20여 년 동안 도출된 다양한 연구들로부터는 제도의 분석과 관리실행의 개선을 요구하는 결과들이 주어졌으며 아울러 관여자 셋의 입장에서 관여자들 모두가 가치수혜를 입지 못함이 밝혀졌고 법률에 의해 가치수혜가 제한되는 현실과 기본적으로 제도의 개념부터 관여자들의 가치수혜를 고려하지 않았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헌법에 보장된 국민기본권을 축으로 하는 새로운 시각에 의한, 관여자들의 공평한 가치수혜개념에 입각한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향후 이를 근간으로 개선방안이 이루어질 때 해당 제도는 효율적인 공간디자인의 가치를 제고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고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Most works of art, install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pertaining to the artwork decoration system’s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still negatively appreciated. This goes against the original purpose and suitability established in the initial phase of the system’s constitution. In this context, it was deemed necessary to improve this system, with multiple research results being cited. To mark the 30th year of the policies’ implementation, the author considered that the time had come for a comprehensive reevaluation. Accordingly, the major cause of the problem is to be investigated using critical analysis. (Methods) Much of the research effort to improve the system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relevant policies and the management environment. To this end, 69 research studies were selected from RISS of KERIS that analyzed viewpoints and research directions since 2000. Government agencies also released a public report that sought to address pertinent issues with the current system. In addition, a substantive analysis of 281 sculptures and their environment installed in Seocho-gu was conducted so as to study the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current system and its legal standing. Considering that the value of artworks should be expressed through sentiment and consumption, the study analyzed whether some core components contribute to the value of current environmental sculptures that belong to the artwork decoration system. These components include the collective opinions of interveners: “artists” as “producers,” “building owners” as “consumers,” and “viewer.” (Results) In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basic problem, most research works recognized the system’s irrationality in precedent research analysis of primary data. A government agency’s research report recognizes the severity of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system, and addresses these problems. However, the three interveners in artwork are not given any value benefit. Although there are research reports or improvements to solve problems, the results of the substantive study of the sculptures in Seocho-gu show that all three interveners do not perceive any value benefit. The fundamental problem that prevents the perception of value benefit lies with the possible infringement of essential, basic national rights stipulated in Constitutional Law: rights related to national property, artistic expression and the environment. (Conclusions) Over the last 20 years, research results have only required analyzing the system and improving the execution of management. The perspective of the three interveners was that none of them had seen any advantages yet. Also, it was found that the eligibility of the advantage was limited by law and in reality. None of the interveners had basically considered value benefit concepts, let alone system concepts.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accordingly, in light of the fair value benefit concept of interveners at the axis of national basic rights assured by Constitutional Law. When the system is improved based on these concepts, it could play a pivotal role in raising the value of effective space design.

      • KCI등재

        비통제적 미술품 경매시장 개선방안 연구

        조명계 ( Myung Gye Jo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한국의 2차 미술시장(Secondary Art Market)은 크게 화랑업계와 경매업으로 나뉘어져 있는 가운데 현재 급속히 성장한 경매업에 대한 화랑업계의 대응 수위가 매우 높아진 실정이다. 가장 큰 이유로는 경매업이 미술시장에서 또 다른 수익 창출을 위한 미술 사업의 도구로 등장함에 따라 우후죽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보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경매업이 지니고 있는 순기능, 추정가격 결정기능과 작품가격 조정 기능 등 능동적 기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공정성에 기초하여 분석해 보고자 했다. 또한, 미술시장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비공정성 속에 사회적인 약속으로서 경매업의 윤리적 기능과 역할 및 의무가 무엇인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경매업의 대주주가 화랑이 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 직접 작품을 매입하여 경매에 올리는 경우 등이 타당하지 않은 이유 그리고 과다한 생존 작가 작품의 취급은 화랑업계의 고유기능 침해인 이유 등이 문제제기 되었으며, 따라서 경매업을 규제 및 관리할 수 있는 경매업 허가제, 위탁물품 관리규정, 경매장의 운용 준수규정 등 법률 환경의 조성이 시급함을 도출했다. Korea`s secondary art market is largely divided into the gallery field and auction field and currently, the response level of the gallery field to the rapidly growing auction field is very high. The biggest reason for such a high level of response is the looming possibility that art auction may change into uncontrollable forms as the auction business appears as a tool to create profit. In this regard, the current thesis tried to look into the positive functions of the auction business including its good functions, estimated price-deciding function, art work price-adjusting function and etc. and analyze them on the basis of fairness. Also, it analyzed the ethical functions, roles and duties of the auction business as its social promise amid the unfairness inherent to the art market. Through this, it drew out the reason that large share holders of the auction business should not be galleries, the reason that it`s not proper to put on auction works directly purchased, the reason that too many works of living artists handled in auction intrude upon the functions inherent to the gallery field and etc. In this context, it analyzed the urgent needs for forming legal environments including a permit system of the auction business that can regulate and manage auction, regulations on managing commissioned works, regulations on observing auction site management rules and etc.

      • KCI등재
      • KCI등재

        미술대학 실기실의 창작환경 실태분석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강고운(Gowoon Kang),조명계(Myunggye Joh) 한국미술교육학회 2015 美術敎育論叢 Vol.29 No.2

        본 연구는 미술대학 실기실 환경조사 점검항목에 따른 창작환경 실태 분석과 질병 및 안전사고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실기실 창작환경 기준 매뉴얼 작성 가이드라인 수립의 필요성을 문제제기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에서는 미술대학 실기실의 불충분한 환경문제의 실상을 파악하고 그 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미술재료의 유해성 및 실기실 환경문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미술재료들이 유발하는 각종 질병 현황을 학문적, 사례적 기반을 통해 분석하였다. 예술가로서의 삶을 지탱해 줄 경제력과 건강은 매우 필요하다. 미술가들은 산업 현장과 유사한 작업환경 하에서 창작 작업 을 한다. 그럼에도 일반인보다 높은 발병률 및 사망률을 보인다. 작가들은 그들이 작업하는 환경과 미술재료들이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고 있으며 창작의 결과물에만 관심을 두고 있다. 유관 부처와 학교 당국이 시급히 필요로 하는 바로 첫째, 필요 충분한 법률적 요건의 제정이 시급하며 이를 통해 미술가들이 창작활동 중 접하게 되는 유해환경물질의 노출수준 파악을 통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 하는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 둘쨰, 실효성 있는 실기실 운용 가이드라인 규정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차원의 미술대학 실기실 관리와 사용 수칙 가이드라인 제정 및 미술재료의 라벨부착 법률화가 요구되며 각급 학교의 실기실 사용자를 위한 인지교육실시 등 독려를 유발해야 한다. This research is for analysing the status of creativ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research of the list of items that need to be checked within an art university’s practice rooms, i.e. studios, in order to support the need for establishing a common manual and a guideline for the studio.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various problems including toxic materials and other problems that can be found within an art university’s studios. In order to do so, various diseases that can be acquired from art supplies were analysed by academic standards and case studies. In order for an artist to maintain a certain quality of life, good health and financial stability are essential. Most artists work with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industrial workers. Therefore, many artists seem more vulnerable to diseases and show higher mortality rate than an average person. Related government organisations and schools need, first and foremost, establishing of legal grounds on which a clear standard can be set to assess the level of toxic environmental factors and materials artists face during their creative process. Secondly, there is a dire need for establishing a clear and enforceable guideline by which studios can be maintained and used. Through this research, a move for establishing clear guideline for studio usage and legal requirement for labelling of art supplies by the government should take place, and necessary education should take place to allow studio users to be made aware of these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