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570 호산구증가증과 PDGFRB 유전자 재배열을 보인 골수종양 1예

        조남길,정소영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6 No.1

        PDGFRB 재배열을 보이는 만성골수증식 종양은 매우 드문 Philadelphia염색체 음성 골수 증식성 질환으로 78%에서 t (5;12) 전위를 보이고 54% 에서 t (5;12) (q33;p13)의 염색체 이상을 보인다. 임상적으로 PDGFRB 양성 질환은 호산구증가증을 동반한 만성골수단핵구성 백혈병, 비정형 만성골수구성 백혈병, 골수이형성증후군/골수증식성종양 중복 증후군으로 나타날 수 있다 증례의 환자는 건강검진상 우연히 발견된 말초혈액의 백혈구 및 호산구 증가증(백혈구 52.870/uL, 호산구 11%)으로 실시한 골수검사에서 호산구 증가, 골수유전자 검사상 PBGFRB 융합 유전자 양성소견으로 PBDGFRB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 종양으로 진단하였다. 환자의 골수염색체 분석에서 20개의 세포 모두에서 46, XY, t (5;12) (q33;p13)의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었다 저용량 imatinib (100 mg)을 투여 시작하였고 3개월 후 백혈구 10,000/uL(호산구 3.2%) 로 호산구증다증의 개선 소견을 보였다. 치료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골수조직검사 및 염색체검사를 시행하였고 처음 관찰되던 염색체 이상은 모두 정상화되었고 PDGFRB FISH도 음성소견을 보여 현재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따라서 과호산구증다증 보이는 경우 PDGFRB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종양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며 분자유전학적으로 PDGFR 재배열을 보일 경우 즉시 imatinib의 치료가 필요하다

      • 수입자유화에 따른 식물검역의 과제

        조남길 한국작물보호협회 1990 자연과 농업 Vol.11 No.6

        농산물을 수입하거나 외국여행시 가져올 때에는 다시한번 식물검역에 대한 안전을 생각하여 병해충에 감염된 식물이 국내에 유입되는 길이 없도록 전국민의 협조가 필요한 때이다.

      • KCI등재

        호산구증가증과 PDGFRB 유전자 재배열을 보인 골수 종양 1예

        조남길 ( Nam Gil Cho ),김대진 ( Daejin Kim ),심민정 ( Minjung Shim ),정소영 ( So Young Chong ) 대한내과학회 2017 대한내과학회지 Vol.92 No.1

        본 증례에서 알 수 있듯이 PDGFRB 골수증식 종양에서 im-atinib의 사용은 과호산구증가증의 자연 경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과거 imatinib을 사용하지 않던 환자들의 경우 2년 생존율이 55% 정도였던 것에 비해 imatinib을 사용하는 경우 10년 생존율이 90%로 극적인 상승이 있었다. 따라서 과호산구증가증 보이는 경우 PDGFRB 재배열을 동반한 골수 종양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며 분자유전학적으로 PDGFR재배열을 보일 경우 즉시 imatinib의 치료가 필요하다. Myeloid neoplasia with eosinophilia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 beta (PDGFRB) rearrangements is an uncommon Philadelphia-negative myeloproliferative neoplasm. Their most common morphological diagnosis is chronic myelomonocytic leukemia with eosinophilia, which is associated with t(5;12)(q33;p13) and results in the formation of the ETV6-PDGFRB fusion gene. Here, we report a 49-year-old man with a myeloid neoplasm with a PDGFRB rearrangement, who was incidentally diagnosed with hyperleukocytosis and eosinophilia during a health screening. A chromosome analysis of a bone marrow sample revealed 46, XY, t(5;12)(q33;p13), and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nalysis revealed the PDGFRB gene rearrangemen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imatinib and subsequently achieved complete hematological and molecular remission. (Korean J Med 2017;92:79-83)

      • 품질관리 자동화 -공정의 이상 패턴 인식을 위한 법칙-

        김성인,조남길,한정희,Kim, Seong-In,Cho, Nam-Gil,Han, Jeong-Hee 대한산업공학회 1995 산업공학 Vol.8 No.3

        Expert system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quality system to be automated and thus to be an essential integrating mechanism in any move towards CIM(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A quality control expert system is introduced and its relationship to CIM is illustrated in a case study. Process control expert system developed by Kim and Sin[6] has been improved via ODBC(Open DataBase Connectivity) for efficient information network, graph representation using Windows API for rapid response and some new rules for identification of patterns in control charts.

      • KCI등재

        수직사이로에 있어 MB훈증제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 시험

        하재규,김진태,조남길,김병호 한국응용곤충학회 198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20 No.4

        이 시험은 수직 사이로에 충진된 옥수수를 대상으로 M.B를 사용하여 자연중력하에서 소독할 때 M.B가스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이로 표층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2시간후부터 100mg/l 이상에서 20mg/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2.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3m 깊이 지점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12시간이후 100mg/l 이상에서 30mg/l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표층의 고농도 M.B가스가 불과 30분 이내에 3m 깊이 까지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고농도의 M.B가스는 13m 깊이 지점까지 1시간 이내에 침투되었으며 투약후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100mg/l 이상40mg/l 이상의 M.B가스가 검지되는 것으로 보아 자연중력하에서 옥수수를 소독하는 경우 13m 깊이 부근에 M.B 가스의 고농도 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사이로 기부(21m 지점)의 M.B가스는 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아 M.B의 침투가 아주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5. M.B 가스의 횡 확산성은 수직 침투성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사이로 길이 3m의 경우 투약방향으로부터 약 13m지점의 qdnl는 중심부의 약 , 그리고 깊이 13m 지점에서는 지점에서는 의 농도에 불과하였다. 6. 투약후 24시간만에 조사한 사이로의 표층 및 기부(21m 지점)에 삽입 했던 공시충(거짓쌀도둑)은 모두 사멸되었으며 48시간후에 조사한 3m, 7m, 및 13m 지점의 공시충도 모두 사충으로 발견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netration velocity and diffusion ability of methyl bromide fumigants under the condition of natural gravity, and the effect of in control of yellow corn in the vortical silo. The results were as fallows 1. The methyl bromide remainded concentration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silo was rapidly reduced from over 100mg/l to under 20mg/l, within 2 hours after supplying methyl bromide fumigant 2. Even 3m depth place from the surface of the vertical silo filled with yellolw corn was well penetrated within 30 minutes, but its remained methyl bromide gas was reduced gradually from over 100mg/l to 30mg/l after 12 hours duration. 5. In case of 13m place tile penetration ability of methyl bromide was over 100mg/l within one hour and kept the same concentration of it for 12 hours, its remainded methyl bromide preserved over 40mg/l until 48 duration time. 4. Less methyl bromide gas was detected at the bottom place than 3m and 13m depth of the vertical silo. It showed bellow 20mg/l of methyl bromide gas only through the whole duration time. 5. Comparing to the vertical penetration velocity of mehtyl bromide gas, the horizontal diffusion ability was not so good. Therefore, remained methyl bromide gas of 3m depth at the wall side of silo was about half than that of center circle where the nearer place from the methyl bromide supplying point, and the methyl bromide gas of 13m depth placed center circle was detected about 15 to 20 times than that of wall side. 6.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ortality of methyl bromide, the testing insects (Lesser Rice weevil and confused flour beetle) placed on the surface and bottom side of the silo were killed completely after 24 hrs fumigation, and the same results showed also at the 3m, 7m and 13m depth after 48 hrs fum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