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rgical Treatment of Adult Degenerative Scoliosis

        조규정,김영태,신상현,석세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4 Asian Spine Journal Vol.8 No.3

        The rapid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has resulted in increased prevalence of adult scoliosis. Adult scoliosis is divided into adult idiopathic scoliosis and adult degenerative scoliosis. These two types of scoliosis vary in patient age, curve pattern and clinical symptoms, which necessitate different surgical indications and options. Back pain and deformity are major indications for surgery in adult idiopathic scoliosis, whereas radiating pain to the legs due to foraminal stenosis is what often requires surgery in adult degenerative scoliosis. When selecting a surgical method, major symptoms and underlying medical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evaluated, not only to relieve symptoms but also to minimiz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rgical options for adult degenerative scoliosis include: decompression alone; decompression and limited short fusion; and decompression coupled with long fusion and correction of deformity. Decompression and limited short fusion can be applied to patients with a small Cobb’s angle and normal sagittal imbalance. For those with a large Cobb’s angle and positive sagittal imbalance, long fusion with correction of deformity is required. When long fusion is applied, a careful decision regarding the extent of fusion level should be made when selecting L5 or S1 as the distal fusion level and T10 or the thoracolumbar junction as the proximal fusion level. For the fusion extending to the sacrum, restoration of sagittal balance and rigid fixation with additional iliac screws should be considered. Any surgical procedures for adult degenerative scoliosis are known to have relatively high occurrences of complications; therefore, risks and benefits should be meticulously considered before selecting a surgical procedure.

      • KCI등재
      • 장애인 체육의 현실과 미래

        조규정 호남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2008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4 No.-

        본 연구는 장애인체육의 태동과 발전, 장애인체육의 국내외 동향, 장애인체육의 행정조직현황, 장애인체육시설 현황, 장애인생활체육 참여인구 현황 등을 살펴보고 있다. 이를 통해 장애인체육의 발전방향과 정책개선을 제시하고 복지사회에서 장애인 체육이 장애인만의 생활로 인식되지 않고 우리 모두의 사회복지로 인식되어 장애인의 건강과 자신감, 사회적 참여의 장으로서 체육문화 발전에 계기가 되기를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covers the birth and progress, the foreign and local trend, the organizations, the facilities and the status of participating popul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for thedisabled people. This shows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the policy improvement of the disabled's physical education, and also it shows that the physic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should be recognized social welfare for all, not only for the disabled, and bring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al education culture as chances for the health, the self-confidence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 KCI등재

        요추 퇴행성 질환에서 4도 케이지를 사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은 요추 전만각을 얼마나 회복시키는가?

        조규정,김영태,박승림,홍승현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2

        연구 계획: 후향적, 방사선적 평가목적: 퇴행성 척추 질환에서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로 요추 전만각과 추간판 높이가 얼마나 회복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후 요추 전만각의 회복은 환자의 예후에 있어 중요하나, 케이지와 요추 전만각의 관계에 대한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추간판 질환으로 케이지와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 받은 81명을 분석하였다. 전체 환자의 평균 나이는 61세 (38-83세)였다. 전만각이 4도인 금속 케이지를 사용한 환자만 포함하였다. 불유합, 케이지의 침강, 기기 파손 등의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요추 전만각, 케이지가 삽입된 요추 분절각, 추간판 높이, 시상축 정렬을 분석하였다. 결과: 유합한 분절 수는 62명에서 1 분절 유합, 19명에서 2분절 유합을 시행하였다. 3 분절 이상의 유합은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유합 범위는 3요추부터 1천추사이였다. 요추 전만각은 수술 전 34.2°에서 수술 후 34.6°로 회복되었다가 최종 추시시 32.2°로 나타나, 수술 전에 비해 요추 전만각이 감소하였다(p=0.008). 케이지가 삽입된 요추 분절각은 3-4 요추에서 수술 전 5.0°가 최종 추시시 4.3°로, 4-5 요추에서 수술 전 7.1°가 최종 추시시 6.2°로, 5요추-1천추는 수술전 9.8°가 최종 추시시 9.1°로 확인되었다. 추간판 높이는 수술 전, 수술 후, 최종 추시시 각각 3-4 요추가 0.40-0.42-0.40, 4-5요추가0.38-0.47-0.41, 5요추-1천추가 0.45-0.49-0.48로 나타나 수술 전에 비해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전만각 4도의 금속 케이지를 이용한 후방 추체간 유합술 결과 추간판 높이는 수술전과 비교하여 유지 및 회복되었으나, 요추 전만각과 케이지가삽입된 분절각은 오히려 수술 전 보다 감소하였다. 색인단어: 후방 요추체간 유합술, 케이지, 요추 전만각, 분절각, 추간판 높이약칭제목: 케이지를 이용한 요추 전만각의 회복 Study Design: Retrospective radiological evaluation.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much lumbar lordosis and disc heights are restored after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with cage in degenerative spinal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Restoration of lumbar lordosis in lumbar spine surgery is crucial for clinical outcomes,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oration of lumbar lordosis and cage. Material and Method: Eighty-one patients with degenerative spinal diseases underwent PLIF using metal cage with 4o lordotic angle. The mean age was 61 year-old (range 38-83 years). Cases with late complications including nonunion, subsidence of cage and instrument failure were excluded in this study. Lumbar lordosis, segmental lordosis, disc height, and sagittal alignment were analyzed on radiographs. Results: The fused level was one segment in 62 patients and two segments in 19 patients. All patients had the fusion from L3 to the sacrum. Preoperative lumbar lordosis was 34.2o, improved to 34.6o after surgery, and then changed to 32.2o at the final follow-up,demonstrating that the cage with 4o lordotic angle was not effective to restore lumbar lordosis. Segmental lordosis at the level of cage decreased at the final follow-up as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 at all segments. Disc height was improved at the final follow-up as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 Conclusion: Disc height was restored after PLIF using cage in the surgery for degenerative lumbar spine. However, lumbar lordosis and segmental lordosis were decreased at the final follow-up as compared to preoperative lordosis.

      • KCI등재

        신경 증상이 있는 요추 및 흉요추의 방출성 골절에서 후외방 감압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이용한 치료

        조규정,문경호,김명구,고석면,박현우,박승림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2

        연구계획 :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 신경 증상을 동반산 요추 및 흉요추 방출성 골절을 후외방 감압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로 치료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11예의 환자를 수술하여 1년 이상 추시하였으며 술전과 술후, 최종 추시시 척수강 골 침범율과 추체의 시상각, 신경 손상의 회복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척수강 골 침범율이 술전 60.4%에서 술후 12.8%로 호전되었고 추체의 시상각은 시상지수로 측정하여 술전 24.5도에서 술후 2.3도, 최종 추시시 5.1도로 나타났다. 신경 손상의 회복은 Frankel 등급으로 측정하여 술후 평균 1.1등급의 회복을 보였다. 결론 : 신경 증상을 동반한 요추 및 흉요추 방출성 골절에서 후외방 감압술과 후방 기기 고정술을 시행하여 신경손상의 회복, 시상각의 복원과 견고한 골 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outcome of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in lumbar and thoracolumbar burst fracture with neurologic deficit.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decomress the spinal canal following fracture. The use of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had been limited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postoperative instability and further neurologic injury. The development of fixation system and new designed impactor solved the limitation of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 11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and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in burst fractures were performed. We measured canal compromise, reduction of sagittal curve and recovery of neurologic condition before and after surgery and at final follow-up. Results : Canal compromise was reduced from 60.4% to 12.8% postoperatively. The sagittal index was 24.5˚preoperatively, 2.3˚postoperatively and 7.4˚at final follow-up. The recovery of neurologic condition was 1.1 degree in Frankel grade. Conclusion : Single-stage posterolateral decompression and posterior instrumentation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obtain neurologic recovery and rigid stabi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a lumbar and thoracolumbar fractture witn neurologic deficit.

      • KCI등재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제 5요추-1천추간 불유합

        조규정,박승림,정재훈,원만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7 No.2

        Study Design: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rate of pseudarthrosis at L5-S1 after posterolateral fusion only for degenerative lumbar spinal disease, and to determine the radiological findings that help diagnose pseudarthrosis. Summary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pseudarthrosis rate at L5-S1 is much higher than that at the other lumbar segments. However,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r the rate and risk factors of pseudarthrosis at L5-S1.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8 patients who underwent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and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were evaluated with a minimum of 1-year follow up. Bony union was evaluated by the bony fusion mass, the angulation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nd the radiolucent zone around the pedicle screws. The patients’ age, bony mineral density,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and lumbar lordosis were evaluated for their association with pseudarthrosis at L5-S1. Results: Pseudarthrosis developed in 22 patients at L5-S1 and in 8 patients at other levels. The change of angulation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t the last follow-up was 5.2° in the pseudarthrosis group and 1.7° in the fusion group (P=0.3). A radiolucent zone of the sacral screws was noted in 10 patients; in 7 of the 22 patients in the pseudarthrosis group and in 3 of the 66 patients in the fusion group. The average age, the mean number of levels fused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were similar in both groups. Lumbar lordosis was not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seudarthrosis at L5-S1. Conclusion: The pseudarthrosis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at L5-S1 than that at the other lumbar segments following instrumented posterolateral fusion. Pseudarthrosis was closely related to hypermobile angulation (≥5°) on the flexion-extension radiographs and a radiolucent zone around the sacral screws. 연구 계획: 후향성 연구목적: 퇴행성 요추 질환 환자에서 후외방 유합술 후 발생한 5요추-1천추간 불유합의 빈도를 조사하고, 불유합을 진단하는 방사선적 판독 소견을 알아보았다. 선행문헌의 요약: 5요추-1천추간 불유합은 다른 요추 분절에 비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5요추-1천추간의 불유합의 빈도 및 위험인자에 대해서 발표한 문헌은 별로 없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 질환으로 척추경 나사 기기술 및 자가 장골 이식으로 후외방 유합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의 추시가 가능하였던 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골유합의 판정은 이식골과,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각도의 차이, 나사못 주위의 방사선적 투과대로 조사하였다. 제 5요추-1천추간 불유합과 환자의 나이, 골밀도, 유합 분절수, 굴곡-신전상의 각도차이, 요추 전만각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불유합은 5요추-1천추간에 22명에서 발생하였고 다른 분절에서는 8명에서 발생하였다.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5요추-1천추 분절에서 각도 차이는 불유합군에서 5.2°였고, 유합군에서 1.7°로 유의하게 달라서, 각도 차이가 5도 이상이면 불유합으로 판정할 수 있었다(P=0.03).천추 나사못 주위에 나타나는 방사선적 투과대는 10명에서 관찰되었다. 10명 중 7명은 불유합된 22명에 속하였고 나머지 3명은 유합된 66명에 속하였다. 평균연령,골밀도 검사상 T-점수, 유합분절수, 요추전만각은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요추 후외방 유합술 후 5요추-1천추 분절에서 다른 분절에 비해 불유합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굴곡-신전 방사선 사진상 5도 이상의 차이가 확인되거나, 천추 나사못 주위의 방사선적 투과대가 나타나면 불유합을 강하게 의심해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요추 후외방 유합술에서 동종골과 국소골의 혼합 이시기술과 자가골 이식술의 결과 비교

        조규정,이정윤,오인석,김려섭,모유철 대한척추외과학회 2000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7 No.4

        연구계획 : 전향적 연구 연구목적 : 요추 후외방 유합술에 동종골 이식이 유용한지를 확인해 보기 위해 동종골과 국소골을 이식한 군과 자가골과 국소골을 이식한 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요추 한 분절 후외방 유합술 환자 중 동결 건조 동종골과 감압술 및 피질골 박리술시 채취되는 국소골을 혼합 사용한 15명과 후방 장골에서 채취한 자가골과 국소골을 혼합 이식한 24명에 대해 방사선상 골 유합 등급과 기간,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방사선상 골 유합 드급은 동종골 이식군이 1등급 7예, 2등급 5예, 3등급 3예로, 자가골 이식군이 1등급21예, 2등급 2예, 3등급 1예로 나타나 자가골 이식군의 유합 등급이 높았다. 골 유합이 완성되는 기간은 동종골 이식군이 11.1개월, 자가골 이식군이 6.7개월로 차이가 있었다. 수술후 임상 결과는 동종골 이식군이 우수 4예, 양호 9예, 보통 2예였고, 자가골 이식군은 우수 10예, 양호 11에, 보통 3예였다. 결론 : 요추 후외방 유합술에서 동종골과 국소골의 혼합 이식은 자가골 이식에 비해 골 유합 등급이 떨어지고 유합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자가골을 이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udy Design : A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allogeft and compare the result of allograft mixed with local bone and autograft in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Allograft is used for the purpose of spinal fusion. especially in the scoliosis surgery. In some studies allograft is not recommended in posterior lumbar spinal fusion alone. Materials and Methods : Fifteen patients underwent one level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using freeze-dried allograft mixed with local bone. We compared them with twenty four patients using autogenous iliac bone graft mixed with local bone about radiographic fusion grading, duration of fusion and clinica outcomes. Results : Radiographic fusion grading of allograft was 7 cases of grade 1,5 cases of grade 2,3 cases of grade 3, and grading of autograft was 21 cases of grade1,2 cases of grade 2,1 cases of grade 3. Bone fusion was complete after 11.1 months in allograft and 6.7 months in autograft. Clinically, there were 4 excellent, 9 good, 2 fair cases in allograft and 10 excellent, 11 good, 3 fair cases in autograft. Conclusion : Allograft was inferior to autograft in posterolateral lumbar fusion because allograft mixed with local bone reduced radiographic fusion grading and prolonged duration of bone 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