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적인 호환 시대에서의 실재성 개념

        조광제(Kwang-Dje Cho)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3 No.-

        몸과 세계와의 관계와 내용들이 디지털 혁명에 의해 0과 1로 구성되는 디지털 부호의 조합 체계로 변환되고 있다. 모든 감각과 지각의 장이 디지털 부호로 될 뿐만 아니라, 계산적인 사유는 물론이고 지능과 감정 및 생명까지도 디지털화되어 인공적인 것으로 되고 있다. 여러 질서의 존재들이 디지털 부호 체계라고 하는 전일적인 새로운 비인간적인 존재 질서로 변환되면서, 저장, 변형, 재생 및 변환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디지털 부호 체계 간에는 원리적으로 호환이 가능하다. 소리를 영상으로 바꿀 수도 있고, 촉각을 소리로 바꿀 수도 있다. 이른바 기계적인 복제를 넘어선 디지털 호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여기에서 실재성 개념이 크게 문제된다. 실재성에 대한 믿음은 궁극적으로 도대체 몸과 세계 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벗어나서는 성립할 수 없다. 감각과 운동의 차원에서는 디지털적인 가상현실은 얼마든지 몸에 의거한 실재성의 믿음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지각 장에 대한 실재성의 믿음은 그 지각장이 몸의 생리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터전이 되지 않으면 결국 무너지게 된다. 실재성에 대한 믿음은 인식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실존적인 문제인 것이다. 여기에서 디지털적인 가상현실이 주는 실재성에 대한 믿음은 붕괴된다. The relations of body and life world and their contents are transmuted into a combination system of digital signs which are made of number 0 and 1. It is possible to digitalize sensations, field of perception, motion, language, computation thinking, intelligence, emotions, and finally vital life. Many dimensions of beings are transmuted into the unitary non-human dimension of being as a combination system of digital signs. And it is possible to save, transform, reproduce, and transmute them arbitrarily. In principle, it is possible to exchange between two different combination system of digital signs. Sound is transmuted into color image and color image is transmuted into touch image. That is to say, the age of Digital Interexchangeability begins. In this, the principal problem is the concept reality. Finally, belief of reality could not be generated without relation between the body and world. If field of perception isn't be a background where we can solve our physical situation, we could not have a belief of the field. The belief of reality is related to not only knowledge but our existence of practical life. In this the belief of reality which we get from a digitalized virtual reality is collapsed.

      • KCI등재

        충동으로서의 봄에 대한 고찰

        조광제(Kwang-Dje Cho)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0 No.-

        봄(Sicht, vision)을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따라 철학적인 관점이 크게 달리해서 성립된다. 후설, 하이데거,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등 현상학의 걸출한 대가들은 ‘현상학’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봄에 관해 다대한 관심을 보일 뿐만 아니라, 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기 그들 나름의 철학적 입장을 전개한다. 후설은 봄(혹은 지각)의 구조를 현출(Erscheinungen), 노에마(Noema), 단적인 대상(Gegenstand schlechtin) 등 크게 세 층으로 나눈다. 마지막 단적인 대상은 영점(零點)으로 취급되면서 사물 자체를 지칭한다. 현출은 의식 자체인 내실적인 영역에 속한 것으로 취급된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손안에 있는 것(Zuhandnes)은 후설이 말하는 노에마에 해당되고, 눈앞에 있는 것(Vorhandnes)은 후설이 말하는 현출과 단적인 대상이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르트르가 말하는 존재(etre)는 기본적으로 즉자존재(etre-en-soi)를 말하는데, 이는 인간을 타자로 해서 성립하는 대타존재(etre-pour-autre)와는 전혀 다르다. 하지만 현상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인간의 욕구와 욕망을 벗어난 봄의 영역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욕구와 욕망에 관련되는 것들은 후설이 말한 노에마, 하이데거가 말한 손안에 있는것, 사르트르가 말한 대타존재 등이다. 이에 반해 후설이 말한 현출과 단적인 대상, 하이데거가 말한 눈앞에 있는 것, 사르트르가 말한 즉자존재 등은 인간의 욕구와 욕망을 벗어난 봄의 영역이다. 이 영역은 각자의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그 성격들을 달리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충동의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 충동적인 봄의 영역은 메를로-퐁티에서 살(chaire)의 첫 구현인 ‘감각덩어리’(masse du sensible)로 나타난다. 감각덩어리는 감각성과 사물성을 하나로 통일시킨 상태로 거머쥐고 있다. 메를로-퐁티의 ‘감각덩어리’ 개념은 그 어떤 현상학자들이 조성한 개념보다 충동으로서의 봄을 잘 나타낸다. 이 충동으로서의 봄의 영역은 마르셀 뒤샹에서 열리는 반모더니즘적인 혹은 탈모더니즘적인 현대미술의 고유한 영역을 형성한다. 이 영역을 정확하게 느끼고 파악하는 것은 철학과 미술이 동시에 탄생하는 근원지를 잡는 것이다. Philosophical Perspectives are basically differentiated from one other according to way how they apprehend 'vision', seeing. Those who are grand phenomenologists, Edmund Husserl, Martin Heidegger, Jean-Paul Sartre, and Maurice Merleau-Ponty etc. not only take 'vision' as essential problem in philosophy, but also pose and evolve their philosophical positions, adequately to a title 'phenomenology'. Husserl divided 'vision' to three strata, that is, appearances (Erscheinungen), noema, and object-itself(Gegenstand schlechtin). Object-itself which he calls 'zero point' seems to me as the thing itself. And appearances are the true inner components of consciousness. Heidegger's 'Zuhandenes' comes fall under Husserl's 'noema'., And Heidegger's 'Vorhandenes' comes fall under a sort of union of Husserl's 'appearances' and 'object-itself'. Being which Sartre said is being-in-itself, which is different from being-for-other which he said. But Sartre's 'being-in-itself' is not non-visible. It is important to be strata of vision which escape from a strong grip of human need and desire. Husserl's 'noema', Heidegger's 'Zuhandenes', and Sartre's 'being-for-other' are concepts to express stratum of vision which comes fall under human need and desire. However, Husserl's 'appearances' and 'object-itself', Heidegger's 'Vorhandenes', and Sartre's 'being-in-itself' are concepts to express strata of vision which escape from a strong grip of human need and desire. Though theses concepts have a particular sense in their own ways, it's possible for us to grasp all these in the name of stratum of vision as drive. This stratum of vision as drive is well conceptualized in Merleau-Ponty's 'philosophy of flesh'. In it, 'flesh'(chair) is primarily incarnated to 'sensible mass'(masse du sensible). 'Sensible mass' has two elements, being-sensation and being-thing, which are united in it. His concept of 'sensible mass' can well be adapted in explanation of anti-modern or post-modern art which is originated from Marcel Duchamps' 'ready-made artwork'. From concept of stratum of vision as drive, we can get new insight of origin from which philosophical thinking and artistic thinking. If we could see through and feel it precisely and deeply, we can go into a new philosophical-artistic life.

      • KCI등재

        < 특집 : 유토피아인가 , 디스토피아인가 ? - 21 세기를 향한 전망 - > 특집 2 : 삶과 죽음을 이미 넘어선 몸

        조광제(Cho Kwang Dje)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99 시대와 철학 Vol.10 No.2

        삶은 죽음을 부정하고 거부하는 데서 성립하고, 죽음은 삶을 부정하고 파괴하는 데서 성립한다. 이렇듯 삶은 죽음을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것은 죽음을 영원히 거부하고 싶은 정신의 욕망에서 비롯된다. 나의 삶(또는 생명)을 영원한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인간의 심적 혹은 실천적 활동은 남의 삶(또는 생명)을 죽음으로 내몰거나 변형시킴으로써 가능하다. 나는 타인을 초월하고자 하고, 그래서 타인은 나에 대해 지옥이고, 나는 타인에 대해 지옥이다. 인간 생명은 인간이외의 생명을 초월하려 하고 자신에게서 일구어내는 바 무한한 포식 활동인 인식과 기술적 실천으로써 뭇 존재자를 죽음의 범주에 가둔다. 이 같은 삶과 죽음의 이분법에 입각한 생명의 불멸에 대한 맹목적인 욕망은 기실 영혼 불멸을 꿈꾸는 정신(또는 영혼)의 욕망과 그에 따른 활동에 기인한다. 그러나 불멸에 대한 정신의 욕망은 정신이 몸의 파생적인 존재인 까닭에 단속적으로 늘 죽음을 당할 수밖에 없음을 반증할 뿐이다. 삶과 죽음은 정신의 이런 운명을 반영하는 반성적인 범주일 뿐이다. 몸은 존재론적으로 삶과 죽음의 이분법적인 범주를 넘어선다. 몸 자체에서 삶과 죽음을 따로 떼 내어 구분할 길은 없다. 예술은 삶과 죽음을 이미 넘어서 있는 몸에서 이관된 것이고, 그래서 예술 역시 삶과 죽음을 넘어서 있다. 전 우주는 삶과 죽음의 이분법을 넘어서 있는 것이고 그런 점에서 정신이 요구하는 시작과 끝의 구분과 한계의 구분을 넘어서면서 늘 열려 있고 늘 생성하는 것으로서 정신의 인식 한계를 넘어선다. 그래서 우주는 아름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