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무현 정부의 '동북아 균형외교 정책'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1

        ‘동북아 균형자론’으로 불리는 ‘동북아 균형외교 정책’은 노무현 참여정부 5년간의 외교정책의 근간이었다. 정책의 수행은 물론 개념화와 수립에 있어서도 미완으로 끝난 ‘동북아 균형자론’은 아마도 해방이후 처음으로 외교정책의 근간에 대한 일대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주류 국제정치학자들 대부분은 이 새로운 외교정책 노선에 심각한 우려와 함께 유의미한 비판을 가했고, 참여정부의 전문가들과 일단의 국제정치학자들은 이 같은 정책 전환의 시기적 적절성과 필요성을 여러 측면으로 강변했다. ‘동북아 균형자론’이 개념적, 이론적으로 논리적 정교성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고 해도, 해방이후 한번도 발전적 변화를 모색해본 적이 없는 한국 외교의 현실에서 볼 때 가치 있는 시도였으며, 이를 통해 동북아와 국제정치 현실 속에 처해있는 한국의 위치를 보다 철저히 돌아보게 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북아 균형자론’을 비판만 할 것이 아니라, 그 장단점을 잘 따져 이제부터라도 우리의 국익을 보다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실용적 수단을 강구해나가는 의미 있는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논문은 ‘동북아 균형자론’의 등장과 전개를 정리하고, 그 주요 논쟁점들을 ‘균형자’의 개념과 논리 논쟁, 세계 10위 경제력과 ‘연성권력’ 논쟁, 한미동맹과의 양립성 논쟁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이 논쟁의 과정과 내용이 주는 교훈을 결론에서 정리했다. The Northeast Asia balancer policy, the initiative that South Korea can act as a balancer in Northeast Asia , has been the foundation of Roh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for the last 5 years. The policy, however, created the first major controversy over the foreign policy since the Korean independency in 1945 and ended without much achievement in practice or in theory. Most mainstream scholars of international relations raised meaningful criticisms on this new approach to foreign policy, while the other scholars as well as the proponents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insisted that the change in foreign policy was necessary and timely. Although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lacks the concrete concept or theory, it deserves some recognition as the first step towards a progress amidst the seemingly unchanging Korean foreign policy and as a chance to revisit Korea’s position in East Asia and the world. Thus, rather than simply criticizing,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the pros and cons of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and take it as the starting point of our discussions about setting a more concrete national goal and finding practical means towards it. In response to this need, this paper documents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he East Asia balancer policy, analyzes the policy’s major issues as three separate controversies-the controversy over the policy’s concept and logic, the controversy over the world's 10th economic power and soft power,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policy’s compatibility with the alliance between South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ummarizes the lessons from the analysis.

      • SCOPUSSCIEKCI등재

        신경상피 종양에서 에스트로젠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의 발현에 관한 연구

        조경근,박영섭,홍용길,이경진,박성찬,박해관,강준기,최창락 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5 No.2

        There exist many controversial debates on the presence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in neuroepithelial tumors. The receptors of these two female sex steroid hormones, i.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ere examined in 24 neuroepitelial tumors. Using a dextran-coated chacoal(DCC) assay, high affinity binding sites were found in the cytosolic fraction with mean capacities of 3.42 and 4.71 fmol/㎎ cytosol protein, respectively. None of the tumors were stained positively for estrogen receptors and only 2 cases of tumor were stained positively for progesterone receptors with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 In addition, the most convincing evidence for the absence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as obtain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using oligo nucleotide probes which is complementary to the fragments of the human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messenger ribo nucleic acid(mRNA). In 24 neuroepithelial tumors, we were not able to find any expression of mRNAs coding for th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From the present study, it is concluded that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are generally in neuoepithelial tumors. This study suggests that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would not be involved in neuroepithelial tumors and therefore have no current significance as makers for adjuvant medical therapy of most neuroepithelial tumors.

      • KCI등재후보

        안보와 번영을 위한 한국의 미·중 외교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4

        한국은 미·중·일·러의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지정학적 약소국이다. 경제 발전으로 국격이 높아졌지만, GDP의 57.3%가 수출로 인한 생산인 것은 강점인 동시에 약점이다. 본격화되는 중·일 군비경쟁은 향후 북한보다 오히려 일본과 중국이 더 큰 안보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직시하게 한다. 이른바 약소국외교론이 주는 교훈이 있지만, 그 함의가 한국 외교에 크게 적절하거나 유용하지는 않다. 미·중의 힘이 균형을 이루어간다는 시각은 아직 설득력이 없다. 중국이 부상하고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미국의 군사적 패권 지위와 경제적 결정자 혹은 영향력자의 위치는 여전하고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한미동맹을 기축으로, 외교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하되,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방법을 찾는 로드맵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외교의 최우선 목적은 안보와 번영이다. 통일 대비, 중·일 간 군비 경쟁 대비, 수출 능력 증대가 중대 외교 목표다. 한국 외교는 통일을 대비하는 한·미·중 협력 구축, 자주 국방력 강화에 초점을 둔 대미 외교, 중국과의 중요 수출품 경쟁 및 새로운 중국 시장 개척에 중점을 두는 경제·FTA 외교가 필요하다. South Korea is a geopolitically weak nation surrounded by the four major powers: the US, China, Japan and Russia. Despite Sou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creased GDP, the fact that 57.3% of the GDP comes from export shows the vulnerability of its economy. In addition, the intensifying military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Japan is warning South Korea of a forseeable security crisis. The theory of 'Small states' diplomacy' tells us not many things about what South Korea can do about its security and prosperity. The argument that China is going to draw level with the United States by 2030 in its national power is not yet acceptable. Although China's power is growing, the hegemonic military power of the US and its position as a determiner or at least an influencer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are likely to be maintained for a long while. Therefore, South Korea needs to pursue a 'Road map' strategy of choosing a proper policy specific to the situation it faces, but on the basis of the Korea-US alignment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security and prosperity. More precisely, South Korea should adopt useful policies especially to prepare for an unanticipated situation of the Korean unification, the rapid military build-ups by China and Japan, and stronger export capacity.

      • KCI등재후보

        인권의 국제정치와 북한 인권 문제 -남북한 관계에 주는 함의-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12 통일전략 Vol.12 No.4

        열악한 북한 인권 상황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하는 중대한 문제다. 그렇지만, 정부 차원에서 볼 때 이 문제는 남북한 관계라는 보다 냉철한 국가이익과 한민족 이익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한국과 한민족은 경제와 안보의 양면에서 다가오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향후 세계 경제와 그 속의 한국 경제의 위상은 낙관적이지 못하며 한반도 주변의 안보 상황도 위기로 치달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예측 속에서 정부가 택해야 하는 정책 방향은 일차적으로 ‘남북한경제공동체’의 형성과 ‘남북연합’의 추진이다. 그러므로 인권 문제는 NGO가 중심이 된 국내와 국제의 시민사회에 맡기고, 정부는 경제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상호 이익의 영역을 확대하고 신뢰를 쌓아 정치와 안보 협력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보수 정권이든 진보 정권이든 정부가 추구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은 안보와 경제의 국가이익이다. 인권 문제의 중대성을 무시해서가 아니라, 엄중한 국가이익 앞에서 이는 다른 차원의 과제가 되어야 한다. Although human rights in North Korea must be rapidly improved, when South Korea deals with the issue, the government should prudently assess its national interest and the interest of the Korean people in the entire peninsula. In this regard, one should note that Korea is likely to face economic and security crises, the former resulting from a worldwide economic stagnation and a rapid burgeoning of China's competitiveness as an economic power, and the latter resulting from the rise of China and Japan as military superpowers based on huge economic wealth.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this forthcoming crisis is to form an economic community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promote their reunification in the near future. Therefo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le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vic societies handle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issues while the government handles the North-South Korean relations to expand mutual interest and build mutual confidence.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 conservative or progressive, should focus on the national interest for the economy and security without letting the human rights issue intervene with its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issue should not be discounted, but neither should it outweigh the gravity of national interest.

      • KCI등재

        존재(본체)론과 남명 조식 선생의 민본주의

        조경근 한국민족사상학회 2020 민족사상 Vol.14 No.2

        Nammyung’s political thought has three key values: 民本(people-oriented idea), 德治(virtuous leadership), and 實行(practice). Among them, the utmost value for him is 民本. If being studied in the space-time frame of Joseon Dynasty, however, his political thought might be easily understood as asserting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virtuous leadership, and/or the arbitrary rule by a good king. On the contrary, beyond this frame, we could find out the fact that his primary political value of 民本 is reaching to the modern democracy. The significancy of his 民本 thought comes from his ontological orientation. His 民本 is not from normativism but from ontology: it is believed by Nammyung as 天命(the God’s will) transcending to such higher elements as 敬, 道, 理 linearly, which are the essentials of the Universe. This thought of him seems to sound an alarm on today’s politics and political science that focus on instrumental value such as ‘which institutional measure would be better.’ In short, his political thought of 民本 revitalizes the essentiality of people in every political scenes. 남명 정치사상의 3대 핵심은 민본, 덕치, 실행이다. 그 가운데 중심은 민본주의이다. 남명의 정치사상을 조선조의 시공간 틀 안에서만 고찰하면, 왕권 강화, 왕의 덕치, 현군전제정치로 귀결된다. 그러나 그가 남긴 자료와 여러 학자들의 그동안의 연구를 시공간의 틀을 넘어서서 살피고 분석하면, 민본주의가 남명의 중심 사상이며 오늘의 민주주의 사상에 연결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다. 그의 민본주의가 이런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은 남명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존재(본체)론 때문이다. 남명은 인권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민본을 ‘그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규범론의 기준에서가 아니라, 우주본체의 근본이자 시작인 ‘이’(理)에서 비롯되어 ‘도’(道), ‘경’(敬)으로 연결된 ‘천명’으로 받아서 실천, 실행하고자 했던 것이다. 즉, 그에게 ‘민본’은 ‘천명’으로서 존재(본체)론적인 것이었다. 이런 사실은 제도를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에 매달린 오늘의 정치와 정치학 경향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수단적 목적이 아닌, 목적적 목적인 ‘민본’에 정치도 정치학도 본질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더 충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 SCOPUSSCIEKCI등재

        자발성 뇌출혈에 대한 뇌정위적 Urokinase 치료

        조경근,이일우,조태훈,김문찬,강준기,송진언 대한신경외과학회 1987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6 No.2

        According to the general principle that a surgical procedure should be as atraumatic as possible, several authors proposed stereotaxic urokinase treatment in spontaneous intraoerebral hematomas. Authors presented 29 cases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atomas which were managed wit stereotaxic urokinase treatment including 10 cases of preliminary report on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June 1986. 19 cases were basal ganglia hematomas with or without ventricular rupture, 4 cases were thalamic hematomas with ventricular rupture, 3 cases were subcortical hematomas and 3 eases were intraventricular hematomas. The outcome of the treatment was analysed by the location and amount of hematomas,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of patient on admission and discharge. The outcome was worst in thalamic hematoms than putaminal or subcortical hematomas, and poorer as the amount of hem atom a increased. The outcome was bad also in the patient who showed poor neurologic condition on admission. Time requiring hematoma dissapperance with urokinase treatment was estimated by the short term follow up CT scanning. All of the patient except moribund cases showed complete dissappearance of hematomas within 10 days after treatment, and mean period was 6.7 days. Rebleeding after the urokinase treatment was noted in 4 cases, which was 2 putaminal, one thalamic and one ventricular hematoma. The cause of rebleeding might be mechanical injury of catheter insertion or too strong negative pressure on aspiration. But in 1 case of intraventricular hematoma, the possible causative factor should be anticoagulant effect of urokinase on the injured vessel. With above result, we concluded that this procedure may be better and safer than conventional craniotomy especially in cases of high risky or elderly patient with deep seated intracerebral hematomas. But the efficacy and safety must be studied further with the exact experimental model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atomas.

      • KCI등재후보

        제9장 북한의 핵 위기 대응 전략의 특성 - 1990-1994 핵 일정 분석 -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11 통일전략 Vol.11 No.1

        This thesis analyses the chronology of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from January 1990 through October 1994 when the 'Agreed Framework' was signed by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North Korean strategy on negotiating with the opposing countries or organizations, which include mainly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AEA and the UN Security Counci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under four headings. First, North Korea adopted a kind of 'minimum winning coalition' strategy focusing on consolidating its alliance with China. Secondly, it had kept changing negotiating tables from one to another while opening itself to several talks, avoiding disadvantages or taking advantages in pursuing its goal of nuclearization. Thirdly, it had provided various demands and agenda on and outside the table to take the initiative in negotiating. Fourthly, it had carried out objection, threat and appeasement side by side. In addition, it is also noteworthy that North Korea was resolute in carrying out reckless decisions such as the withdrawal from the NPT, and that it mobilized various governmental officials and bodies sometimes to maximize the reliability of its position and the other times to maximize its ambiguity. 2011년 현재의 북한은 ‘소수의 플루토늄탄을 보유하고 우라늄탄을 개발 중인 국가’로 간주되고 있다.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북한의 입장에서도 위기의 연속이었다. 이 논문은 북한이 이 위기를 어떤 대응 혹은 협상 전략으로 극복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핵무기 보유에 다가서게 되었는지 그 특성을 핵 일정의 분석에서 추출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핵 일정의 분석을 통해 북한 전략이 ‘최소 결탁의 관계단순화’, ‘회담 갈아타기’, ‘요구와 의제 다변화를 통한 의제설정 주도’, ‘거부, 위협 및 유화의 강온병행’을 특징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별도의 절을 두지는 않았지만, 두 가지의 특성이 더 발견되었다. 하나는 흔히 ‘벼랑 끝 전략’으로 불려온 극단적 행동의 선택, 즉 북한은 망설이지 않는 과감한 행동을 통해 소기의 목표를 달성해 나갔다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북한 내 다양한 주체들이 북한의 입장 표명에 참여하여 통일된 하나의 목소리를 냄으로써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냄으로써 모호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구사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북한의 비핵화를 실현하려는 측이 이러한 특성들을 철저히 분석하고 대응해야 소기의 목적에 다가갈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제6장 북한 급변 시나리오의 비판적 고찰

        조경근 한국통일전략학회 2010 통일전략 Vol.10 No.2

        This paper analyzes five major scenarios on North Korean Collapse. These scenario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non-scholar security experts', governments', and scholars'. In the first category, Robert Collins's 'Seven Steps of North Korean Collapse' is selected for its reputation. In the second, 'OPLAN 5029' of the Korea-U.S.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and U.S. Defense Department's scenario are chosen. In the third and final category, the scenarios of Richard Weitz and Andrew Scobell are analyzed; while the formal contributes by pointing out the posture of China and Russia in the case of North Korean collapse, the latter is more prominent. From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arts of the scenarios that became reality and suggests the policy guidelines for Korean government. “북한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북한뿐만 아니라 남한과 한반도, 즉 한민족의 운명과 장래에 대단히 중대하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중요하게 거론되어왔거나 혹은 학문적 가치가 높은 북한 변화 혹은 급변 사태에 대한 시나리오들을 선정하여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는 다섯 개 시나리오를 선택했다. 첫째, 안보전문가 로버트 콜린스의 ‘북한 붕괴 7단계 시나리오’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정부 차원 시나리오로, ‘작전계획 5029’와 미 국방부 시나리오 두 가지다. 셋째, 학자들의 시나리오로, 미국 허드슨연구소의 리처드 와이츠의 것과 미국 육군대학 전략연구소 연구교수였던 앤드류 스코벨의 시나리오다. 이 논문은 위 시나리오들을 차례대로 고찰하면서, 각 시나리오로부터 지금의 한국과 한민족이 가장 주목해야 할 사실들과 정책 과제들을 결론에서 추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