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남해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의 분포

        제종길,장만,박홍식,Je, Jong-Geel,Chang, Man,Park, Heung-Sik 한국패류학회 1991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7 No.1

        한국해역 종합 해양자원도 작성연구(남해)의 일환으로 저서생물 분포 연구를 위한 조사가 1990년 7월과 8월에 남해에 위치한 83개 조사정점에서 수행되었다. 각 정점에서 van Veen그랩으로 3회씩 채집된 저서 생물 표본 가운데 연체동물만을 선별 그들의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자 종 동정과 함께 군집구조 분석을 하였다. 조사에서 채집된 연체동물은 모두 679개로 다섯개 강에 102종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매패류가 출현종수(84.3%)에서나 출현개체수(92.3%)에 있어서 절대우점하였다. 전체 연체동물군집에서 우점하는 일곱 종(이매패류 여섯 종, 무판류 한 종)이 전체 출현개체수의 61.0%를 차지하였다. 남해의 연체동물은 종은 다양한 반면에 서식밀도나 생물량은 매우 빈약하였다. 출현종의 서식 유무에 따른 유사도로써 집괴분석한 결과 다섯개의 조사정점군으로 나누어지고, 이 들은 특징적인 분포 특성을 갖는 두 정점군과 혼합된 특성을 나타내는 세정점군으로 대별되었다. 전자의 두 정점군은 Raetellops Pulchella와 Periploma otohimeae로 대표되는 황해의 저층냉수의 영향을 받는 세립퇴적물 군집과 뚜렷한 대표종은 없지만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이질성의 조립퇴넉물 군집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대마난류의 영향을 받는 정점군의 군집은 황해저층냉수의 정점군에 비해 종 다양도는 높지만, 서식생물량은 현저히 적었다. 아울러 연체동물의 분포와 남해의 퇴적환경이나 수괴의 조성과 변화를 고려하여 남해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군집에 있어서 네 개의 분포구역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그 범위와 경계를 제안한다.

      • 유류오염과 유처리제를 이용한 전화작업이 조간대에 서식하는 고둥류에 미치는 영향

        제종길,강성현 한국해양학회 1991 韓國海洋學會誌 Vol.26 No.4

        An experimental approach was applied to test the effects of stranded oils and dispersant cleanup on marine gastropods, Nodilittorina exigua, littorina brevicula and Purpura clavigera. They were exposed to Labuan crude, Dubai crude and Bunker C fuel oil. Direct oil contact caused death of gastropods within 96 hours. N. exigua and L. brevicula were more sensitive than P. clavigera at the exposure of Bunker C fuel oil. Toxic effects of Bunker C oil was slower than crude oils. direct contact to concentrated dispersant killed gastropods, while clean-up with diluted dispersant still gave severe damage. P. clavigera could escape from dispersed crude oil below 250 ppm. Oiling and dispersant clean-up may have severe effects on marine gastropods by rendering them washed out to sea.

      • KCI등재

        한국산 비늘갯지렁이류의 분류 : Ⅱ . 예쁜이비늘갯지렁이 아과(亞科) Ⅱ . Subfamily Lepidonotinae

        제종길,이재학,노용태 한국수산학회 1987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0 No.1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우리나라 연안에서 채집된 비늘갯지렁이류를 조사한 결과 예쁜이비늘갯지렁이 亞科에 속하는 4종의 국내 미기록(Lepidonotus tenuisetosus, Halosydnopsis pilosa, Perolepis stylolepis Lepidasthenia maculata)을 포함하여 9종을 얻었다. 이로써 한국산 예쁜이비늘갯지렁이亞科는 모두 7屬 12種으로 밝혀지며, 그 형태적 특징을 바탕으로 검색표를 작성하고 각 종의 분류학적인 고찰 및 서식처를 조사하였다. Some scale worms collected in Korean coastal waters from 1981 to 1984 were identified with 9 species belonging to subfamily Lepidonotinae. Among them, 4 species (Lepidonotus tenuisetosus, Halosydnopsis pilosa, Perolepis stylolepis and Lepidasthenia maculata) are new to Korea. Therefore, all of the lepidonotoid species in. Korea are 12 species representing 7 genera. A key to the Korean species of lepidonotoid Polynoidae is provided.

      • KCI등재

        한국산 홍합속 (Mytilus) (홍합과 : 이매폐강) 3종의 형태 특성과 분포

        제종길,장창익,이수형 한국패류학회 1990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6 No.1

        홍합감시(Mussel Watch) 연구의 일환으로 1988년과 1989년에 남한 연안의 24곳에서 홍합(Mytilus)속에 속하는 종들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의 패각의 형태 특성과 분포를 조사 분석한 결과 3종-홍합, 진주담치(M. edulis galloprovincialis), Mytilus sp. 로 밝혀졌다. 이 3종은 패각의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지리분포와 서식지 수직분포에서도 나름대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리분포에서는 수온이 수직분포에서는 종간 경쟁이 분포의 제한 요인인 것 같다.

      • KCI등재
      • KCI등재

        남해의 하계 해조군집 : 1 . 조간대 1 . Intertidal Communities

        제종길,홍재상,강래선 한국수산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1

        본 조사는 남해의 10개 도서의 조간대 해조군집의 구조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군집의 구조는 상, 중, 하부의 뚜렷한 층위구조로 구성되고, 상부와 중부의 중요종은 조사지간에 매우 유사하였다. 하부의 중요종은 지역간에 차이가 있고, 다양한 종에 의해 대표되었다. 상부의 대표종은 막상 또는 사상형의 Gloiopeltis spp., Gelidium divaricatum, Porphyra suborbiculata, Nemalion vermiculare였으며, 분포범위는 해조분포 상한에서 따개비와 홍합류 층의 하한이었다. 중부의 대표종은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Hizikia fusiformis이며, 분포범위는 평균해면 부근이었다. 하부의 범위는 중부의 하한에서 기준면까지이고, Sargassum sagamianum, Laurencia spp., Symphyocladia latiuscula, Chondrus spp., Pachymeniopsis lanceolata, Gigartina spp.가 조사지간에 공통성이 높은 중요종으로 나타났다. Structure of intertidal algal communities of the islands on the South Sea of Korea was studied in summer of 1987 and 1988. The area includes Manjedo, Ch'ujado, Kwantaldo, Munsom, Yosodo, Komumdo, Soridi, Yokchido, Pijindo and Hongdo. Three biologically distinct zones, were commonly recognized in the intertidal bulk of the all examined islands. In the high intertidal zone, only a few species showing thin, tubular and sheet like forms were observed,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as Gloiopeltis spp.. Corallina pilulifera, Hizikia fusiformis and Chondria crassicaulis were most abundant species of the mid intertidal zone, which was formed near the mean sea level. The structure of the low intertidal zone was much more complex than the high and mi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Laurencia spp. and Sargassum sagamianum. All of the coarsely branched and articulated calcareous species were distributed below mean sea level.

      • KCI등재

        남해의 하계 해조군집 : Ⅱ . 조하대의 군집 Ⅱ . Subtidal communities

        제종길,손철현,강래선 한국수산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2

        조하대 해조군집은 뚜렷하지는 않지만 상·중·하부로 구분되었다. 상부는 S. saganmianum, P. lanceolata, G. tenella, P. capillacea 등의 직립분기형으로 구성되었고, 투명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수심 3∼5m까지이며, 탁도의 간섭에 의해 확장될 수 있었다. 중부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에서만 형성되었고, 그 범위는 5∼20m 사이이며, E. cava, Sargassum spp. 등의 대형갈조류에 의해 대표되며, 탁도가 높은 외양역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바로 이행하였다. 하부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은 중부와 이질적인 식생으로 보기 어렵고, 환경압박에 따른 양적인 차이로서 이해되었다. 출현종의 식물지리적 분포를 볼 때 본 조사지를 2 구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문섬의 구성종이 지리적 불연속을 이루는 것은 수온차에 의한다고 판단되었다. 문섬의 식생특성은 출현종수는 내만역의 도서보다 적으나 고유종이 많고, 다육질형 대형갈조류의 구성비가 높고, 종다양도 및 생체량은 거문도, 여서도 등과 유사하였다. 문섬을 제외한 9개 섬은 식생의 연속성을 나타내지만, 풍도의 차이가 있었다. 이중 관탈도, 여서도, 거문도, 추자도, 홍도는 투명도가 높은 외양역에 위치하며, 식생의 풍도가 유사하여 외양성 식생구로 뚜렷히 구분할 수 있었다. 반면 만재도, 소리도, 욕지도, 비진도는 비교적 고탁도대 내측에 위치하여 외양도서에 비해 풍도가 낮게 나타났으나, 분류군의 구성비로 볼 때 외양성 식생구의 성격을 띄고 있는 이행단계의 식생구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의 구분에 있어서 탁도에 따른 조하대 E. cava 군락의 유무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 하였다. Algal community on the subtidal rocky zone of the South Sea of Korea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sequencing zones. The upper subtidal zone was characterized by the wave exposure-tolerant surf wrack(Pachymeniopsis, Gigartina), which formed dense swirling carpet. Its vertical range was from the surface to 3∼5 meters in depth, and more deeply extended in turbid waters including Sorido, Yokchido, Pijindo, Manjedo. The mid subtidal zone ranging from 5 to 25 meters in depth was characterized by a large brown algal forest (Ecklonia, Sargassum). But it was generally unrecognizable in that turbid waters, in which the vertical limit of vegetation was at most 10∼15 meters in depth. The low subtidal zone was characterized by a general lack of algal species and was not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mid or sometimes from the upper zone.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abundance of vegetation between turbid waters and clear waters including Munsom, Kwantaldo, Yosodo, Hongdo, Ch'ujado. In turbid waters the vegetation was much poorer because the tubidity caused from the muddy sediment inhibited an algae to settle down and to grow up. On the basis of the phytogeographical methods using UPGMA, the 10 studied island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Munsom and the others. This floristic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groups might be caused from the difference of water temperature.

      • KCI등재후보

        저질의 (底質) 퇴적상에 (堆積相) 따른 담수산 (淡水産) 이목패류의 (二枚貝類) 분포

        제종길,노용태 ( Jong Geel Je,Yong Tai Noh ) 한국하천호수학회 1987 생태와 환경 Vol.20 No.4

        The study on distribution of freshwater bivalves in relation to bottom sediments was carried out based on 16 sampling stations of the Han-river and the Kum-river in September, 1986. In the type of bottom sediments, the stations with rapid current are composed of coarser sediment than the ones with relatively slow current. The bivalves were identified by 11 species belong to 3 families. The distribution of some freshwater species were limited by the type of bottom sediment. For example, two species of them, Solenaia triangularis and Limnoperna fortunei were only found on rocky substrates or large stones community like boulder. Cristaria plicata was dominant on typical muddy community and Lamprotula leai on sandy or sandy gravelly community. And L. coreana collected on sandy bottom was the only species which wasn`t presented in the Han-river. Distribution pattern of other species might be more influenced on other environmental factors of water mass than bottom sediment. This study could be explained that the composition of bottom sediments by result of water movement and water quality would have an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biva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