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代仏教」としての日本仏教の語り方 : 近年の研究動向をふまえて

        제점숙(諸点淑)(Je Jum Suk)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 사회사업의 ‘자선(慈善)’에 대한 고찰 ― ‘정토진종본원사파(淨土眞宗本願寺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

        諸点淑 ( Je Jum-su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8 No.-

        이글에서는 근대 일본 사회사업의 ‘자선’의 시대적 의미에 대해 ‘정토진종본원사파’를 사례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당시 사회사업에서의 ‘자선’은 산업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문제와 제국주의를 추구하는 일본 국가권력에 의해 점점 변화해 가는 양상을 보였다. 이른바, 초기 물질적 빈민구제를 기반으로 시작된 자선적 행위는 감화구제사업의 등장으로 일본국가에 충성하는 良民을 양성하기 위한 자선사업으로 이행되었다. 그 후 서구의 근대사상 유입은 자선을 실천함에 있어 물질적, 정신적 자선의 측면을 모두 강조하게 되었고, 자선과 함께 防貧의 중요성도 제기되었다. 이 중 자본주의 사상은 사회사업과 돈이라는 자본의 필연성을 정착시켰고 그 속에서 이익을 추구했던 자선은 위선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전시체제기에 들어가면 자선은 제국주의 노선에 편승하여 전쟁에 협력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근대 일본불교의 사회사업의 근대성을 보는 것은 현재적 관점에서의 자선을 염두에 두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으로 창출 내지는 중첩되는 다양한 양상의 ‘자선’을 고찰해야 한다. 이로써 근대적 자선을 둘러싼 일본불교의 또 다른 ‘近代像’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Jodo Shinshu Hongwanji-ha' as an example, concerning the meaning of 'charity' of the times in Japanese social work in modern times. As a result, the charity of the social work showed increasingly changing aspects by the social problems and the power of the state heading for imperialism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The charitable conduct that started based on the so-called material relief of the poor in the early stage shifted to the charitable work to foster civilians loyal to Japan with the appearance of reformatory relief work. Later, the inflow of modernism of Western countries came to emphasize both the material and spiritual aspects of charity in practicing charity, and the importance of poverty prevention was also caused along with charity. Above all, capitalist ideology settled the inevitability of social work and money, financial resources, and charity that would seek a profit in it was also perceived as hypocrisy. Entering the war basis, it was changed into the charity to cooperate in the war, taking advantage of the imperialist line. To look at the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t social work in modern tim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ity in various aspects newly created or overlapped with the times like this.

      • KCI등재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 재고 -최근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제점숙 ( Je Jum-suk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5

        본 연구는 일본불교의 '근대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국내외에서 논해져 온 '근대불교'로써의 일본불교를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식민지 공간에서의 '근대불교'로써의 일본 불교의 가능성을 모색했다. ‘근대불교’로써 일본불교를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종교의 개념화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교, 불교의 개념이 어떻게 정착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화 과정이 내적/외적으로 확산되는 분절화 과정은 어떤 양상을 보였는가에 주목해야 한다. 이 때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은 어떤 개념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을 정립하려는 인식주체가 존재하며, 또한 인식하는 주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객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는 인식하는 주체에 따른 강압적 '폭력'이 내재되어 있다. 근대불교를 둘러싼 일본 국내의 연구동향의 한계는 이러한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고찰함에 있어 ‘서양-동양(일본)’과의 관계에만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본의 근대화는 서양과 마주할 때는 고통 받는 동양이고, 일본이 아닌 다른 동양과 마주 할 때는 서양의 탈을 쓴 또 다른 동양의 모습인 두 개의 근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불교의 ‘근대성’은 <서양-동양/제국-식민지>의 관계를 시야에 두고 논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선불교의 개념화 문제,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불교의 사회사업 활동 등의 문제를 제시하여 식민지 공간에서의 일본 불교의 근대성의 한 측면을 고찰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on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discussed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at home and abroad. In addition, this study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and sought a possibility of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In order to discuss Japanese Buddhism as ‘modern Buddhism,’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oblem of the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the concept of Buddhism as a religion was settled and what aspect the segmentation process in which this conceptualization process spread inward/outward showed. What should not be overlooked here is that in order for a concept to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a subject of cognition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in order for the subject to exist, it must be accompanied by an object, accordingly. Of course, in this process, oppressive ‘violence’ is implied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gnition. The limit of the trends of research on modern Buddhism in Japan is that they pay attention only to ‘the West-the East (Japan)’ relationship in discussing the problems of the subject and object. However, the modernization of Japan had two faces of modernity, as the suffering East in encountering the West and as another East in a mask of the West in encountering the other East. Thus, ‘modernity’ in Japanese Buddhism should be discussed with a sight of the West-the East/Empire-Colony relationships. Focusing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an aspect of modernity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space by suggesting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in the conceptualization of Joseon Buddhism and the problem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the colonial Joseon.

      • KCI등재

        일본 신종교의 문화사업과 콘텐츠 -일본 창가학회(創價學會)의 활동을 중심으로-

        제점숙 ( Jum-suk Je ) 한국신종교학회 2018 신종교연구 Vol.39 No.-

        종교의 문화사업 및 콘텐츠와 관련하여 일본 신종교의 사례를 소개하고 그 특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신종교 중 가장 많은 신자수를 확보하고 있는 창가학회를 대상으로 문화사업과 콘텐츠에 대해 고찰하였다. 창가학회 문화사업은 인류가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평화, 환경, 빈곤 등의 전 지구적 문제에 기반해 다채로운 사회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사업 활동 속에는 종교적 색채는 그리 농후하지 않지만, 그 중심에는 이케다 다이사쿠라는 인물이 자리하고 있었다. 결국, 창가학회의 사회공헌 활동은 창가학회라는 종교로 귀결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창가학회 콘텐츠는 일반인이 아닌 회원을 주 대상으로 제작하고 있었지만, 온라인 스토어나 만화, CM, 영상 등과 같이 일반인들도 전혀 거부감 없이 접근 할 수 있도록 흥미롭게 구성되어 있다. 즉, 콘텐츠를 통한 직·간접적 종교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창가학회의 문화사업과 콘텐츠는 종교활동과 공익을 위한 사회 활동의 경계가 애매한 가운데서 실시되고 있었는데, 이러한 애매한 경계를 종교 활동과 공익 활동으로 명확히 구분 짓기보다는 오늘날은 이러한 현상 그 자체를 일본 신종교의 종교 활동 그 자체로 인식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a case of Japanese new religion, concerning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the religion and to investigate its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which secures the greatest number of believers among the new religions. Based on issues such as peace, environment and poverty that humanity faces in common, Soka Gakkai cultural programs develop varies social activities related to them. And yet, in these cultural programs, there is no strong religious color. In the meantime, the production of the Soka Gakkai contents is mainly targeted on its members instead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y have been produc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public can approach without any repulsion, e.g. Online store, cartoon, CM and video. In other words, direct or indirect religious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the contents. Like this, the cultural programs and contents of Soka Gakkai are implemented while the boundary between its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is vagu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is phenomenon as a characteristic of the Japanese new religion, rather than clearly separating this vague boundary into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activities for the public interest.

      • KCI등재
      • KCI등재

        부산지역의 근대문화유산과 역사인식문제

        제점숙 ( Je Jum-suk ),송봉호 ( Song Bong-ho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7 항도부산 Vol.33 No.-

        This paper was to consider the current status of modern heritage in Busan and the issues of historical awareness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of Busan. In addition, through the preliminary studies on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this paper posed a problem that the concept, definition and study status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have been only focused on the superficial discussion of the absence of the history of `modern times`, and pointed out that there is composition `Pro Japanese Anti Japanese` strongly inherent in the viewpoint that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is regarded as a negative heritag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preliminary studies, the issues of historical awareness on `modern times` in the modern heritage was considered based on cases of the `Busan Temporary Capital Government Building` and `The Old Namseonjeongi Company Building in Busan` which were built in the colonial period, but have been rarely mentioned related to Japan, amo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Busan. As for the `Busan Temporary Capital Government Building`, if there were no joint opposition movement and resistance performed by Koreans and Japanese during a transfer process from Jinju to Busan on the transfer of the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as a symbol of `Refuge Capital Busan Records`, the Provisional Government Building would not have existed. In addition, in the `The Old Namseonjeongi Company Building in Busan`, there is a historical fact inherent that there was a friction between the Japanese who were interested only in the monopoly management and the high profit-earning on Joseon Electric Business and the Governor-General that conducted the Electric Power Control Policy to control them. Like these, although the modern heritage in Busan is called `Modern (times)` Cultural Heritage, onl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re focused without remembering the historical facts of `modern tim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keep in mind the significance of the heritage of `modern time` with consideration of Japan(The Empire of Japan), the `Other Party`.

      • 동본원사 부산별원, 그리고 대각사 - 100년을 통해서 본 한국과 일본불교의 ‘공간’의 역사 -

        제점숙 ( Je Jum Suk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19 전자불전 Vol.21 No.-

        Busan Daegaksa Temple is a temple of the Jogye Order (Address: 1-ga Sinchang-dong Jung-gu, Busan), which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ashion street of Gwangbok-dong, downtown Busan, unlike other temples. It was formerly ‘Busan Branch Temple of Dongbonwonsa Temple, belonging to Bonwonsa Temple of Jinjongdaegokpa of Japanese Buddhism founded on November 5, 1877. It is the temple founded first by the Japanese people, which has a significant meaning, marking a milestone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is study would discuss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space’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appearing in the history of 100 years, starting from Busan Branch Temple of Dongbonwonsa Temple in 1877 to Daegaksa Temple in 1976.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status of the propagation activities and various projects of Busan Branch Temple of Dongbonwonsa Temple starting 1877 and the dispute over the ownership surrounding the Daegaksa Temple space in the South Korean Buddhist Community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until 19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