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자기 주도적 진로 개척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제성준(Zae, Sung- Zoon),박성기(Park, Sung- Ki)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가 운동이 아닌 다른 진로를 결정하고 대학에 진학한 진로 개척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을 통해 향후 개선되고 지향해야 할 부분을 탐색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인터뷰자료를 전사한 뒤 Connelly & Clandinin(1990)과 Clandinin & Connelly(2000)가 제시한 단계(broadening, burrowing, storying, re-storying)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는 체육고등학교에서 학생선수로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운동이 아닌 다른 진로를 선택하여 대학 진학의 꿈을 가지고 자신의 진로를 개척해나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수영선수로서 보낸 학창시절과 수영선수가 아닌 새로운 길을 선택하여 노력하는 과정, 새로운 길을 가기까지의 어려움이라는 경험을 통해 개인, 학교, 사회라는 3가지 차원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개인 차원에서는 학생과 선수 사이의 균형과 자기 관리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필요함을 학교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와 감독, 운동부 지도자, 교사들 간의 협력적 공조 체계가 필요함을 사회 차원에서는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를 위한 시스템 구축과 체육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이 이뤄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체육고등학교가 그리고 학생선수들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transition processes for a student-athlete at a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PEHS) who went to a college as nonathlete, and then identify the elements of transition process to be improved and facilitated in the future. Methods: This study used a narrative inquiry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interview. With transcribed interview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ges (broadening, burrowing, storying, re-storying) suggested by Connelly & Clandinin (1990) and Clandinin & Connelly (2000). Result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tudent-athletes of PEHS and they invested a great deal of effort for studying to enter a college without sport career while they were still participating team practice as a student-athlete. Through one of participants who was a swimmer in PEHS experienced the process of struggling for seeking a new career path without sport career and the thre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found in this study as individual, school, and society. From an individual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lance between students and athletes and self-management capabilities. In school context, coaching staffs, educational supervisors, and teachers need to cooperate together to improve curriculums of student-athletes. In society, the point of view for PEHS needs to be changed and well-developed program needs to be operated for student-athletes in PEHS. Conclus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se findings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EHSs and student-athletes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리그 운영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제성준(Sung Zoon Zae),손천택(Cheon Taik S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3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이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리그에 참가와 운영을 동시에 하면서 겪는 경험을기술하고 그 교육적 의미를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유목적표집 중 결정적 사례 표집법에 의해 선정되었다. 연구참여자는 교내 학교스포츠클럽에 소속되어 있으며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리그를 자치활동 차원에서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리그를 운영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를 2년째 지도하고 있으며 교내 학교스포츠리그 담당교사이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landinin & Connelly이 제시한 단계(broadening, burrowing, storying, and re-storying)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 시절 장래 희망이 축구선수였다. 축구선수의 꿈은 부모님의 반대로 좌절됐지만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을 통해서 축구에 대한 애정을 다른 방식으로 표출하게 되었다. 연구참여자가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리그에 참가와 운영을 하는 과정은 3가지의 교육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첫째, 자신의 꿈과 현실의 간극이 최소화된 최선의 것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참가하면서패자부활에 성공했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활동에 프로슈머의 역할을 함으로써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의 요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내실 있게 운영 되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축구리그 운영 중 보이지 않는 손에의해 학교라는 조직이 선형적 위계 속에 통제와 신체활동에 대한 오해의 시선이 존재함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 나아가야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search for educational meanings that a high school student experiences while he manages and participates in school sports club leagues. The study was performed by a narrative research method.The research participant was chosen by decisive case sampling of other purposeful sampling methods and the research participant is a particular case that a student who belongs to the school sports club in school manages voluntarily and initiatively the league as a part of students` association activities. The researcher is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o has been teaching students at school and in charge of a sports club for 2years.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eps(broadening, burrowing, storying, and re-storying) that Clandinin & Connelly had suggested. Soccer is very important to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wanted to be a soccer player when he was a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dream was opposed by his parents but he expressed his passion for soccer through the school sports clubs in different ways. The process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manages and participates in the school sports club soccer league is interpreted as having 3 educational meanings. First, he succeeded in dreaming of his old dream by participating the school sports club that the gap between his dream and real life is minimized. Second, by playing a role as a prosumer in the school sports club, as the needs of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consumer, were actively reflected, the school sports club was managed substantially. Third, while the research participant managed the school sport club league,he experienced that misunderstandings about physical activities appeared implicitly and there were some controls of school system in linear hierarchy by invisible hand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pose the new direction that school sports club activity must go forward.

      • KCI등재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의 멘토링 실천 과정과 교육적 함의

        박성기(Park, Sung Ki),제성준(Zae, Sung Zo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중학교 초임 체육교사 멘토링 실천 과정의 경험과 그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변화와 상관성 등을 탐구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실천 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들의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보다 깊이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과 정황에 대한 중요한 속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실천 과정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면담, 관찰, 문서들을 통해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내용을 사례 및 연구 참여자 별로 분류한 것을 바탕으로 소주제, 중주제, 대주제로 범주를 확대시켜 범주에 따른 특성과 관계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인 멘티들은 멘토링을 통해서 직면, 목표, 경험, 변화라는 4가지 차원에서 그 실천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공감형성, 길라잡이, 역할모델, 동반성장이라는 교육적 의미로 멘토링의 실천과정을 해석하였다. 멘토링의 실천 과정을 통해 멘티가 멘토와 서로의 진심을 느끼며 관계를 맺어가면서 서로의 목표를 향해 함께 나아가는 과정이 멘토링의 진정한 가치라는 것을 깨닫게 되는 큰 의미를 가진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meaning to the experience of the mentoring process of no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middle school and to explore the changes and correlations found therei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o reflect the context and context of the experiences occurring in the process, explore in-depth the crucial attributes of the phenomena and circumstances based on more in-depth data, and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rocess. Methods: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and collected data throug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s. After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collected data by case and study participant, the categories were expanded from sub-topic to mid-topic and larg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inductively. Results: Through mentoring, the mentees who are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the process in four dimensions: confrontation, goal, experience, and change. Through this, the mentoring process was interpreted in the educational sense of forming a consensus through the essence of “class”, the cornerstone of guidance, role model, and shared growth. Conclusion: Through the mentoring proces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hat the mentor and the mentee realize that the actual value of mentoring is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each other"s goals as they form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 KCI등재

        체육고등학교에서 주지 교과 교사로 살아가기의 어려움

        박성기 ( Park Sung-ki ),제성준 ( Zae Sung-zo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4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 교과 교사들의 교직 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고민과 갈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체육고등학교만의 문화적 특성을 도출하여 체육고등학교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광역시 소재의 B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교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교직 생활에 대해 문화기술적 연구(Ethnography)로 실시하였다. 관찰, 문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기 전 학교 밖에서 바라본 시선에서 주지 교과 교사로서 업무와 수업의 부담이 적고 학교 생활에 있어서도 편하게 지낼 수 있는 학교라는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체육고등학교를 지망하여 근무를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와는 다르게 근무를 하면서 담임 교사, 교과 교사, 조직구성원의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담임교사 측면에서는 기본생활 습관이 부족한 학생들과 운동부 감독 교사들이 담임 위의 담임으로의 인식, 진로 진학 지도 차원의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교과 교사 측면에서는 수업에 대한 기본 태도의 부족, 중학생 수준의 낮은 기초 학력 수준, 교재 연구의 어려움이 나타났으며 조직 구성원으로서는 무임승차, 우리는 소수, 소통이 없는 교사 문화로 인한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체육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주지 교과 교사를 위해 교직 문화 적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체육고등학교 문화에 관한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만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문제점의 일부를 드러내기 때문에 나아가 체육고등학교의 교육 정책 수립 및 효과적인 교육과정 운영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by deriving cultural characteristics unique to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worries and conflicts the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working in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are experiencing. For this, an ethnography study was conducted on the school life of two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working at B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data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school documents,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Before working in the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the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thought they could have a comfortable school life with less burden of work and classes. Based on this assumption they decided to go to a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for their convenience and started working. However, contrary to their expectations, they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s homeroom teachers, subject teachers, and members of the school.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adaptation to school culture for intellectual subject teachers assigned to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In addition, since the results reveal some of the educational problems that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especially hav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ffective curriculum for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 KCI등재

        통합체육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정현철(Jeong, Hyun Chul),제성준(Zae, Sung Zo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이 연구는 통합체육 수업 경험을 토대로 어려움과 개선의 노력을 실천한 ‘나’와 ‘우리’의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로 통합체육 수업 운영의 구체적인 사례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통합체육 수업에 관한 집필을 위해 모였으며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철학과 개선의 노력을 함께 공유하고 실천한 사례에 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우리가 경험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은 첫째, 우리는 통합체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없이 장애학생 수업 참여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고 이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기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자료는 보통 장애 유형별 중심으로 제시되어 있어 실제적인 통합체육 수업 운영을 위한 자료들이 부족하였다. 셋째, 학교별 일반학생 중심의 체육 수업 운영으로 인해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장소, 용·기구, 수업 설계 등 통합적인 수업 여건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통합체육 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첫째, 통합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자발적인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 유형을 구분 짓지 않는 수준별 수업으로 모둠 활동 안에서 협동이 중심이 되는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셋째, 통합체육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를 위해 과정 중심의 세부적인 활동에 관한 기록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끝으로, 이 연구가 효율적인 통합체육 수업을 고민하고 실천하는 학교현장의 체육교사들에게 실천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Purpose: As the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I’ and ‘We’ who practiced efforts to improve difficulties based on experienc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oncrete cases of operating th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Methods: ‘We’ got together to write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case data of sharing and practicing the philosophy and improvement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Results: In the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 experienced, first, we put various efforts for encourag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class without in-depth understanding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working as a burden to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the existing material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were usually focusing on each type of disabilities, so there were not many materials for the actual oper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Third, due to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focusing on ordinary students in each school,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the conditions of inclusive class such as place, tool/instrument, and class design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overcoming such difficulties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 the teachers should have voluntary will and efforts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ism for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focusing on collaboration within group activities through graded class without dividing the type of disabilities. Third, there should be records and feedbacks on process-centered detailed activities for the unifica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study and practice such efficien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chool field.

      • KCI등재

        중도탈락한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 이야기

        최중근(Jung-Keun Choi),제성준(Sung-Zoon Zae),이소미(So-mi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탈락한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학교생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학생운동선수였던 고등학생의 삶을 이해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축구선수 생활을 경험하였으나, 개인적인 사정이나 경기력 부진 등으로 운동을 중도 포기한 일반 고등학생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 전화 인터뷰, SNS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다각도 검증, 연구 참여자 확인, 전문가 검토를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중도탈락한 고등학교 축구선수의 학교생활은 중도탈락 전의 학교생활, 중도탈락 후의 학교생활, 학교생활의 교육적 의미 3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첫째, 중도탈락 전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은 ‘분리된 생활’, ‘운동만이 나의 삶’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중도탈락한 후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은 ‘고문 같은 수업 시간’, ‘평범한 학생’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중도탈락한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의 교육적 의미는 ‘모드전환의 어려움’, ‘불투명한 미래’, ‘자기 관리하기’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는 중도탈락한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을 심층적으로 탐구, 분석해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었다. 이를 토대로 중도탈락한 학생 선수를 지원할 수 있는 개인, 학교, 사회적 차원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student athletes by looking at the school life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who dropped out. Methods To this end, thre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soccer player life but gave up sports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or poor performa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hone interview, SN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thod. Truthfulness of data was secured through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peer debriefing. Results School life of high school soccer players who dropped out could be understood in three aspects: school life before dropout, school life after dropout, and educational meaning of school life. First, the high school life of a soccer player before dropout could be understood as a ‘separate life’ and ‘my life only with exercise’. Second, after dropping out, the high school life of a soccer player was ‘torture-like class time’ and ‘ordinary life.’ I could understand it as a student . Third, the educational meaning of high school life for a football player who was dropped out could be understood as ‘difficulty in mode switching’, ‘opaque future’, and ‘self-management’. Conclusion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and analyzed the high school life of soccer players who dropped out of school in depth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is, it can be said that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find support measures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social level that can support student athletes who have dropped out.

      • KCI등재

        협동학습모형의 체육수업 적용에 따른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하기

        손천택(Cheon Taik Son),최기표(Ki Pyo Choi),제성준(Sung Zoon Za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19 No.4

        협동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체육수업에서 둘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시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을 받는 고등학생들이 그 수업을 통해서 어떤 경험을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나가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I지역의 고등학생 15명을 이론적으로 표집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참여관찰,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 & Corbin(1998)이 제안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 모형 중심의 체육수업을 처음 받는 고등학생들은 협동학습을 자기 존재 를 찾아가는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하였으며, 협동학습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학습의 주체가 되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고, 결국 신체활동 수준이 향상되며 바람직한 정서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It has been argu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sure to contribut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earning experiences of 15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taken cooperative learning model 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ocument for fifteen research participants theoretically sampled for this study.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High school students having taken cooperative learning model 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cognized the cooperative learning as a way of searching self-existence;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the experiences of cooperative leaning are added; Eventually, the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increased and their emotions were changed in desirable way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하기

        박성기,제성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4

        이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학교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과정과 그것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A지역 H중학교에 근무하는 네 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2021년 1학기에 실시한 체육수업에 대해 2021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진행하였다. 1회의 집단 면담, 3회의 개인 심층 면담, 학교 문서를 바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 결과, 전문적 학습 공동체를 통한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은 코로나19 상황을 극복이라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여 학교 수준 체육 교육과정의 방향 설정, 원격 수업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실행, 성찰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3가지 가치 있는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의의 공감으로, 교사의 성장을 위해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필수조건임을 인식하였다. 둘째, 체육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함께 소통하고 협력을 통해 집단 지성의 힘이 발현되었고 자존감과 전문성의 향상을 실감하였다. 셋째, 새롭게 개발된 원격 수업 방식은 펜데믹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일상으로 돌아온 이후의 수업에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체육의 새로운 지평(地平)을 넓히게 되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 dept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chool-leve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responding to the COVID-19 situation based o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its educational mean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5 months from July to November 2021 o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fou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H middle school in A region.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one group interview, three in-depth personal interviews, and school documents, and inductiv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tarted from recognizing the problem of overcoming the COVID-19 situation, and proceeded in the order of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school-leve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urriculum suitable for distance learning, and reflecting. In this process, three valuable educational meanings were derived. First, by empath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 was recognized that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growth of teachers. Second, the power of collective intelligence was expressed throug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professionalism was realized. Third, the development of school-leve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suitable for distance learning to cope with the pandemic became a stepping stone to broaden new horizons of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