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첫 1년간 혈액투석 환자의 식사 관련 생리적 지표 변화 분석

        정희진,구자선,김진동,박진선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ime and content of die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of hemodialysis patients during their first year and to present baseline data related to dietary education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Methods: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73 patients on hemodialysis were analyzed. Data included levels of potassium, phosphorus, albumin and the IDWG rate, and Kt/V during the first year after starting hemodialysis. Repeated-measure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erum levels of phosphorus (p<.006), albumin (p<.001) and the IDWG rate (p<.001)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7 months fromthe start of hemodialysi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iod in which diet 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 is necessary is before physiological changes, that is, after 6 months of dialysis. The contents for effective education should include phosphorus-limited and weight control dietary restrictions at 6 months. 목적: 본 연구는 혈액투석 시작 후 첫 1년간 식사와 관련된 생리적 지표를 분석하여 교육이 필요한 시기와 교육의 내용을 파악하고, 식사 관련 교육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인공신장실에서 처음 혈액투석을 받은 외래환자 73명의 첫 1년간 생리적 지표 중 혈중 칼륨, 인, 알부민, 투석간 체중증가율, 혈액투석 적절도를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결과: 혈중 인(p<.006), 알부민(p<.001), 투석간 체중증가율(p<.001)은 투석 시작 후 7개월 경과 시점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위 결과로 식사 관련 교육중재가 필요한 시기는 생리적 지표에 변화가 오기 전인 투석 시작 후 6개월 시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사교육 내용으로는 6개월에 인 제한 식사요법과 체중조절 방법이 포함되어야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Escherichea coli 요로 감염과 non-Escherichea coli 요로 감염 사이의 차이점

        정희진,엄지아,정수진,허재원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0 No.5

        Purpose :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a common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in childhood. Especially UTI in infant and young children is associated with urinary tract anomalies such as hydronephrosis, vesicoureteral reflux.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and uroradiologic findings of UTI caused by pathogens other than E. coli with UTI caused by E. coli in infant and young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70 infants and children, who had been admitted for UTI to Il Sin Christian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5. Al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 coli and non-E. coli UTI, and they were compared for demographic data, clinical data (degree and duration of fever, time to defervescence, and length of hospital stay), underlying urinary tract anomalies (by history and ultrasonography), recurrent infection (by history and past medical records), and laboratory data [urinalysis, white blood cells (WBC) count in peripheral bloo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reactive protein (CRP), and serum creatinine level]. Results : Of the 170 UTI patients, the number of non-E. coli UTI was 114 (67.1%) and E. coli UTI was 56 (32.9%). As compared to E. coli group, non-E. coli group was younger in age (0.52±0.59 years vs 0.84±1.39years, P<0.05), had higher rates of urinary tract anomalies [n=46 (82.1%) vs n=53 (46.5%), P<0.001], higher recurrence rate, shorter time to defervescence, less peripheral blood WBC count, lower level of CRP, lower level of ESR. Conclusion : The characteristics of non-E. coli UTI compared to E. coli UTI was younger age, milder clinical symptoms and signs, higher rates of urinary tract anomalies and higher recurrence rate. 목 적 : 요로 감염은 소아에서 흔한 세균성 감염 질환이다. 특히 영아나 어린 소아에서의 감염은 수신증이나 방광 요관 역류와 같은 요로의 동반 기형과 관련성이 높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E. coli 에 의한 요로 감염과 E. coli 외의 다른 균에 의한 요로 감염사이의 임상소견과 검사실 소견, 요로계 영상 검사 소견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방 법 :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부산 일신 기독 병원 소아과에 요로감염으로 입원한 170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아들은 E. coli 요로 감염과 non-E. coli 요로 감염의 두 그룹으로 나뉘었고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임상 자료(발열 정도와 기간, 해열 기간, 입원 기간), 요로계 동반 질환(병력과 초음파를 통해)과 감염의 재발(병력과 과거 의무 기록을 통해), 검사실 소견[요 침사 현미경 검사, 말초혈액 백혈구 수, 적혈구(ESR), CRP,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요로 감염으로 진단된 170명의 환아 중 114명(67.1%)은 E. coli에 의한 요로 감염이었고 나머지 56명(32.9%)은 다른 요로 감염 균에 의한 감염이었다. Non-E. coli 그룹은 E. coli 그룹에 비해 발병 연령이 더 낮고(0.52±0.59세 vs 0.84±1.39세, P<0.05), 요로 기형의 동반률이 높고[46례(82.1%) vs 53례(46.5 %), P<0.001], 재발률이 높고, 해열까지의 기간이 더 짧으며, 말초혈액 백혈구수가 더 적고, CRP 수치가 더 낮고, ESR 수치가 더 낮다. 결 론 : Non-E. coli 요로 감염은 E. coli 요로 감염에 비해 발병 연령이 더 어리고, 경한 임상 양상과 검사실 소견을 보이며, 요로 기형의 동반률이 높고 재발률도 높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희진,이숙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2 특수교육논총 Vol.38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a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Method: A total of 28 grade 3 students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Hwasong,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determine i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would have any effect on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inclusive classroom. Result: First, the total score and four sub-variables of environmental attitudes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s. Second, the total score and two sub-variables of the cooperative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ffected the environmental attitudes and cooperative ability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ed the applicabi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s the class-wide universal supports for students with a disability in th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A초등학교 3학년의 1개 통합학급 학생 28명이다. 연구자인 특수교사가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장애학생을 포함한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의 사전, 사후 변화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학급 학생들의 환경태도 총점과 하위영역(구두진술영역, 활동진술영역) 및 하위주제(환경일반, 수자원)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장애학생 또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환경태도 총점과 하위영역(구두진술영역, 활동진술영역) 및 모든 하위주제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둘째, 통합학급 학생들의 협동능력 총점 및 하위영역(긍정적 상호의존성, 소집단 및 대인관계 기술)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장애학생 또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협동능력 총점과 하위영역(긍정적 상호의존성, 소집단 및 대인관계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협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통합학급 차원의 보편적 지원으로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제중심학습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통합학급이 참여하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종속변인의 측정 방법과 대상을 다양화하여 문제중심학습 및 환경교육의 의의와 효과를 다양하게 입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In Vitro Free Radical and ONOO-Scavengers from Sophora flavescens

        정희진,강삼식,Sook Kyung Hyun,최재수 대한약학회 2005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8 No.5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CH2Cl2-soluble fraction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furnished fiv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ers: trans-hexadecyl ferulic acid (1), cis-octadecyl ferulic acid (2), trans-hexadecyl sinapic acid (3), (–)-4-hydroxy-3-methoxy-(6aR,11aR)-8,9- methylenedioxypterocarpan (4) and desmethylanhydroicaritin (8), along with nine known inactive compounds: (–)-maackiain (5), xanthohumol (6), formononetin (7), (2S)-2'-methoxykurarinone (9), (2S)-3β,7,4'-trihydroxy-5-methoxy-8-(γ,γ-dimethylallyl)-flavanone (10), (2S)-7,4'-dihydroxy-5-methoxy-8-(γ,γ-dimethylallyl)-flavanone (11), umbelliferone (12), kuraridin (13), and trifolirhizin (14). Compounds 1-4 and 8 exhibit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t IC50 values of 33.01 ± 0.20, 57.06 ± 0.16, 39.84 ± 0.36, 35.83 ± 0.47, and 18.11 ± 0.04 µM, respectively. L-Ascorbic acid, when used as a positive control, exhibited an IC50 value of 7.39 ± 0.01 µM. Compounds 1-4 and 8 also appeared to exert significant scavenging effects on authentic ONOO-, with IC50 values of 5.76 ± 1.19, 15.06 ± 1.64, 8.17 ± 4.97, 1.95 ± 0.29, and 4.06 ± 2.41 µM, respectively. Penicillamine (IC50 = 2.36 ± 0.79 µM)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In addition, compounds 2, 4, 6, 8, and 10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순응도 관련요인

        정희진,천병철,김우주,박승철,손장욱,엄중식,최선주,우흥정 대한감염학회 2004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6 No.4

        목 적 : 병원근무자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병원내에서 인플루엔자 전파를 막기위한 수단으로 적극 권장되고 있으나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는 병원근무자들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첫째, 백신 접종자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계기를 알아보고 둘째,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 목표가 있다.재료 및 방법 : 서울 1개 대학병원의 병원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 1개월에 걸쳐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하도록 한 후 2000년 3월에 접종군과 비접종군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백신 접종군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의 동기(que to action), 비접종군을 대상으로는 접종에의 장애요인(barrier) 등을 조사하였다. 이 외에도 양군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척도,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기대되는 효과(benefit)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정답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 1) 설문 조사에 응한 총 수는 309명으로 간호사가 60%이상이었다. 백신접종군은 평균연령, 평균 근무연수가 비접정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으나 성별, 직종별 분포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2)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정도에 있어 접종군의 93.4%가 그 필요성을 잘 인식하여 비접종군의 77.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예방 접종이 필요한 구체적 이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접종군 11.3%, 비접종군 11.9%에 불과하였다. 3)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받은 의료인들의 행동계기는 ‘감염관리실의 홍보’와 ‘주위사람들의 권유’에 의한 경우가 26.9%, 21.6%로 가장 많았고 본인이나 가족, 친구들을 통한 일종의 감지된 위협 때문에 접종한 경우 31명(18.6%)의 순이었다. 4) 비접종자들에서 예방 접종을 시행치 않은 가장 흔한 이유는 ‘업무에 바쁘고 시간이 없어서’라는 항목이었으며(37.3%) 특히 의사 집단에서는 이러한 이유가 68.8%로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간호사나 기타 직종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경우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확신이 30%내외에 달하였고 예방 접종 자체의 효과에 의문을 갖는 경우도 직종에 따라 6.3-29.7%에 달하였다. 결 론:병원근무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의 장애물(효과의 의문,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인플루엔자 백신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식시키기 위한 교육과 함께 시간, 공간상의 제약을 배제할 수 있는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In spite of yearly recalls, influenza immunization rate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remained low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non-compliance against influenza immunization and to analyze the barrier factors for the immunization. Materials & Methods: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March of 2000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We evalu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influenza vaccination and opinions regarding influenza prevention (knowledge about influenza vaccination efficacy, que to action in vaccinee, perceptible benefit, barrier to vaccination). Results:309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HCWs were returned. Mean age and mean duration of work in hospital were higher and longer among vaccinee than non-vaccinee. Even though the necessity of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were accepted well in vaccinee compared to non- vaccinee, the accurate reasons for vaccination were not quite understood among HCWs regardless of compliance. Vaccine campaign (30.8%) and advise from doctors (24.7%) were important for the promotion of vaccination among vaccinee. However, major reason for non-compliance among nursing staff and was mis-confidence that their bodies' self defense mechanisms would ward off infection (33.5%) and 'too busy to get injection' for doctors (65%). Conclusion:We conclude that regular education about perceptible benefits and wrong concerns about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and easy accessibility to vaccinati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to improve the influenza vaccination. On-site availability of a vaccination-nurs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 한국의 Land Mark 에 대한 연구 Ⅱ : 도시별 Land Mark를 중심으로 study for traditional urban communities land mark

        정희진 한국디자인과학학회 1999 디자인과학연구 Vol.4 No.-

        현대에 와서 환경에 대한 개념은 그 중요성으로 인해 자연 과학 분야뿐만이 아니라 여러 학문 분야에서 새롭게 해석과 함께 인식 또한 부각되고 있다. 「환경(Environment)」이라는 말은 그 개념의 다양성과 광범위 성으로 인해 그 규정을 한 마디로 요약 서술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만큼 복잡하다. 일반적으로 환경이란 광범위하고 다양한 여러 가지 물리적 심리적 만남의 장소 거기에 특성 지어지는 하나의 작용력을 의미하게 되는데 현대 미술에 적용되는 환경개념을 둘로 한정시켜 구분한다면, 건축 또는 도시계획 적인 환경과 예술적 환경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예술적 환경개념이란 환경을 이미지 창조하고 하는 하나의 공간개념으로 파악하려는 현상을 의미하게 되는바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차원의 연장에 따른 전개효과의 변형이라고 한다. 이렇게 환경 그것이 지닌 아주 광범위한 종국개념 속에서 환경 내부에 대한 예술적 창조가 가능해 지며, 그래서 하나의 공간은 그 자신으로서의 리얼리티를 지니게 되고 이것이 예술적 이미지를 탄생시킨다고 보고 있다. 여기에서 환경예술의 형성은 종래의 기존 예술과는 달리 일시성, 익명성, 개방성, 사회성, 유희성을 덧붙여 예술의 탈-계급화, 탈-중앙 집권화, 탈-물질화 등 독특한 조형어법을 만들어낸다. 이런 종형어법들은 환경예술에서 환경과 인간에 대한 인식을 대신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 때 디자인에 있어서도 환경예술보다 더욱 밀접한 관계로 디자인 분야에서 접근해야 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 장에서는 우리의 전통문화, 예술성, 조형성, 토테니즘, 샤머니즘이 서양문화의 기술이념과 사상, 이론이 적용되지 않고서도 공간형성을 이루었는지 환경 디자인의 한 부분인 Land Mark를 통해, 제 3자에게 Communication될 수 있는 상징적 조형물과 공간 예술 물적인 것에 대해 조사하며, 한국적 Land Ma가는 어떤 의미와 형태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한국적 랜드마크의 주체성과 역사적인 고유성을 찾는 방법으로 연구한다. Today, a new concept of environment realized not only natural science but also many scientific treatises. It's not easy to discussed the meaning of environment because of complication and multiplicity. Modern Art distinguish between always a believer in architecture as natural and organic environment and Artistic environment. Artistic environment called a modification which moaned two dimensional are three dimensional extension. The Artistic environment originated self-reality that the range of a creation of Artistic image. The shape of Artistic environment moaned in set of temporary, anonymity, Publicity, society and play. It also united artistic secede from a class, a political power and a material. These element could help people develop the special perception necessary to life In modern world of space-time. Art should be used to provide well-designed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ould function closer to their potential. Korea Land mark, which is a park of Artistic environment, amalgamated with traditional culture, art, structure, totemism and showmanism.11's not related to West culture' technique idea, concept and theory. This page examined the traditional korea land mark's identity and historical peculiarity, so It constituted easy to let people k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