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세대 담론에 관한 연구: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정효진 한국소통학회 2020 한국소통학보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ourse process of the young generation formed through online discussion by presenting the topic of "Is the current 20s the generation facing the most difficulties in history?" in the LMS discussion room. The analysis showed that out of 136 college students, 60 were in favor, and 76 were in opposition, with opposition outnumbering Yes. Based o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discussion room,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echnique of Fairclock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text level, discourse level, and socio-cultural performance level. In the case of favor, the discourse on job competition, the discourse on the negative emotion, the discourse on the generational conflict, the discourse on the generation pause, and the discourse on economic polarization were categorized. On the opposite side, the discourse on the historical situation, the discourse on hope and opportunity, the discourse on the search for alternatives, and the discourse on relativity were categorized. In the discourse-level analysis, an inner relationship was formed: 'Generation Conflict discourse-Generation empathy discourse', 'Discussion on negative emotions-Discussion on hope and opportunity', and 'Discussion on employment competition-An Alternative Exploration discourse'. In the analysis of the socio-cultural performance level, the recovery of youth's activeness, who still possesses significant power, served as a clue for solving the youth generation problem in the future, as a group that will change society and make the fundamental changes in social and structural contradictions through the discourse of social and structural approaches and the discourse of individual self-reliance approach. Through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observed what has not been captured in the existing youth discourse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and established a new discourse for the youth generation. 본 연구는 LMS 토론방에 ‘지금의 20대는 역사상 가장 어려운 세대인가’라는 토론논제를 제시하여 온라인 토론을 중심으로 형성된 청년세대 담론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36명의 대학생 중 찬성이 60명, 반대가 76명으로 나타나 반대가 찬성보다 더많았다. 그리고 토론방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텍스트 차원, 담론적 차원,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의 함의들을 살펴보았다. 텍스트 차원에서는 찬성의 경우, 취업 경쟁에 관한 담론, 부정적 정서에 관한 담론, 세대갈등에 관한 담론, N포 세대에 관한 담론, 경제 양극화에 관한 담론이, 반대 측에서는 역사적 상황에 관한 담론, 희망과 기회에 관한 담론, 대안 탐색에 관한 담론, 상대성에 관한 담론이 범주화되었다. 담론적 차원의 분석에서는 ‘세대갈등 담론-세대 공감담론’, ‘부정적 정서에 관한 담론-희망과 기회에 관한 담론’, ‘취업 경쟁에 관한 담론대안 탐색에 관한 담론’이라는 내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의 분석에서는 사회 구조적 접근의 담론과 개인 주체적 접근의 담론을 통해 사회 구조적 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와 사회를 바꾸어나갈 집단으로서 여전히 유효한 힘을 지닌 청년의 능동성 회복이 앞으로 청년세대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해본 연구는 청년의 주체적 시각으로 기존의 청년세대 담론 연구에서 포착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청년세대 담론을 구축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자 대고 선 긋기

        정효진 단국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1998 특수교육 사례연구 Vol.3 No.-

        이 아동은 경계선급 정신지체아동으로 학습의 모든 영역에 지체를 보이고 있다. 체격도 왜소하고 몸도 허약한 편이어서 요즘 검도학원에 다니고 있다. 그러나 전혀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현재 이 아동은 세 자리의 덧셈, 곱셈과 두 자리의 나눗셈의 계산이 가능하고, 간단한 일기도 쓰고 있다. 영어 교과서의 철자를 틀리지 않고 보고 쓰기도 한다. 하지만 한글이나 영어에서 띄어쓰기는 잘하지 못한다. 그리고 손의 소근육 발달이 안되어 가위질이나 자로 줄긋기 등은 또래아동에 비해서 많이 떨어진다.

      • 후치 구문의 정보 구조 및 담화 기능 : 우향 전위 구문과 수동태를 중심으로

        정효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2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32 No.-

        This paper shows two types of the left-dislocation, which the topic expression of left-dislocation occupies a base-generated topic phrase dominating the CP while the topic expression of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is adjoined to IP, being moved from an argument position. This explains why the topic phrase of topicalization cannot occur on the left of the topic phrase of left dislocation. Also like the topic expression of left-dislocation, we explain that the right-dislocation constructions and the passive constructions are base-generated. These constructions occupied the discourse functions such as hearer-old and discourse-old information. In this sense, we assume that the right-dislocated NP and 'by NP' in passive sentences are to hold common the discourse-topic informational status (hearer-old information). These informational functions are similar to the left-dislocation and topicalization constructions, though looked heterogeneous on the surface, the right-dislocated NP and 'by NP' in passive sentences must have been treated to share a main function or to have a major discourse function. This may be the supporting claim that similar syntactic constructions are to be like the discourse functions.

      • 대장의 염증을 동반한 편충감염 1예

        정효진,채종인,최월용,김경민,김종한,배용목,허정호,최영식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4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9 No.1

        Trichuris trichiura (whipworm) thrives chiefly in warm, moist tropical countries, but is found throughout the world. The worm derives its name from its characteristic whiplike shape. Most patients are asymptomatic, but only patients with heavy infections become symptomatic. Symptoms of whipworm infection can include diarrhea, dysentery, abdominal pain, vomiting, anemia, weight loss, anorexia, and rectal prolapse. The diagnosis depends on finding Trichuris eggs on stool concentration tests, or by identification of the adult worms, usually by colonoscopy. We report a case of whipworm infection with colonic inflammation that was diagnosed by colonoscopy and was removed by forcep. Colonoscopy is availab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whipworm infection.

      • 유아의 삶 속에서 구성한 윤리·수학적 경험에 관한 탐구: 간식 나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정효진,정정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수(數)와 수학은 ‘탈 맥락적, 탈 가치적이며 수학은 윤리의 문제와 별개인가?’라는 큰 물음으로 시작한다. 연구자는 이 물음을 해명하기 위하여 유아들이 삶 속에서 구성한 윤리·수학적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수(數)’와 ‘수학’의 의미를 어떻게 형성해 나가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탐구는 D시의만 5세 예꿈반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간식 나눔’ 프로젝트를 약 4개월 동안 주 2-3회 진행하였다. 자료로는 유아들의 프로젝트 활동을 관찰한 전사본과 면담자료, 교사 저널 및 연구자 일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의 깊게 반복적 읽기를 하면서 의미 있는 진술을 표시한 후, 관련된 의미 단위들을 중심으로 분류하였고 유아들의 활동을 이해하면서 다시 읽고 재분류하는 작업을 거듭하였다. 연구결과, 예꿈반 유아들은 간식을 나누어 먹는 동안 점차 친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나눔의 방법을 찾아가고 있었으며, 자신의 몫만 신경쓰다 차차 친구의 몫까지 챙겨주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나와 너’의 욕구와 생각, 상황의 다름과 차이를 알고 ‘공평함’에 대한 정의를 구성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유아들은 ‘원하는 만큼’이라는 ‘상호 호혜적 보살핌’으로 그리고 서로의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이해의 지평을 넓혀가는 방식으로 ‘수(數)’와 ‘수학’을 적용하고 그 의미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자신의 삶의 맥락과 ‘나-너’의 관계 속에서 ‘수(數)’와 ‘수학’을 만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감으로써 윤리·수학적 문제를 함께 다루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정효진,최현숙 한국보육학회 2019 한국보육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a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Method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four mothers who live in Seoul, South Korea and whose first child enters in daycare center at 18 or 20 month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pplied to group interview and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method. Results: After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first, they decided to enroll their child to a daycare center after two mothers were pregnant with the second child or the others received a phone call for admission. The first impression of the teach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oice of admission when mother first visited the daycare center. mother, as well as toddlers who exhibited anxiety, experienced an adaptation proces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teacher, mothers could feel the toddler’s adaptation.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adap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daycare center type through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one-year-old toddler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program guide, the period, the content and the proceeding metho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aptation program for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at the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