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질탄산(重質炭酸)칼슘을 혼합(混合)한 시멘트 경화체(硬化體)의 내구특성(耐久特性) 평가(評價)

        정호섭,이승태,김종필,박광필,김성수,Jung, Ho-Seop,Lee, Seung-Tae,Kim, Jong-Pil,Pak, Kwang-Pil,Kim, Seo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중질탄산칼슘을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중질탄산칼슘을 시멘트 중량의 0, 5, 10 및 15%의 4단계로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한 후 시멘트 경화체의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및 황산염침식 저항성 등과 같은 내구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 범위내에서 혼합율에 관계없이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한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염소이온 침투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황산염침식 저항성은 중질탄산칼슘의 충전효과에 의하여 중질탄산칼슘을 혼합하지 않은 시멘트 경화체에 비하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a durability characterization of cement mortar with inert filler, which is ground calcium carbonate(GCC). The kinds of techniques to evaluate cement mortar are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For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resistance of chloride ion ingress, carbonation and sulfate attack, as the addition of GCC makes decreasing the permeability by micro-filler effect, the specimens of $5{\sim}15%$ ratio of replacement are superior to the GCC0 mortar specimen with respect to durability of cement matrix in this scope.

      • KCI등재

        고구려의 州·郡·縣에 대한 재검토

        정호섭(Jung Hosub)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3

        고구려에서 지방편제로서의 군현 내지는 주군현의 존부 문제는 아직 까지 충분한 근거자료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물론 그 개연성은 상정될 수는 있지만, 충분히 논증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것은 각 사료가 가지고 있는 한계도 있고, 그 사료를 해석하는 관점의 차이도 존재하며, 고구려 당시의 기록이라기보다는 당이나 신라의 인식이나 후대의 인식이 반영된 사료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 당시의 고유한 지명으로서 특정한 주, 군, 현으로 확증할 수 있는 것이 단 하나도 확인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고구려의 지방통치 편제로서의 주군현에 실재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고구려의 군사적 성격 등을 고려하면 군현이나 주현 단위의 편제를 고구려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다종족 국가였고 다양하면서 때로는 독특한 방식으로 주변지역의 통제했던 고구려의 국가적 성격을 해명하는 데 있어서 일원적인 지방편제를 상정하는 것도 역사적 사실과 부합되지 않는다. 고구려와 같은 고대 국가에서는 일원적인 편제를 갖춘 지방지배가 완전하게 관철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구려의 경우 그 운영방식은 자세하게 알 수 없으나, 대체로 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통치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성이 지방 통치의 단위가 되어 군사적 성격이 강하였기에 고구려의 영역이었던 요동이나 한반도 북부에는 수백 개의 크고 작은 성이 확인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구려 말기에 수당과의 전쟁과정에서 나타나는 각 성의 군사적 성격이나 성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성의 자립성도 주목해 볼 수 있는 것이다. Identifying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of Goguryeo can reveal its status as a centralized territorial state. As mentioned above, there is not 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the presence of Prefecture-Town or Province-Prefecture systems to govern the local areas during the Goguryeo period. Although it has been plausibly suggested,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it can be proven. Because all literature data have their own limitations and their interpretative perspectives vary. Nearly all available historical documents were written from perspectives of Tang or Silla people rather than Goguryeo’s own perspective nor contemporaneous with Goguryeo. The fact that there are not any known cases of Province or Prefecture, or Town recognized in the peculiar local names in Gogyreo period makes us skeptical of Province-Prefecture-Town system as Goguryeo’s local administrative system. Given the nomadic and military oriented characteristics of Goguryeo culture, it is unlikely that Chinese styled Prefecture-Town or Province-Town systems may have not been employed by Goguryeo. A sole uniformed administrative system applied to entire Goguryeo, however, would not match with its dynamic and flexible governing style in this country with multi-ethnic groups. Whether both central and local areas could have been completely controlled by such an ancient state like Goguryeo, is questionable. Goguryeo employed a castle centere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t appears that roles of castle as a local administrative center and a military post had led to construct several hundred castles in Liaodong and northern Korean peninsula that was once a part of Goguryeo. In particular, scholarl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nderstanding its role as a militant post as well as an autonomous local center during the war with Sui and Tang dynasties in the end of Goguryeo era.

      • KCI등재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의 喪葬禮

        정호섭(Jung, Hosub) 한국고대사학회 2021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4

        지금까지 발견된 고구려와 백제 유민 墓誌銘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출자를 비롯한 정체성 문제, 그리고 당에서의 행적 등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묘지명의 내용이 단편적이라고 하더라도 묘지명을 당대인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사료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볼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이러한 차원에서 고구려와 백제 유민들 묘지명을 통해 관인으로 살았던 그들의 상장례를 집중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喪葬令이나 喪葬禮와 관련하여 주로 賻物, 官給, 護喪, 解官, 勅葬, 服喪, 贈諡 등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이들 묘지명에 단편적인 내용들을 통해서라도 상장례의 실상을 이해하고 당나라 관인들과의 차별성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당나라 관인으로서의 주류 사회에 동화, 편입되기를 갈구했던 존재들로 관품에 따른 상장령이나 황제의 조칙에 의한 상장례를 하였기 때문에 큰 차별성을 발견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유민 연구가 정체성에 집중되고 있는 점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의 접근이라 할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당의 상장령과 상장례의 대강을 이해하고 고구려와 백제 유민 묘지명을 통해 상장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서 다각도로 묘지명 자료에 접근하는 길을 모색해본 것은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당에서는 상장령이 실제적으로는 조항대로 운영된 것은 아니었다. 황제의 詔勅, 別勅이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비록 일면적이나마 율령을 통한 국가 지배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음미해 볼 사항이다. The literature on the epitaph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paid attention to their identity, including their claim of origins and records in the Tang Dynasty. However,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extensive use of epitaphs, despite the incomplete information, as historical records to address the life and death of the time. In this regard, it sheds light on the funeral service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ho were officials of the Tang Dynasty, by examining their epitaphs. In addition, it analyzed funeral gifts(賻物), government issue(官給), funeral director(護喪), dismissal from government post(解官), execution of burial(勅葬), wearing mourning(服喪), and posthumous title(贈諡) and their relations with funeral order and funeral service. From the incomplete information, it also sought to understand the state of funeral servi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fugees and officials of Tang. However, owing to the refugees’ intention towards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mainstream society of Tang by contributing, it is hard to find a substantial difference; such a result implies that the study on the identity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has assumed a nationalist approach. Still,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outline of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of Tang and seeking ways to approach the epitaphs of Goguryeo and Baekje refugees with concrete cases of funeral service. Overall, this paper finds that the funeral order was not executed as stipulated but subject to Royal edicts(詔勅) and special proclamations(別勅) from the Emperor; it opens a way to appreciate the funeral order and service in light of the state’s ruling.

      • 터널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

        정호섭 ( Jung Ho-seop ),김동규 ( Kim Dong-gyou ),김성수 ( Kim Seong-soo ),박광필 ( Park Kwang-pil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3 No.1

        지하공간에 축조되는 터널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변상은 여러 가지 내적 및 외적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물의 특성상 지하수 및 토양에 접하므로 각종 유해이은의 침식을 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특성을 현장조사와 현장에서 채취한 코어시편을 대상으로 실내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만월대 디지털기록관’ 콘텐츠 추가 구축 및 이용활성화 방안

        정호섭(Jung Hosub),이준성(Lee Junsung)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개성 만월대 발굴은 남북이 역사무대를 공유한다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사업이었고, 그러한연장선상에서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그것을 디지털 환경으로 구현해내는 것이다. 10여 년간진행되어 온 만월대 발굴조사 사업은 남북공동의 이해 나아가 문화유산 교류협력사업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남북교류사업의 일회적 이벤트적 한계를 넘어 지속적 상설적 제도화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민관 협력이 결실을 맺은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2020년 12월 개통예정인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의 콘텐츠 추가 구축 및 이용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지난 2017년 ‘개성 만월대 유물자료 정리사업’, 2018~2020년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사업’을 진행한 결과로개통되었으며, 생산 단계에서부터 디지털 포맷으로 생성된 기록들이 구축 대상 대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매우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남북 교류가 여러가지 부침을 겪는 현실을 감안해볼 때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중심추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한편,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자료의 보관이라는 일차적인 목표에서 나아가 여러 방면으로의 활용을 염두에 두고 추가 구축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구축 초기단계에 해당하는현재 시점에서 향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재의 아카이브를 어떠한 방향으로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뚜렷하고 명확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점에 유념하여 아카이브 내 디지털 전시, 가상 박물관 구축, 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 추진및 관련 콘텐츠 탑재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콘텐츠를 추가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용활성화 방안도 살펴보았다.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은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 구축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향후 개성에고려박물관 건립을 위한 여러 계획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만월대 디지털기록관’ 은 향후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 및 융복합 연구 등 높은 확장성과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있다는 점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 적절한 추가 콘텐츠 개발 및 여러 이용자 계층의 기호를맞춘 활성화 방안을 통해 ‘만월대 디지털기록관’이 해당 분야 연구자에게 도움으로 주고, 남북교류의 상징으로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looked at ways to build additional contents and promote the use of ‘Manwoldae Digital Archives’, which is scheduled to open in December 2020. ‘Manwoldae Digital Archives’ was opened as a result of the ‘Gaesong Manwoldae Relics Material Clearing Project’ in 2017 and the ‘Gaesong Manwoldae Inter-Korean Joint Excavation Digital Archive Construction Project’ in 2018-2020, and the ‘Manwoldae Digital Archives’ is highly likely to draw keen attention given that the majority of records created in digital format from the production stage. In addition, ‘Manwoldae Digital Archives’ will serve as a central pillar for the continued promotion given the fact that inter-Korean exchanges are suffering from various ups and downs.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go further from the primary goal of storing data and seek further deployment directions with the use in many ways in mind for ‘Manwoldae Digital Archives’. At this point in the early stages of deployment, increasing future utilization will require, among other things, a clear and clear plan on how to evolve the current archive.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proposed measures such as digital exhibitions in archives, the establishment of virtual museums, the promotion of UNESCO s registration as a documentary heritage, and the installation of related contents.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urther development of contents, measures to activate use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cause the best way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is to utilize it. The Goryeo Museum currently exists in the Seonggyungwan in the Gaesong area, but it is hard to say that it has functions as a museum in terms of exhibition conditions, preservation, and other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Koryeo Museum’ that functions as a museum, as the relics in Kaesong have been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many additional materials have been obtained through the excavation of Manwoldae. Although ‘Manwoldae Digital Archives’ are built in a situation where the two Koreas are divided, it could also be used in various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oryo Museum in the future. In addition, ‘Manwoldae Digital Archives’ is highly valuable in that it has high scalability and various possibilit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convergence research with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Manwoldae Digital Archives’ will be able to help researchers in the field and function as a symbol of inter-Korean exchanges through proper development of additional content and activation measures tailored to the tastes of various user classes.

      • KCI등재

        白巖 朴殷植의 고구려사 서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호섭(Jung Hosub)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4

        In general, the scholarship on Park Eun-sik has evaluated his nationalist historiography positively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peculiarities of Japanese colonialisa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meaning and limits of park`s historical writing on Goguryeo in order to place it in a more objective perspective. Park`s monographs, Myeonglimdapbujeon and Cheongaesomunjeon, historical biographies, take an expatiatory format mainly in the perspective of the enlightenment. This format can be categorised in between historica writings land novel, which shows descriptions diverged from historical facts. Also, following limits can be found: heroism with an emphasis on the spiritual features of history, and modern historiography`s orientation towards objectivity and positivity. However, these features can be regarded a close intimacy with the historical peculiarities which are commonly found in the contemporary nationalist historiography. Recently found contents related to the Myeonglimdapbu in Shin`s Daedongyeoksa seem to be written by him in reference to Park`s Myeonlimdapbujeon. Daedongyeoksa directly cites Myeonlimdapbujeon, while some parts are edited with summary. Although three lies dangers to reveal the connection between Park and Shin with single material, it can be said that a great deal of influence from Shin upon Park can be found for now. The discovery of Daedongyeoksa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igures, while recent studies still remains on the contribu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iography ?a simpl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Shin by Park.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구려의 강역에 대한 연구쟁점과 과제

        정호섭(Jung Hosub)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0

        본고에서는 고구려 강역에 대한 주요 쟁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700여 년 간 고구려의 세력권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것은 고구려의 팽창 과정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고, 고구려 역사의 부침에 따라 가변적이었다. 따라서 고구려 세력권을 설정함에 있어서 고구려가 영토를 완전히 장악하여 장기간 직접지배가 가능하였던 1차적 강역과 일시적인 점유에 그쳤거나 세력 간의 중간지대 내지는 완충지대에 있었던 2차적 강역으로 구분해서 파악할 필요도 있지 않을까 한다. 1차적 강역은 점의 집적을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바이지만 주로 자연지리적인 측면에서 강, 산맥 등을 수반한 어느 정도 선과 면의 개념까지 확대될 수 있는 공간일 것이고, 2차적 강역은 그런 표시가 원천적으로는 불가능하지만 상징적으로 구분해 낼 수 있는 공간이면서 점유가 변화되는 공간일 수 있을 것이다. 소위 ‘문화권’이라고 하는 관점은 강역과는 직접적으로 연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시각을 조금 달리해보면 고대국가에 있어서 강역은 당시 변경인들은 필요에 따라 이주 내지는 편입 등을 통해 삶을 영위하였을 가능성도 많고, 이종족의 존재양태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강역에 대한 이해는 바로 이러한 점도 착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고구려가 같이 주변 여러 종족이 서로 접하고 있었던 상황과 다종족 국가임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아울러 일종의 변경지대는 세력 간의 갈등과 충돌을 완화시키는 완충지대의 기능도 있어서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는 구간이기도 하다는 점도 상기해야 한다. 특히 국경 지역은 그 정체성과 관할이 조정되고 재편되는 공간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강역의 범위를 쉽게 설정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한편으로는 고구려의 강역을 연구함에 있어 고구려와 인접해있던 세력이나 국가의 입장에서 역으로 추적해 본다면 고구려와의 경계에 대해 상호 보완되는 객관성을 담보해 낼 여지가 좀 더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이상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염두에 둔다면 고대국가의 강역이나 경계는 선이 아니라 점의 집적 형태나 대역(일종의 zone)의 형태로 대략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바로 그러한 결과가 ‘세력권’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고구려 강역에 대한 연구도 ‘세력권’에 대한 이해로 귀결되어야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세력들 간의 경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이나 현상 그리고 인간들의 존재양태에 주목하여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서로 이질적인 세력들이 만나고 충돌하며, 그런 가운데 같이 살아가면서 융합되고 공존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것이다. 근거 없는 영역의 팽창 등으로 대표되는 의도된 서사의 역사가 만들어낸 허구적인 경계나 영역, 그리고 역사적 사실이라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근거가 없거나 사료 비판 없이 무분별하게 설정하고 있는 관념적인 가상의 국경선들을 오히려 지워나가야 할 것이다. 근대 국민국가 이후 만들어진 강역에 대한 집단적 기억을 탈피하여야 역사적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ddresses the main issues regarding the territory of Goguryeo. The spatial boundaries of Goguryeo had greatly changed over 700 years. The changes had corresponded with the trajectories of Goguryeo’s expansion and had been affected by the ebb and flow of Goguryeo’s power. Thus it is required to distinguish the primary territory under the long-term and direct Goguryeo rule and the secondary territory which had mostly been the buffering zone between neighbouring countries or temporarily controlled by Goguryeo. The primary territory can be defined by not only connected dots in a map, but also geographical marks such as rivers, mountain ranges, creating the zones with lines. The secondary territory is more symbolically defined and its occupants had constantly changed. However, so-called ‘cultural domain’ is not considered synonymous with the territor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frontiers in ancient kingdoms is significant because people living in marginal areas might have freely migrated by their needs and the habitation patterns of various tribes were varied. Considering Goguryeo as a nation of groups with multi-origins and the one facing many other countries,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territories is crucial. The marginal areas along the front line had played a role to buffer or avoid conflicts between power groups. In particular, defining the spatial boundary of certain country is difficult and must be carried out within historical contexts because its identities and governing bodies had constantly changed. On the other hand studies of territories can be supplemented by reviewing the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its neighbouring countries or power groups. Then it would ensure the objectivity in interpretations on territories. In general, the boundaries or territories can be marked by the connected points in a map or the spatial zones. Such distinguished space can be understood as the zone with a certain political uni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f Goguryeo’s territory would be attributed to the issues of ‘power domain’ in future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habitation patterns of human communities, and various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s. Recognizing space where different groups had encountered, conflicted, compromised and co-existed is important. Thus we have to discard the conceptual or imaginary boundaries derived from the narratives of territorial expansionism and assumptions generated without firm evidence or critical reviews of the historical records. The objectivity of interpretations would be enhanced only if we abandon the collective and prejudiced concepts of the territory, which was form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modern nation-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