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아 코칭 TV 프로그램에 나타난 영유아 자녀 양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혜욱 ( Chung Hoewook ),허가영 ( Hu Ga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육아 관련 이데올로기를 굳건히 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육아 코칭 TV 프로그램에 드러난 영유아 자녀 양육 관련 텍스트 표현과 담론 형성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리턴즈』 9편을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모델에 따라 텍스트, 담론적 실천의 차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영유아 자녀 양육과 일상에 관해 부정적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과장되고 자극적인 회차 제목, 의도가 담긴 왜곡된 어휘와 수식어, 권력관계에 따른 발언 기회의 제한이 나타났다. 둘째, 치료적 문제행동 해결 접근 방식의 의학 중심 담론이 중시된 반면 개인의 가능성과 전인적 성장을 강조하는 교육담론은 주변화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사회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서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 담론이 주변화되고 각 가정이 자녀 양육의 유일한 책임자라는 관념이 중시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육아 코칭 TV 프로그램이 만들어내는 사회적 담론 형성과 의도를 규명하여 영유아 자녀 양육에 대한 이미지 제고 및 육아 관련 TV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 재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minence of text expression and discourse formation related to raising infants and toddlers, as depicted in a parenting coaching TV program illustrating the reality of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Specifically, nine episodes of the TV program 『My Child Has Changed』 were sequentially analyzed using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odel. Firstly, the analysis revealed the prominence of exaggerated and provocative episode titles that evoked negative images related to childcare and daily parenting, alongside distorted vocabulary usage reflecting underlying intentions. Additionally, the study observed the prominence of inconsistent modifier usage applied to different subjects without cohesive parenting values. Secondly, the study highlighted the marginalization of educational discourses prioritizing individual potential and diversity, particularly when overshadowed by a medical-centered discourse focusing on therapeutic problem-solving approaches. Moreover, it was found that while there was prominence in the discourse assigning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for raising children within individual families, the discourse advocating for parents and society to support the healthy development and growth of young children together in an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as marginalized.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clarifying the social discursive formations and intentions generated by parenting coaching TV program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enhancing the image of childcare and redefining the direction such programs should take.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

        정혜욱(Chung, Hoewook),김지원(Kim, Jiw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2 육아지원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5세 학급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2019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와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체제간 연계에 대한 인식 및 교육과정 연계 실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5세 학급 유아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구성 체제(성격, 구성방향, 운영)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교육정도, 교직경력, 전공, 기관유형에 따라 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구성 체제 간 연계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나, 교육과정 운영 간 연계에 대한 인식은 다소 낮았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연계 실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약 65%의 유아교사만이 교육과정 연계를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유아교사의 변인을 고려한 방안 마련과 교육과정 간 연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를 제고하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연계를 지원하는 실질적인 지원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endency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the constructional structure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on the continuity in terms of the written and taught curricula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classrooms for five-year-olds. For this purpose, total of 259 teachers working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surveyed.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awarenes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construction(i.e., characteristics, compositional direction,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 in general. Second, the degree of the awareness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n th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education levels, majors, and types of institutions. Third, overall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the continuity in the constructional structure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a, but an awareness of continuity in terms of curriculum operation was relatively low. Fourth, th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about 65% of participant teachers were practicing curriculum for continuity between the pre-primary and primary curricula. These findings imply that various measures considering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hould be taken to rais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pre-primary and primary curricula and also that pract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tter implement the curriculum continuity in the fiel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권에 대한 인식

        정혜욱(Hoewook Chung),김지원(Jiwon Kim)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교권 보호 5법 개정 이후 교권 개념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교권 보호 5법 개정 이후 유치원 교육현장 변화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는 교권 개념을 권리로서의 교권, 권위로서의 교권, 관계성 차원에서의 교권 모두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교직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교권 개념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는 교권 보호 5법 개정 이후 교육현장이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권 보호 5법이 교육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정책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교육공동체의 인식 변화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tendency of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the concept of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rights, and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of changes after the revision of the five laws protecting teaching righ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ere survey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kindergarten teachers ha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eaching rights, including as rights, as authority, and in terms of relationship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eaching rights depending 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types of institutions.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the educational field had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revision of the five laws protecting teaching right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for institutional and policy-level support to ensure that the laws protecting teaching rights are established in the education field. Also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ies for teaching rights is required.

      • KCI등재

        신문사설에 나타난 유아교육 공교육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정혜욱 ( Chung Hoewook ),이지영 ( Lee Ji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6

        본 연구는 신문사 사설에 나타난 유아교육 공교육화 담론의 의미와 담론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보수성향의 조선일보, 중앙일보, 진보성향의 경향신문, 한겨레신문에서 관련 키워드로 검색된 194편의 사설을 공교육화 정책 확립과정에 따라 `공교육화 기반형성기`(1997년~2003년), `공교육화 논의활성화기`(2004년~2011년), `공교육화 실행기`(2012년~2016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교육화 기반형성기`에 진보성향에서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확대와 필요성을 주요하게 다루는 담론이 시작되었고, 이 시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은 사교육 과열과 국가경제위기라는 사회·경제적 맥락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공교육화 논의활성화기`에는 보수와 진보성향의 담론에서 유아교육 공교육화의 국가책무성과 공적자금 투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은 저출산 정책, 누리과정 시행, 선거공약과 이행의 사회·정치적 맥락의 영향이 주되었다. `공교육화 실행기`에는 보수와 진보성향이 유아교육 공교육화 정책 실행 및 재정 확보에 대한 비판과 개선안을 주요하게 다루었으며 이 시기의 사회·문화적 맥락은 누리과정 국고지원논란, 대통령 선거공약 및 이행이라는 사회·정치적 맥락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신문사의 성향에 따른 담론의 차이도 나타났는데 `공교육화 논의활성화기`와 `공교육화 실행기`에 보수성향은 선택적 무상교육담론을, 진보성향은 대항담론으로 보편적 무상교육담론을 형성했다. 본 연구는 담론의 의미 뿐 아니라 담론을 둘러싼 맥락적 배경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담론 분석의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의 간극을 이어주는 시도를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discourses of the public edu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nd to unravel their implicit underlying mechanisms. For this purposes, we used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Fairclough, 2011) as an analytical tool, and analyzed the texts in the newspaper editorials in the four major Korean newspapers: THE CHOSUNILBO and KOREA JOONGANG DAILY which represent a conservative tendency, and The Hankyorehm and The Kyunghyang Shinmun which represent a progressive tendency. 194 editorials wer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and we divided them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policy implement: 1997-2003, 2004-2011, and 2012-2016. As a result, the discourses of progressive media tended to be more concerned about public education for ECE than the conservative media in the first period(1997-2003). The major context in the first period was the mobilizing the female labor force. In the second period(2004-2011), the discourses of both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media urged the expansion of public education for ECE and its policy formation. The major contexts in the second period were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in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the election pledge and its fulfillment in the political context. Lastly, the discourses of the progressive and the conservative media criticized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nd the securing of its financing and propose the improvements in the third period (2012-2016). The major contexts in the third period were the support of national treasury of Nuri curriculum in the social context and the election pledge and its fulfillment in the political context.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능력에 문화성향,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육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육태도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유아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성향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수평 적 개인주의, 수직적 집단주의, 수평적 집단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은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변인 중 문화차이 존중도가 가장 높은 영향 력을 갖고 있고, 두 번째로 상호작용 주의도가 높은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 육태도는 다문화 교수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교육태도의 하위변인의 영향력은 다문화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태도, 유아교육기관의 다문화적 환경에 대한 태도,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순 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 다. 다섯째,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수능력의 관계에서 다문화 교육태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문화성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다문화 교수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영 향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성향과 다문화 교육태도의 관계에서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육태도의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교육태도의 교육적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Survey data from 252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cultural orientation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cultural orientation’s subvariables, horizontal individualism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attitude, and vertical collectivism and horizontal collectivism respectively. Second, early childhood prese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Among multicultural sensitivity’s subvariables,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interaction attentiveness were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y. Thir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attitude influence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mong multicultural teaching attitude’s subvariables, attitude about teacher’s role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of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and attitude about multicultural enviornment, and attitude abou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respectively. Fourth, multicultural sensitivity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competence. Finally, multicultural attitude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utral teaching competence.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of cultural orientation and multicultural teaching attitude. Such results of this study address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attitude.

      • KCI등재

        공립유치원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Chung, Hoewook),이윤주(Lee, Yoonjoo)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과 교수몰입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에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원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 중이고, 서울과 경기 지역 공립유치원에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 검증, Kruskal-Wallis 검증, Mann-Whitney U 검증,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과 교수몰입은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학력과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과 교수몰입이 높았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의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수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교수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을 높이기 위해 원내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ion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have influenced on their teaching flow.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For data analysis, t-test, Kruskal Wallis verification, Mann-Whitney U verific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foun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dditionally, higher education levels and more teaching experience correlated with both the teacher’s level of participation and teaching flow. It was also found that the levels of participa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ing flow. The import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ion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increase their teaching effectiveness was discusse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

        정혜원(Hyewon Jeong),정혜욱(Hoewook Chu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4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9 No.1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과교육학 지식(이하 TPACK)의 양상과 테크놀로지 활 용 실태를 알아보고, 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공·사립유치원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는 평균 이상의 TPACK을 갖추고 있었다. TPACK의 구성요소 별로는, 교과내용 지식과 교육학 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테크놀로지 지 식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은 높은 반면, 테크놀로지 활 용 빈도는 다소 낮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TPACK과 테크놀로지 활용은 전반적으로 정적 인 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TPACK의 구성요소 중 테크놀로지 지식, 테크놀로지 교과내용 지식,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과 테크놀로지 활용 빈도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TPACK 의 모든 구성요소와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이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TPACK과 테크놀로지 활 용이 관련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TPACK 함양을 통해 교육현장에서 테크놀 로지를 적극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aspect of Total PACKage for integrating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of kindergarten teachers along with their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use.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9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exhibit higher-than-average levels of TPACK, with Content Knowledge(CK) and Pedagogical Knowledge(PK) scoring highest, while Technological Knowledge(TK) ranked lowest among the TPACK components.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bility to use technology was high whereas their frequency of technology use was relatively low. Thir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PACK and technology use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support kindergarten teachers’ TPACK so that they can use technology in an educational and active way.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운인식 및 읽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변연정(Byun, Yeonjung),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50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5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들이 속해있는 상황과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음운인식 지도에 적합한 그림책을 선정하고, 6주 동안 총 15회의 음운활동을 실험집단에 처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담임교사가 실험집단과 같은 그림책을 읽어 주고, 누리과정과 생활주제를 중심으로 총체적 언어접근법에 기초한 동화 활동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들의 음운인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동일(2011)의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초기 문해(BASA:EL) 중 음운인식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읽기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선옥(2005)의 읽기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사전, 사후검사 자료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음운인식 및 읽기 능력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음운활동이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읽기 발달을 위해 총체적인 맥락 속에서 음운인식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on 5-year-old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fifty 5-year-old children. For the study the authors selected six picture books based on the situated contexts, phonological factors an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phonological activities for fifteen times during six weeks. The control group were treated with regular linguistic activities based on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onolog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improved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Second, the phonolog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effect on children’s reading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honolog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by helping children to be aware of phonemes in situated contexts and to learn fundamental reading skills with their own interest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al activities using picture books should reflect the contexts in which children are situated to improve their reading development.

      • KCI등재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

        이현지(Lee Hyeonji),정혜욱(Chung Hoew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부모의 놀이신념, 부모의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107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1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놀이 신념은 놀이지지 신념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놀이참여는 주말 및 공휴일 놀이시간이 평일에 비해 높 았고, 대체로 부모는 자녀와의 놀이에 종종 참여하며 소극적인 수준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 고 만 5세 유아들은 대체로 높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놀이신념과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은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 참여 빈도, 참여 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이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 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관계로서,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유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부모의 평일 놀이참여 시간은 부모의 놀이지지 신념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하는 방안 탐 색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 tendency of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play belief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s happiness; to fi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7 5-year-olds children, and their 107 pairs of fathers and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showed highly, and the weekend and legal holiday play participation time appeared higher tha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time. Most parents often participated in the play with the children passively. The 5-year-olds children tended to feel high happiness. Second, the parents’ play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frequency, and level of the parents. Especially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s happiness.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had an effect on the child’s happiness. Third,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the child’s happiness. The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an effect on the weekday play participation hour of the parents, the child’s happiness. It means that parents’ beliefs are connected with the action and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육 신념과 또래관계 지원 경험

        전송이(Jeon, Song-I),정혜욱(Chung, Hoewook)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교사가 유아의 또래관계를 지원하는 자신의 교육 신념을 이해하고 성찰함으로써 유아교사로 성장하는 것을 돕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세 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교육 신념이 어떠한과정을 거쳐 형성되는지 살펴보고, 교육 신념에 근거하여 유아의 또래관계를 지원하였던 경험을 탐구하고자내러티브 탐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육 신념은 과거와현재의 경험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둘째, 또래관계 지원 경험은 교사의 교육 신념에 근거하여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또래관계를 지원하였던 경험은 참여자들이 교사로서의 정체성과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이끌어 주었으며,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참여자들은 유아들이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해 나가는 모습으로부터 자신의 인간관계를 돌아볼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삶을 살아내는 자세를 배웠다. 본 연구는 유아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고학습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교육 신념이 형성되어 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바탕으로 한 또래관계 지원 경험들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ort early childhood teachers by helping them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ir educational beliefs in their role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with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which they were asked to explain how their educational beliefs were formed and how they experienced supporting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ir belief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were shaped through their past and present experiences. Second, the teachers used various methods for supporti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based on their educational belief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experiences helped teachers develop their identities both as teachers and individuals, leading them to professional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cipants would be able to find ways to grow into better teacher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supporting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and ways to live their own l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how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re shaped and reshaped that impact young children’s experiences and their learning, exploring the meanings in-depth of their support of peer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