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형 중심의 사회과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비판

        정혜온 ( Jung H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시민적 자질로써 비판적 사고를 강조한 배경과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회과교육 목표로서 비판적 사고능력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고, 사회과교육에서 실행되어 온 교수 방법을 반성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46년 12월 미국의 사회과 모델을 도입하여 탄생한 한국의 사회과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은 주요 교육 목표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최근까지 이와 같은 비판적 사고 능력에 대한 사회과 교육 목표는 교육과정상의 문구로 사문화된 채 한국적 이론화의 시도와 교실상황에서의 실천적 경험이 뒷받침되지 못했다. 해방 이후 1988년대 말까지 실제로 이루어진 교육은 민주주의의 원리, 반공의식 등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야 한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한국 사회과에서 이루어진 비판적 사고 교육은 사고의 내적 일관성에 초점을 맞춘 모형화에 관심을 두었고, 논의와 추론의 대상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하여 교육은 프로그램에 따라 기술을 습득하도록 교수 과정을 설계하거나 권력 관계 등을 설명하는데 집중하기보다는 학생들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회적 실행과 행위에 유의미하고 우호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을 강조해야 한다. 한국의 사회과교육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은 배타적 개념으로 전면으로 나서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이 속한 공동체와 사회적 실행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요구되는 능력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critical thinking in social studies and evaluate existing social studies education focusing on students ability to think critically, keeping in mind that Korea has undergone a peculiar path to modernization and development. Thinking critically has been one of the major goal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since its beginning period in the mid-1950s when US mode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had been introduced. Until recently, however, critical thinking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had been largely a void of concern for those who actually implement the goal, primarily due to the history of long term military dictatorship in the politics of Korea. It was in the 1990s when Koreans social studies education was able to take care about the meaning of citizenship and democratic society. One of the shortcomings, however, is the relative underestimation on the content of class discussion and inference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relatively focusing on developing a model of inner consistency of critical thinking. Thi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class education in a way to re-conceptualize what problems they have in their community and what they should do for them, and in order to do this, what capacity they have to develop.

      • KCI등재

        협력학교 기반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조사

        권나영 ( Kwon Na Young ),권민정 ( Kwon Min Jung ),정혜온 ( Jung Hye 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 대학의 사범대학에서 진행된 협력학교 기반 지역사회 연계 봉사 프로그램(JEP) 과목에 참여한 중등예비교사들의 과목 운영, 성과,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학년, 전공, 사전학습경험에 따라 분석하고 현장실습 확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통합연구로 JEP 과목에 참여한 6개과 중등예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JEP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JEP 과목의 운영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교육실습의 준비단계, 실습 기회의 확대, 진로 결정에의 기여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JEP 과목 성과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JEP 과목 실습 중 어려움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사회과 예비교사는 현저하게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실습참여 기회, 프로그램의 체계성 등 외부 요인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대학에서의 전공 교육과 현장실습과의 연계, 전공 차이를 고려한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선, 체계적인 학년별 현장실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 on Joint Educational Program(JEP) based on cooperating schools and to discuss ways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field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designed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survey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89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 six department in a college of education and all of them participated in the JEP. Among them, 11 pre-service teachers had in-depth interviews.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JEP was generally high.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grade, major, and learning experience had impact on the perception on management, outcome, and difficulty of the JEP. Finally, based on our results, we discuss how to improve field experience program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