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기질이 도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훈육방식의 매개효과

        정혜린 ( Jeong Hyelin ),이순형 ( Yi Soonhyu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유아의 기질이 도덕적 정서와 관계하며,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기질과 도덕적 정서 관계를 매개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유아의 외향성, 부정적 정서, 주의통제 기질이 어머니의 비처벌 및 처벌 훈육방식, 도덕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 G, B 지역에 거주하는 만 3, 4, 5세유아 91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해당 유아의 기질과 도덕적 정서, 어머니가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훈육방식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와 주의통제가 어머니의 훈육방식 및 유아의 도덕적 정서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비처벌적 훈육방식은 유아의 주의통제 기질이 도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을 통제했을 때 주의통제 기질을 보이는 유아일수록 어머니가 비처벌 훈육방식을 자주 사용하며, 비처벌 훈육방식이 빈번해질수록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높아진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는 유아 개인요인인 기질에 따라 어머니 사회화로서 적합한 훈육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유아의 도덕적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uggested the correlation of temperament, mother`s discipline, and moral emotion in young childre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iscipli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moral emotion. Study participants were 91 three- to five-year-old children.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daycare centers in S, G B. Children`s mothers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children`s temperament, her discipline, and moral emotion.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correlated with mother`s discipline and children`s moral emotion and children who have the control effortful temperament have a mother who use the non-punishment discipline, then have moral emotion more than other temperament.

      • KCI등재

        유아의 어머니 교육참여와 유치원 적응 관계에서 학부모 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정혜린(Jeong Hyel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이 연구는 어머니 교육참여와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구조적 관계에서 학부모 간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의 대도시 및 중소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5세 유아 356명의 어머니와 학급담임교사 27명을 표집하여 2016년 11월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017년 2월까지 수거하였다. 수거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유치원적응에 학부모 간 사회적지지가 직접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어머니 교육참여가 학부모 간 사회적지지를 통해 간접효과가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가졌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가 유치원에서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가정,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교육 참여뿐만 아니라 다른 학부모들과 맺는 사회적지지 수준 역시 고려되어야 함을 입증한 것으로, 학령기 이전 유아기에도 학부모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이나 정책 등이 실시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 support in classroom i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mother’s educational particip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of five-year-old children. For this purpose, 356 children aged 5 years,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preschool located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provinces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 and conclud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social support in classroom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ive-year-old preschool children’s adjustment. Second, Mother’s educational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arent’s social support. Third, Mother’s educational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five-year-old preschool children’s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 support in classroo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positive the mother’s education participation, the more the parents’ social support in classroom received, which can be a positive help for the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 탐색: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정혜린 ( Jeong Hyel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Hoover-Dempsey와 Sandler(2005)가 개발한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보육 및 교육 정책의 반응성,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학교준비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입학 전 만 6세로 설정하였으며,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자료의 전반적인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였으며,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Sobel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보육 및 교육 정책의 반응성은 온정적 양육행동에, 온정적 양육행동은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은 온정적 양육행동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준비도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 참여에 대한 개인적 동기로서의 양육효능감과 참여의 실제적인 행동으로서의 온정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가 자녀의 교육관련 정보에 관심을 갖고 반응하는 것 역시 양육행동에 대한 참여유발 동기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자녀의 교육관련 성취에 기여하는 아버지 참여요인은 아버지의 개인적 동기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한 실제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아버지 참여 활성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parental involvement process developed by Hoover-Dempsey and Sandler (2005) was applied to examine the paternal variables affecting the school readiness of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e responsiveness of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ies, a fa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readiness were examin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year-olds yet to enter elementary school, and data obtained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2014)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using SPSS 20.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0.0,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a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he responsiveness of childcare and education policies had a direct effect o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In addition, a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father can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school regarding children who a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 KCI우수등재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김지은(Jieun Kim),정혜린(Hyelin Jeong),박혜준(Hye Jun Park),이순형(Soon Hyung Yi)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5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hild community center support, problem-solving abilities,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onal effects of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Methods: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Community Child Center’s 2015 Child Panel Survey to analyze second-wave data collected from adolescents in the eighth grad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ild community center’s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and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hild center provides important social support for school adjustment and promotes problem-solving abilitie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low-income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