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오드화 조영제가 MR영상에 미치는 신호 변화

        정현근(HK Jeong),김성호(Seongho Kim),강충환(Chunghwan Kang),이수호(Suho Lee),김민기(Mingi Kim),이윤(Yun Yi),김호철(Hochul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2

        본 연구에서는 CT에서 사용되는 요오드화 조영제가 가돌리늄조영제와 비교하여 MR영상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CT조영증강 검사 이후 MRI검사를 시행하는 프로토콜이 적정한지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iodine과 gadolinium의 두 개의 팬텀을 제작하여 MRI에서의 통상적인 T1, T2, T2 FLAIR, 3D Angio 검사를 시행 후, 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이루어졌다. 실험결과 체내 자유수(Free water)와 유사한 셀라인의 신호강도 SSI(Saline"s Signal Intensity)는 iodine팬텀에서 각 175, 1231, 333, 37 [a.u]을 보였고, gadolinium팬텀에서 101, 1021, 321, 31 [a.u]을 기록하였다. 셀라인의 SI(Signal Intensity)를 기준으로 가장 큰 차이의 신호강도 BDEPS(the Biggest Difference of EPS)는 iodine팬텀에서 각 1297, 123, 757, 232 [a.u]를 보였고, gadolinium팬텀에서 793, 6, 1495, 365 [a.u]를 기록하였다. 이때 셀라인과 비교한 신호증강정도 EPS(Enhancement Percentage to Saline)는 iodine팬텀에서 641.1 -90.0, 127.3, 527%를 보였고, gadolinium팬텀에서 685.1, 99.4, 365.7, 1077.4% 기록하였다. BDEPS를 보이는 지점인 BP(BDEPS"s point)는 iodine팬텀에서 900, 900, 477, 900mmol을 보였고, gadolinium팬텀에서 4, 0.2, 0.2, 40 mmol을 기록하였다. 셀라인과 비교 하여 육안으로 SI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 CPSS(Change Point of SI to SSI)는 iodine팬텀에서 63, 423, 63, 29 mmol을 보였고, gadolinium팬텀에서 각 [50, 30], [4, 0.2], [4, 1], 0.2 mmol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iodine 역시 MR신호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gadolinium과는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임상현장에서 본 연구의 정량화 데이터를 감안하여 CT와 MRI 검사 순서 프로토콜을 결정한다면 유용한 진단학적 MR영상을 구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CM(Iodinated Contrast Media) in MR imaging compare to GBCA(Gadolinium Based Contrast Agent), and as this result we discussed whether resonable or not the protocol which is MRI scan after enhanced CT scan without proper time interval in clinical field. For this research, we assembled two phantoms. which one was iodine and another one was gadolinium. We did test two phantoms in conventional MRI scan which is T1, T2, T2 FLAIR and 3D angio. After that, quantitative analysis was progressed.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 : SSI(Saline"s Signal Intensity) was shown as each sequences 175, 1231, 333, 37 [a.u] at iodine. and 1297, 123, 757, 232 [a.u] was recorded at gadolinium. BDEPS(the Biggest Difference of EPS) was shown as each sequences 1297, 123, 757, 232 [a.u] at iodine and 793, 6, 1495, 365 [a.u] was recorded at gadolinium. At this time, EPS (Enhancement Percentage to Saline) was shown 641.1, -90.0, 127.3, 527% at iodine and 685.1, 99.4, 365.7, 1077.4% was recorded at gadolinium. BP(BDEPS"s point) was shown 900, 900, 477, 900 mmol at iodine and 4, 0.2, 0.2, 40 mmol was recorded at gadolinium. CPSS(Change Point of SI to SSI) was shown 63, 423, 63, 29 mmol at iodine and each [50, 30], [4, 0.2], [4, 1], 0.2 mmol was recorded at gadolinium.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could not only discover the fact that was iodine could effect on MR signal, but also the pattern is different as various sequences compare to gadolinium. Therefore, we expect useful diagnostic MR image in clinical field with this quantitative data for deciding protocol regarding MRI and CT scan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