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뢰성 보증시험에서의 시험주기설계에 관한 연구

        정해성,정영수 서원대학교 미래창조연구소 2008 과학과 문화 Vol.5 No.4

        Reliability compliance tests are used to show whether or not a characteristic or property of an item complies with stated reliability requirements. Most of the studies on reliability compliance tests are still concentrated on the statistical test plans. However, in the field, the practical methods for test profile development are needed deadly. This paper presents the ground rules and procedures for the test profiles and illustrates the proposed procedure through an example.

      • 公共圖書館 奉仕對象의 擴張에 대한 硏究

        丁海晟 대구효성 가톨릭 대학교 1988 연구논문집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brary services to phy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in public library. The coverage of this study are 1) the role of public library in modern society, 2) the recognition of ph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3) history of library service for phy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4) activities of library services to phy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It is desirable that public library should offer the extension services to phy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such as provide books and periodicals in braille, talking book record, talking book machine, large-print books, preparing the page turners for mobility handicapped users, loan of books by mail, loan of page turners for mobility handicapped users, loan of books by mail, loan of page turners for mobility handicapped users, loan of books by mail, loan of books to institution, shut-in service by library staff or voluenteer and publicity concerned to the library service activities for physically handicapped and aging.

      • KCI등재

        자유권에 대한 제한과 정당화 방식의 재구성

        정해성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2

        As the title shows,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method of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rights to liberty. To this end, it was first reviewed whether the concept of ‘the reservation of law forming fundamental rights’ could be maintained. The reason why this problem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s that this notion implies that if a law forms rights, the rights cannot be limited, and therefore it is fundamentally impossible to violate rights. However, this notion cannot be maintained because it is the laws that are formed, not the fundamental rights. More specifically, fundamental rights do not exist by being concretized into law but already exist before they are concretized into law, and it is not some of the laws with a formative nature should be proportional but all laws should be proportional because they are formative. One after another, I criticized the existing view of classif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s ‘Übermaßverbot’ and ‘Untermaßverbot’. One of the reasons is that i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understood in this way,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 not be a universal tool to justify restrictions on the rights to liberty. And then, I said that when protective right is a problem, übermaßverbot based on the legal maxim “in dubio pro libertate” cannot be applied. This is because protective rights are in the form of “too few disadvantages, more disadvantages” or “too many benefits, less benefits”, unlike the claimant usually exercising the right in the form of “too many disadvantages, less disadvantages” or “too few benefits, more benefits”. Above al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legal maxim “in dubio pro libertate” is in contrast to the legal maxim “in dubio pro securitate”, that is to say, ‘in favor of public interest’, and in this respect, the legal maxim “in dubio pro libertate” should be understood as “in favor of the person to whom the legal effect attribut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concluded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wide sense is applied when the defensive right in the form of “too many disadvantages, fewer disadvantages” or the entitlement in the form of “too few benefits, more benefits” is problematic. In the same context, I concluded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narrow sense is applied when the defensive right in the form of “too many benefits, less benefits” or the entitlement in the form of “too few disadvantages, more disadvantages” is problematic. Eventually, the principle of freedom was formulated as follow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wide sense applies where the claimant requires that the law be changed in favor(①),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narrow sense applies where the claimant requires that the law be changed in a disadvantageous manner(②).” 이 글은 그 제목이 보여주듯이, 자유권과 관련하여 정당화 방식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본권 형성적 법률유보’라는 개념이 도대체 유지될 수 있는지 하는 것을 검토하였는데, 이 문제가 중요하게 여겨져야 하는 이유는, 다름 아닌 이 관념이 어떤 법률이 ‘형성적’이라면 그것은 ‘제한적’일 수 없고, 따라서 그것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게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함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관념은 유지될 수 없는데, 그 핵심 근거는 형성되는 것은 법률이지 기본권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즉 기본권은 어디까지나 법률로 구체화되기 이전부터 이미 존재하는 것이지, 법률로 구체화됨으로써 비로소 존재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헌재가 생각하는 것처럼) 형성적 성격을 가진 법률 중에도 더러는 비례적이어야 하는 법률이 있는 게 아니라, (헌재가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오히려 모든 법률은 형성적이기 때문에 비례적이어야만 한다고 결론지었다. 연이어 비례원칙을 과잉금지원칙과 과소금지원칙으로 구체화하는 기존의 견해를 비판했는데, 그 근거 중 하나로 이런 식으로 비례원칙을 이해하게 되면, 비례원칙은 자유권을 논증하는 보편적인 도구가 될 수 없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통상 청구인이 ‘불이익이 너무 많아, 더 적게’나 ‘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 형태의 권리를 행사하는 것과는 달리, 보호권은 이와 반대로 ‘불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나 ‘이익이 너무 많아, 더 적게’ 형태를 띤다는 점을 근거로, 보호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과잉금지원칙이 토대로 하는 “자유에 유리하게”라는 법언이 적용될 수 없다고 했다. 왜냐하면 “자유에 유리하게”라는 이 법언은 그 자체 “안전에 유리하게”, 즉 ‘공익에 유리하게’와 대척점에 있고, 이런 점에서 ‘자유에 유리하게’라는 법언은 ‘사익에 유리하게’, 곧 ‘법률효과가 귀속되는 사람에게 유리하게’로 이해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에 기초하여 ‘불이익이 너무 많아, 더 적게’ 형태의 방어권이나 ‘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 형태의 급부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넓은 의미의 비례원칙, 곧 ‘과잉금지원칙’이 적용되고, 반대로 ‘불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 형태의 급부권이나 ‘이익이 너무 많아, 더 적게’ 형태의 방어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좁은 의미의 비례원칙, 곧 ‘균형성원칙’이 적용된다고 하면서, 결국 ‘자유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정식화하였다. “청구인이 법률이 유리하게 변경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넓은 의미의 비례원칙이 적용되고(①), 반대로 청구인이 법률이 불리하게 변경될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좁은 의미의 비례원칙이 적용된다(②).”

      • KCI등재

        분류표에서 사용하는 보조표에 대한 연구

        정해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99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of the structure of auxiliary schedules using in DDC, UDC, CC and BC. Auxiliary schedule whish are a n.0, ppended to schedule of all schemes of classification. They consist of items of form of presentation relationship, time, place, languages, racial, ethnic, national groups and persons and phase relation and the symbols of the different items can be added to classification numbers.

      • KCI등재

        규범 논증과 합의 ― 하버마스의 ‘진리이론’에 대한 비판을 매개로 하여 ―

        정해성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1 No.3

        This paper leveraged whether Habermas’ Consensus theory can survive despite criticism of one or another. My conclusion was that this theory was ultimately unacceptable. The key rationale is as follows: First, the potential consensus is impossible because of the subjectivity and relativity of recognition, just like an actually existing consensus. Second, the condition of consensus that is not capable of producing any consensus cannot be the condition of consensus, unlike what it says. Third, as long as the Consensus theory is applied consistently, we cannot even verify whether it is true or false about any argument or theory in the course of discussion to reach a consensus. Fourth, since the condition of consensus cannot be the object of the consensus, and therefore the result of the consensus, his theory of truth can never be coherent as long as he claimed the the condition of consensus to be true. Thus, the ‘Acceptability thesis’ was suggested -“if understood, is it acceptable by the addressee?” - as an alternative. The strength of this thesis is that it not only uniformizes the subjectivity and relativity of recognition, unlike Rawls’ premise, but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presuppose any conditions counterfactually. However, the acceptability thesis also inevitably accepts the proposition that “ideal purpose is modified in a way that reduces relationships with means that are bound to be realistic”. As a result, this thesis is bound to include propositions such as “human rights can only be realized in a way that corresponds to them”. 이 글은 하버마스의 진리에 관한 이론인 ‘합의설’이 이런저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도대체 살아남을 수 있는지 하는 것을 지렛대로 삼았다. 필자의 결론은 이 이론이 결국 받아들여질 수 없다는 것이었는데, 그 핵심 근거는 첫째, 잠재적 합의 역시 현실적 합의가 그런 것처럼, 인식의 주관성 및 상대성을 이유로 그 자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었고, 둘째, 어떤 합의도 산출할 능력이 없는 합의의 조건은 그 말과 달리 합의의 조건일 수 없다는 것이었으며, 셋째, 합의설을 일관하는 한, 우리는 합의를 도출하기 위한 논의과정에서 그 어떤 논증이나 이론 등에 대해서도 그것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검증할 수조차 없게 된다는 것과 넷째, 합의의 조건은 애초에 합의의 대상일 수 없고, 따라서 합의의 결과일 수 없기 때문에, 합의의 조건을 진리로 주장하는 한 그의 합의설은 결코 (체계) 정합적일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수용가능성 테제’, 즉 “이해했다면, 수범자가 받아들일 만한 논증인가”를 대안으로 제시했는데, 이 테제의 강점은 롤즈처럼 인식의 주관성 및 상대성을 획일화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동시에 그 어떤 조건도 반사실적으로 전제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수용가능성 테제 역시 불가피하게 “이상적인 목적은 그 자체 현실적일 수밖에 없는 수단과의 관계에서 감축하는 방식으로 수정되어 나아간다”라는 명제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 결과 이 테제는 “인권은 그것에 부합하는 방식으로만 실현될 수 있다”와 같은 명제를 포함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했다.

      • KCI등재

        Zn 도핑 된 δ-MnO2의 수열반응을 통한 chalcophanite 및 todorokite 결정 생성 및 성장

        정해성 한국화학공학회 202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61 No.1

        Diverse structures of Mn oxides in natural and engineered systems occur from the transformation of δ- MnO2, the most common crystalline phase of nucleated Mn oxides, to other structures via redox reactions, adsorption of metals, etc. Recently, together with emerging interests of Zn-based rechargeable battery systems, which use Mn oxides as a cathode, the transformation and recrystallization of Mn oxides have garnered interests. Here, using hydrothermal reaction of Zn-doped δ-MnO2, the formation of todorokite and chalcophanite is observed. When the concentration of doped Zn increases, the formation of chalcophanite is dominant, but occurs slower than that of the lower concentration of doped Zn.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Zn on the recrystallization process of Mn oxides during redox cycles in energy storage systems and environmental systems. 망간산화물은 다양한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초기에 생성되는 나노층상구조의 δ-MnO2 가 다양한 산화환원 반응에 따라 여러가지 터널 및 층상구조로 변화한다. 최근Zn기반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충방전간 Zn이온이 양극재로 사용되는 망간산화물 결정 구조 변화 및 새로운 결정 생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위해 Zn이온이 망간산화물 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열반응 간 Zn 도핑정도가 조절된 나노층상구조의 δ-MnO2의 변화를 통해 todorokite과 chalcophanite이 생성 및 성장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반응 시간에 따른 변화과정을 확인하였다. Zn의 양이 많을수록 chalcophanite 결정이 우세하게 생성되었고, 결정 생성이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비모수적 근사를 이용한 수정된 정기검사정책의 결정

        정해성 서원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7 응용과학연구 Vol.6 No.1

        A modified periodic inspection policy is examined. It is troublesome to know the life distribution and burdensome to compute an optimum planned inspection time numerically as well. A nonparametric approximation is used so that equations for the optimum inspection time are expressed as closed forms. To show that the approximation can be used in practice, simulations are conducted in the case of Weibull failure times.

      • KCI등재

        급부권과 비례원칙 -‘자유의 원칙’에 대한 검증을 겸하여-

        정해성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Roughly speaking, the research task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broad sense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entitlement in the form of “too few benefits, more benefits” is an issue. To this end, the partial principles that constitu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broad sense are analyzed and reviewed one by one, and what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here was the nature of the legislative purpose. This is because if it is not confirmed what the “purpose” is, the principle of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but also other partial principles, cannot be applied. In this regard, I emphasize that the “purpose” in itself in the principle of the legitimacy of the purpose appears as a ‘public interest’ in the sense of the reason to limit fundamental rights and then functions as ‘grounds’ to support the argument that restrictions on fundamental rights are justifi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narrow sense. Accordingly, I point out that if the purpose can be inferred from the law, which is the means, it is sufficient to be a ‘legislative purpose’. Furthermore, this fact also allowed us to solve the certain problem that we face in applying the principle of necessity. Because this fact clearly states that as long as the ‘legislative purpose’ can confront the guarantee of fundamental rights, it is sufficient to be a “legislative purpose” and as a result, we do not have to be bound by the ‘expressed’ purpose. Finally, as fo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I first emphasize that this principle is the axiom of justification but examine whether there is a legal possibility or factual possibility that it is challenging to apply this principle properly or strictly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unlike when the defensive right is an issue. As a result, I conclude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a narrow sense can be applied without any problem, even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pointing out that democracy unlik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cannot be a legal possibility of that kind and similarly it cannot be a factual possibility of that kind that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are particularly complex and diverse when the entitlement is an issue. In particular, the following four grounds are presented for the latter, and the conten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 rights to liberty as a principle-norm are provisional in their legal effects, and therefore, the negative duties of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is rights do not have fixed forms too, like the positive duties. Second,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that the defensive right and the entitlement go in different directions, but there is no difference at all between them in that they direct a certain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nature of the balancing does not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state action required is positive or negative. Third, as long as the same law is an issu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and as a result, the objects of the balancing do not become particularly complicated or diversified, even if positive action is required. Fourth, even here, justification is done by comparing the law at issue with the legislative alternative devised, especially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tself and in this respect, there are not particularly more legislative alternatives to consider, even if positive action is required. 이 글은 단순하게 말해, ‘이익이 너무 적어, 더 많이’ 형태의 급부권이 문제될 때도 과잉금지원칙이 적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과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과잉금지원칙을 구성하는 부분원칙들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또 검토하는데, 여기서 논의의 출발점이 된 것은 ‘입법목적의 성격’이었다. “목적”이 무엇인지 확인되지 않는다면, ‘목적의 정당성 원칙’은 물론이거니와 그 외 다른 부분원칙들도 적용될 리 만무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필자는 ‘목적의 정당성 원칙’에서 말하는“목적”이 -이후 그 적용이 예정되어있는 ‘법익의 균형성 원칙’의 규범적 성격이나 체계 내 위상을 감안했을 때- 그 자체 ‘기본권을 제한하려는 이유’라는 의미에서 ‘공익’으로 등장하여, 이후 ‘법익의 균형성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기본권에 대한 제한이 정당하다”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기능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이에 따라 “목적”은 그 수단인 법률로부터 추론된 것이면, “입법목적”으로서 부족함이 없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이러한 사실은 또한 우리로 하여금 ‘피해의 최소성 원칙’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작지 않은 문제점, 즉 “날씨야 네가 아무리 추워 봐라, 내가 옷 사 입나 술 사 먹지”와 같은 상황을 헤쳐나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기도 했다. 왜냐하면 바로 이 사실은 ‘입법목적’이 기본권보장에 대립할 수 있으면 그것으로 충분하고, 그 결과 우리가 ‘표현된’ 목적에 구애 받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또한 분명하게 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법익의 균형성 원칙’에 대해서는 우선 이 원칙이 ‘정당화의 공리’란 점을 강조하면서도, 혹여 급부권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방어권이 문제될 때와는 달리, 균형성원칙을 제대로 혹은 엄밀하게 적용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어떤 법적·사실적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그 결과 ‘권력분립의 원리’와는 달리, ‘민주주의’는 그러한 종류의 법적 가능성일 수 없고, 마찬가지로 요구되는 국가의 행위가 작위일 때는 유독 형량의 대상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진다는 점 역시 그러한 종류의 사실적 가능성일 수 없다고 하면서, 결국 급부권이 문제될 때도 법익의 균형성 원칙이 별 탈 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다음의 네 가지 논거가 제시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칙(Prinzip) 규범으로서의 자유권은 그 효력이 잠정적인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그에 상응하는 국가의 부작위의무 역시 작위의무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형태를 가지는 게 아니다. 둘째,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나아갈 뿐, 일정한 방향을 지시한다는 점에서 방어권과 급부권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고, 이에 따라 요구되는 행위가 부작위인지 작위인지에 따라 형량의 성격이 달라지는 것도 아니다. 셋째, 같은 법률을 문제 삼는 한, 형량의 대상들 사이에는 그 어떠한 차이도 없고, 그 결과 요구되는 국가의 행위가 작위라고 해서 형량의 대상이 유독 복잡해지거나 다양해지는 것도 아니다. 넷째, 여기서도 ‘정당화’(justification)는 문제된 법률과 헌법재판소가 스스로 고안한 특정한 대안을 견주어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급부권이 문제되는 경우라고 해서 고려해야 할 입법대안들이 특별히 많아지는 것도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