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중기 합장(合葬)의 권장과 품자(品字)형 묘의 등장

        정해득 한국중세고고학회 2022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2

        In the Joseon Dynasty, with the implementation of Juju Garye(朱子家禮) ,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established as a strict social discipline. The cemetery also recommended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but since an exemplary method of burial was not established, it was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After Lee Hwang (李滉) defined the marriage ceremony by an assistant chair as the right way, it became a universal method. However, as the number of cases of having two wives increased in lin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Confucian Law, the issue of joining all of the wives who were officially married arose. As various types of tombs began to be constructed, Kimjip(金集) applied the one tomb-type(合墳品字形) tomb system. After that, as an example, many scholars have discussed the poomja-type(品字形) burial ritual, and opinions are being gathered into the unity-type(合墳形) and ternary tomb-type(三墳形) burials depending on the topography. Even people who have more than three marriages have been able to realize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by transforming the poomja-type myoje. The poomja-type cemetery was a product of discussion on examples conducted by scholars of Joseon, and a new tomb system was embodied in the marriage of husband and wife. 조선은 주자가례 를 시행함에 따라 부부의 관계가 엄격한 사회 규율로 정착되었다. 묘소도 부부합장을 권장하였으나 모범적인 합장 방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다. 이황(李滉)이 부좌에 의한 부부합장을 정도(正道)로 규정한 이후 보편적인 방법이 되었는데 전·후 두 명의 부인을 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정식으로 혼인한 부인 모두를 합장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여러 형태의 묘소가 조성되기 시작하자 김집(金集)은 합분품자형 묘제를 적용하였다. 그 이후 예제적 차원에서 품자형 묘제에 대한 논의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고, 지형에 따라 합분품자형과 삼분품자형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었다. 삼혼이상을 한 사람들도 품자형 묘제를 변형시켜 부부합장을 시도하였다. 품자형 묘제는 조선의 예학자들이 진행한 예제 논의의 산물로서 부부합장에서 새로운 묘제를 구현한 것이었다.

      • KCI등재

        1795년 을묘년 원행의 성격 고찰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9 No.-

        King Jeongjo(正祖) raised 8-phrase Title and Gold stamp to the Sado Crown Prince(思悼世子) in 1795. King Jeongjo was planning a plan to memorize of the deceased father in Hwaseong(華城). When he got out in Changgyeonggung(昌慶宮), increased the gate or had repaired when he had to go through, and gave the name of a gate that included a celebration. It was a preliminary work to celebrate the 60th birthday event. The group figure clarified the point that the parade in 1795 was following the line of the family. It is a representation of the order of the family in the viewpoint of the parent and the child. Going to Tomb is the scale belonging to the ministry, but it was the only case that made progress on this scale to the extraordinary record prescribed in the “Kukjo-oryeui(國朝五禮儀)”. It seems that the new register book system was examined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procurement and study of Qing dynasty’s cultivation. Advance in Hwaseong Bongsudang(奉壽堂) showed a different aspect from the prostitution of the banquet at the seat, the spatial composition, the exhibition performance event. On 18th June Hyegyonggung's Birthday, we omitted a part of the ritual, but continued the re-celebratory event. This was an intention to induce the loyalty of his subjects as a spur to celebrate Sado Crown Prince and Hyegyonggung(惠敬宮)’s 60th birthday in Hwaseong where the tomb of the Sado Crown prince is. 정조는 1795년 회갑을 맞은 사도세자에게 8자 존호와 금인을 올리고, 華城行宮에서 亡父의 회갑을 기념하기 위한 계획을 세웠다. 정조는 창경궁에서 출발할 때 거쳐야 하는 문을 증설하거나 수리한 뒤 축원을 담은 이름을 붙였는데, 경사를 축하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서 그 문으로 행렬이 통과하였다. 반차도는 을묘년 원행이 정조일가의 행차라는 점을 명확히 하고, 부모와 자식이라는 관점에서 가족의 서열을 반차에 표현한 것이다. 능원행차는 소가노부에 속하는 규모인데, 『국조속오례의』에 규정된 대가노부에 버금가는 규모로 원행을 한 것은 이때가 유일한 사례이다. 정조가 청나라에 대한 문물의 수입과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노부제도를 시험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화성행궁 봉수당에서의 진찬은 참석대상과 공간구성, 정재공연 종목에서 기존의 내연진찬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6월 18일 혜경궁의 탄신일에는 의식 일부를 생략하긴 하였지만 또다시 축하행사를 진행하였다. 그것은 사도세자가 묻힌 화성에서 열린 봉수당진찬이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회갑을 기념하면서 신민의 충성을 유도하기 위한 의도였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사친추숭과 능원제도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6

        Joseon was managed by the superintendent, leaving the tombs of the king and king’s wife[王后] tomb, and all the other graves were tombs. Instead of inheriting the throne by the father’s association, when the circumstances occurred, a case of king of the king’s parents mother to the king and queen was born. However, there was no choice but to call the Won[園] when the circumstances that can not be pursued by the king occurred based on the argument theory, but there was no hope of the king’s king. Injo[仁祖] tried to pursue his birth to the king. Although he kept himself in two stages, he first pursued his father to the crown gods, then made the tomb to Heung Gyeong Won[興慶園], then promoted to Gang Reung[章陵] pursuant to Won Jong[元宗]. Won’s philosophy which was smaller than king’ tomb, bigger than grave was created in this course. After that, the royal family system was established by You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YoungJo family applied the GungWon[宮園] system to their own mother, and the king’s private parents, who had been pursued,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GungWon system. JeongJo has applied the GungWon system to his father’s mourning period and has enlarged the scale to make the scale of. After that, similar cases were introduced and the courtesy system was applied. In the HeungSunDaeWonGun[興宣大院君] regent the period, the royal tombs of the Crown Princes and eldest son of the Crown Prince were raised to the Won, while the shrines remained as the Myo[廟]. In the case of HeungSunDaeWonGun’s tomb, which passed away during the DaeHan Empire period, it was designated as a tomb as the tomb of the emperor, but it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the Joseon Dynasty Won. 조선왕실은 왕과 왕후의 무덤을 능이라 하여 그 외의 무덤은 모두 묘라 하였다. 부자관계에 의한 왕위 계승이 아닌 경우가 발생하자 국왕의 친부모를 왕과 왕비로 추숭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그러나 예제 논의에 따라 왕으로 추숭하지 못하고 대원군으로 호칭할 수밖에 없는 사례가 나타났는데, 이는 국왕이 바라던 바가 아니었다. 반정으로 즉위한 인조는 사친을 왕으로 추숭하기 위해 단계를 설정하여 우선 부친을 대원군으로 추숭한 뒤 무덤을 흥경원이라 하였고 나중에 원종으로 추숭하여 왕릉으로 승격하였다. 이 과정에서 왕릉보다 낮고 묘보다 높은 형태의 ‘園’개념이 만들어졌다. 그 후 영조와 정조에 의해 능원제가 정비되었는데, 영조는 자신의 생모 사당을 ‘宮’, 무덤을 ‘園’으로 승격하여 궁원제를 마련하였고, 이어서 추숭된 왕의 사친까지 궁원제의 대상으로 확대하였다. 정조는 생부 사도세자에게 궁원제를 적용하여 그 범위를 더욱 확대하면서 현륭원의 규모를 왕릉급으로 조성하였다. 그 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면 궁원제를 적용하여 예우함로써 조선왕실의 왕릉제도는 능원제도로 발전하였다. 고종 때 흥선대원군은 세자와 세손의 무덤을 원으로 격상시키면서 사당은 그대로 廟로 남겨두어 신분에 따른 예우를 더욱 세분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서거한 흥선대원군의 경우 황제국의 제후에 해당되는 무덤으로 興園이라 命名하였으나 조선시대 園의 형태로 조성되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철장(鐵場)의 운영과 제철(製鐵)기술에 대한 문헌적 검토

        정해득 한국중세고고학회 2020 한국중세고고학 Vol.- No.7

        This study confirmed the operation method of steel and the technique of manufacturing steel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Joseon, iron was operated, and craftsmen from various fields produced various hardware. It was found that Joseon had a different steelmaking method from China and tried to acquire Japanese and Chinese technology after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literature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production of iron used by the state and the private sector, and that there were two production methods in the private sector. The state agency made finer iron than the private use, and four steel strengths were produced to make steel by mixing iron and hot iron.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technology has improved since Hwaseong Station, creating stronger ste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interpretation of ancient materials and the traditional steel test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조선시대 문헌자료에 나타난 제철에 대한 조업 방식과 강철을 제조하는 기술을 확인하였다. 조선에서는 철장을 운영하였고, 여러 분야의 장인들이 각종 철물을 생산하였다. 조선은 중국과 다른 제철방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16세기 이후 일본과 중국의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종 문헌자료의 분석을 통해 국가와 민간에서 사용하는 정철 생산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과 민간에서 2가지의 생산 방식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가기관에서는 민간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고급한 정철을 만들었고, 정철과 열철을 혼합하여 강철을 만드는데 4가지 강도의 강철이 생산되었다. 또한 화성성역 이후 제작기술이 향상되어 보다 강한 강철을 만들어낸 것으로 확인된다. 이 연구는 향후 고고자료의 해석과 전통제철실험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 KCI등재

        松下 曺允亨의 書藝論과 書役

        정해득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5

        Changnyeong Jo clan(昌寧曺氏) participated in the JoongJong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became a Gongsin family. Jo Moon-soo(曺文秀), the five majors of Jo Yoon-hyung(曺允亨), studied Songseol-che(松雪體) and Wang Xizhi-che(王羲之體), and was recognized as a famous letter writer of the King Injo’s era. Most of his descendants were well-written and had a high reputation as a famous letter writer. As Wang Xizhi-che was studied in earnest at King Yeongjo’s era, that developed into ‘Dongguk-jinche(東國眞體)’ by Yoon Soon(尹淳) and Lee Kwang-sa(李匡師). Jo Yun-hyung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King Jeongjo(正祖)’s era.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im. Jo Yoon-hyung had a natural talent for calligraphy, and he also showed a relatively early standpoint by practicing letter writing with many calligraphy books. He can see his high level in his 30s, when he had no a position in the government office, and he had already started writings the letter. Jo Yoon-hyung criticized the new writing method tried by the teacher Lee Kwang-sa and insisted that he could reach Wang Xizhi-che by learning the letter writings left by the Tang(唐)’s famous characters. When a new study and literary trend were taking place, King Jeongjo defined Jujahak(朱子學) as the right study and emphasized the right style of sentence and letter shape. King Jeongjo, who liked Jo Yoon-hyung’s letter writing from the time of his held the rank of a son of a crown prince, left the writing necessary for his business to Jo Yoon-hyung. He was responsible for many things according to the order of King Jeongjo, and wrote a lot of palaces, books, and stones. Jo Yoon-hyung of old age recalled his life, and he learned all the letter shapes for 50 years and was able to reproduce what he saw once. Kang Se-hwang(姜世晃) praised Jo Yoon-hyung as the best letter writer in all five shapes such as Seal Script(古篆), Ye(隷), Hae(楷), Haeng(行), Cho(草). It also means that Cho Yoon-hyung revealed all the principles of each letter shape and organized the traditional calligraphy. 창녕조씨는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가문이 되었다. 조윤형의 5대조는 인조대의 명필로 알려진 조문수로 송설체와 왕희지체를 연구하였다. 그 이후의 후손들은 대부분 글씨를 잘 써서 명필가문으로 명성이 자자하였다. 영조대에 왕희지체가 본격적으로 연구되면서 윤순과 이광사에 의해 ‘동국진체’로 까지 발전하였는데, 창녕조씨 가문에서도 조윤형이 여러 서체를 연구하여 정조시대를 대표하는 명필이 되었다. 조윤형은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었고, 많은 법첩을 임모하여 비교적 일찍 두각을 나타내었다. 관직도 없던 30대에 이미 금석문 글씨를 쓰기 시작한 것에서 그의 높은 수준을 알 수 있다. 조윤형은 스승 이광사가 시도한 새로운 運筆法을 비판하면서 唐의 명필들이 남긴 법첩을 익혀야 晉體에 다가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정조는 새로운 학문과 문예사조가 일어나고 있을 때, 주자학을 正學으로 규정하고, 올바른 文體와 書體를 강조하는 자세를 보였다. 세손시절부터 조윤형의 글씨를 좋아하였던 정조는 자신의 사업에 필요한 글씨를 조윤형에게 맡겼다. 조윤형은 정조의 명에 따라 많은 書役을 담당하면서 궁궐의 記文과 扁額, 內府의 서적 표제, 금석문 등을 많이 써냈다. 노년의 조윤형은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면서 50년 간 모든 서체를 두루 연마하였고, 한번 본 것을 그대로 재현해 낼 수 있었다고 하였다. 강세황은 조윤형이 古篆, 隸書, 楷書, 行書, 草書 등 五體에서 모두 최고의 경지에 오른 명필이라고 극찬하였다. 그것은 조윤형이 각 서체의 妙理를 모두 밝혀 전통서법을 총정리 하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