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두개강내·외로 다발성 전이를 일으킨 악성 뇌수막종 : 분할 정위적 방사선치료 및 통상적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1례보고 -

        정한섭,이명기,박정호,강정수,김혜숙,김대조,Jeong, Han Seob,Lee, Myung Ki,Park, Jeong Ho,Kang, Jeong Su,Kim, Hye Sook,Kim, Dae Jo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10

        We report a case of 54 years old male with malignant meningioma originating in the posterior fossa with multiple recurrences, intracranial and extracranial metastases. In spite of gross total removal of tumor and conventional external radiation therapy(CERT), 2 more recurrences, 5 more intracranial metastases and 1 extracranial metastasis to the rib were developed. We tried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FSRT) and CERT to the intracranial metastasis with satisfactory result. Extracranial metastasis to the rib was resected and histological finding was similar to that of original tumor.

      • KCI등재

        두부(豆腐)비지 산(酸)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로 조제(調製)한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에서 산(酸) 농도(濃度)와 구리/붕소계(硼素系) 염(鹽) 첨가(添加)에 따른 방부능(防腐能)의 영향(影響)

        정한섭,김호용,안세희,최인규,오세창,한규성,양인,Jeong, Han-Seob,Kim, Ho-Yong,Ahn, Sye-Hee,Choi, In-Gyu,Oh, Sei-Chang,Han, Gyu-Seong,Yang, 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5

        두부비지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목재방부제를 조제하고, 두부비지 가수분해에 사용하는 산의 농도 및 염의 구성에 따른 방부능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부비지 방부제는 $25^{\circ}C$에서 1시간 동안 0, 1%, 그리고 2%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된 두부비지와 염화구리 또는/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되었고, 목재시편 내에 감가압법으로 주입하여 주입된 시편을 $70^{\circ}C$ 열수에서 72시간 동안의 용탈실험을 거친 후, 갈색부후균 Trametes palustris 및 백색부후균 Tyromyces versicolor에 대한 내후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한 산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방부제의 주입능과 내후성이 증가하였고, 용탈성은 감소하였다. 두부비지산 가수분해물/구리염 또는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구리염/붕소염으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 및 T. versicolor에 대한 우수한 방부효능을 보였으나, 두부비지 산 가수분해물/붕소염 또는 두부비지가 포함되지 않은 방부제로 처리된 목재시편은 T. palustris에 의한 부후가 관찰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1% 황산에 의해 가수분해한 두부비지, 염화구리 그리고 붕산나트륨으로 조제한 목재방부제가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방부제 조제의 최적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ormulate environmentally friendly wood preservatives with okar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id concentration used for the hydrolysis of okara and salt type on the decay resistance of the preservatives. Okara-based preservatives were formulated with okara hydrolyzates, which were prepared with 0, 1%, and 2% sulfuric acid at $25^{\circ}C$ for 1 hr, and salts such as copper chloride and/or sodium borate. The preservatives were treated into wood blocks by vacuum-pressure method, and then the treated wood blocks were leached in $70^{\circ}C$ hot water for 72 hrs. The fungal treatments of the leached wood blocks were conducted by brown-rot fungus, Tyromyces palustris, and white-rot fungus, Trametes versicolor, to examine the decay resistance of the preservatives. As the acid concentration used for hydrolysis of okara increased, the treat-ability and decay resistance of the preservatives were improved, which the leachability was decreased. Wood blocks treated with the okara/copper or okara/copper/borax, showed very good decay resistance against T. palustris and T. versicolor. However, wood blocks treated with the okara/borax and okara-free preservative solutions, were observed the fungal decay by T. palustris.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eparation of okara-based wood preservatives were formulated with okara hydrolyzed with 1% sulfuric acid, copper chloride and borax.

      • 새만금 목재에너지림에서 생산된 바이오매스의 화학적 특성 분석

        정한섭 ( Hanseob Jeong ),이형원 ( Hyung Won Lee ),주영민 ( Young Min Ju ),김아란 ( Ahran Kim ),이태주 ( Tae Joo Lee ),김석주 ( Seokju Kim ),이위영 ( Wi Young Lee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2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은 단기순환벌채림으로서 산림청에서 국내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확충하고자 시범으로 조성된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 조성된 포플러류 및 버드나무류 수종들을 바이오에너지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바이오매스들의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총 4종(현사시, 이태리포플러, 미루나무, 버드나무)으로 4년생을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에서 실험용으로 수확하여 사용하였다. 원목은 톱밥제조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고, 선별(1 cm×1 cm) 및 건조 후에 함수율 10% 내외로 상온에 보관하였다. 이어서 실험용 밀링기로 0.5 mm 이하 분말로 분쇄하여 화학조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화학성분분석은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법에 따라 당, 리그닌, 추출물, 회분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가적인 화학적 특성을 보기 위해 공업분석 및 열중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 목질계 바이오매스 시료 입도에 따른 화학조성 분석

        정한섭 ( Hanseob Jeong ),김석주 ( Seokju Kim ),이남희 ( Namhee Lee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화학조성을 분석하거나 바이오에너지 원료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할 경우, 많은 공정에서 분말 형태로 분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조성 분석 시 바이오매스 입자크기는 ISO, ASTM 시험법 등에 제시된 기준을 준용하는 반면, 바이오에너지의 원료로 사용할 때는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바이오매스 입자크기를 선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당 생산을 목표로 한 연속식 열화학적 처리 공정에 사용할 수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입자크기를 탐색하고자, 입자크기에 따른 바이오매스의 화학조성(당, 리그닌, 추출물, 회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공시재료로는 신갈나무(Mongolia oak)를 사용하였고, 우선 소경목을 톱밥분쇄기로 분쇄하여 1 cm 미만의 목분 시료를 확보하였다. 이어서 목분을 18~200 mesh 범위의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총 6개의 입자크기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신갈나무 목분을 이용하여 화학조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입자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회분 함량이 급증하였으며, 일정 수준의 입자크기 이하에서는 당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산 및 알칼리 처리에 의한 유채박의 유리당 추출

        정한섭(Han-Seob Jeong),김호용(Ho-Yong Kim),안세희(Sye Hee Ahn),오세창(Sei Chang Oh),양인(In Yang),최인규(In-Gyu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에서는 유채박 섬유질을 고부가가치로 활용하기에 앞서 적합한 화학적 전처리 조건을 찾고자, 산 및 알칼리 촉매로 다양한 조건 하에 처리한 후, 각 인자들에 따른 유채 박의 분해율 및 유리당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채박은 H2SO4, HCl, NaOH 촉매 중 HCl 촉매 하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분해 되었으며, 특히 1%의 촉매 농도에서 높은 분해율을 보였다. 반면 H2SO4, HCl 촉매 하에서 유채박 투입량이 낮을수록 분해율이 증가하였으나, NaOH 촉매 하에서는 유채박 투입량 에 따른 분해율 차이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분해 후 측정 된 총 유리당 함량은 HCl를 처리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박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리당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이에 따른 영향은 미미했다. 또한 2% 촉매에서 총 유리 당 함량이 높았으나 HCl 촉매의 경우 1%일 때가 다른 처리 조건들보다 총 유리당 함량이 높았다. 각각의 유리당으로는 H2SO4, HCl 촉매 하에서 glucose, galactose, arabinose, fructose가 주로 분리되었으며 NaOH 촉매 하에서는 대부분 sucrose가 분리되었다. 촉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lucose, galact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fructose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거의 모든 유리당에서 유채박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총 유리당은 유채박을 1% HCl를 사용하여 2 g/100 mL의 비율로 화학 적 처리하는 것이 본 연구 범위 내에서 총 당을 분리해내는 데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glucose, galactose는 2% HCl-0.5 g/100 mL, fructose는 0.5% H2SO4-0.5 g/100 mL 조건에서 효율적인 분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목표하는 당에 따라 적합한 촉매, 촉매 농도, 시료 투입 량을 조절하여 분리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분리되어 나온 당을 바탕으로 기능성 당 및 수용성 식이섬유를 얻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대량의 당들을 순도 높게 얻기 위해서는 처리 규모(시료양, 촉매)를 늘리거나 각각의 당들을 효과적으로 정제하는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Rapeseed cake, which is the organic waste remaining after rapeseed oil production, is readily available and considered an ecologically-friendly resource with very low cost and high dietary fiber conten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wo reasons. First, it was done to analyze the liberated reducing sugar content of rapeseed cake. Second, it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sugar yield of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acidic and alkaline catalysts used for the hydrolysis of rapeseed cake and the concentrations of rapeseed cake in each catalyst. Several amounts of ground rapeseed cake, 0.5 g, 1 g, and 2 g, were put into 100 mL of catalysts such as sulfuric acid (0.5~2%), hydrochloric acid (0.5~2%), and sodium hydroxide (0.5~2%). Then they were hydrolyzed for 5 min at 121oC. After hydrolysis, HPLC equipped with an RI detector was used to analyze liberated reducing sugars such as sucrose, glucose, galactose, fructose, and arabinose separated from rapeseed cake. The degradation rate of rapeseed cake was the highest in hydrochloric acid. As the catalyst concentrations used for hydrolysis of rapeseed cake increased, the degradation rate of rapeseed cak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reducing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hydrochloric acid, and i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atalyst concentrations. However, as the amount of rapeseed cake increased, the total reducing sugar content decreased, exceptionally sucrose in the case of sodium hydroxide.

      • 당화액의 전기화학적 정제 처리 방법에 따른 발효저해물질의 함량 변화 분석

        정한섭(Hanseob Jeong),이형원(Hyung Won Lee),주영민(Young Min Ju),김아란(Ahran Kim),이수민(Soo Min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19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수 가수분해로 얻은 당화액(액상 가수분해물) 내 발효저해물질(유기산, 퓨란계 화합물, 페놀성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기화학적 처리(전기분해 및 전기응집)를 수행하였다. 당화액의 전기분해 처리는 탄소 전극을 이용하여, 초기 pH 7, 전압 10 V, 전해질(NaCl) 농도 0.8%, 상온의 조건 하에서 반응시간 240분까지 실시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전극을 이용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전기응집 처리 실험을 하였고 처리 종류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당 손실율은 두 처리법 모두 10% 이하(글루코오스 기준)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전기응집 처리가 상대적으로 당 손실이 적었다. 페놀성 화합물 제거율의 경우 전기응집에 비해 전기분해(약 80%)가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퓨란계 화합물은 두 처리에서(>150분) 대부분 제거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전기분해시 일부 유기산으로 분해되는 경향을 확인했다. 유기산의 경우는 전기분해를 통해서만 일부 제거되었다. 결론적으로 두 전기화학적 처리는 기작이 서로 다름에 따라 발효저해물질 제거율 및 전환 양상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electrochemical treatment (electrolysis and electro-coagulation) was performed to remove fermentation inhibitors (organic acid, furan compound, and phenolic compound) in saccharified liquid (liquid hydrolyzate) obtained by supercritical water hydrolysis. The electrolytic treatment of the saccharified solution was carried out using a carbon electrode up to a reaction time of 24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initial pH 7, voltage 10 V, electrolyte (NaCl) concentration of 0.8%, and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experiment of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using aluminum electrode an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types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sugar loss rate was lower than 10% (glucose) in both treatments, but the electro-coagulation treatment showed relatively low sugar loss. In the case of phenolic compound removal rate, electrolysis (about 80%) was higher than that of electro-coag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furan-based compound showed a tendency to be removed most of the two treatments (> 150 mi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omposition to some organic acids during electrolysis. Organic acids were partially removed only by electrolysis. In conclusion, the two electrochemical treatments show the difference in removal rate and conversion of fermentation inhibitors according to different mechanisms.

      • 국산 주요 수종의 특성 DB 구축을 위한 소나무와 백합나무의 화학조성 분석

        정한섭 ( Hanseob Jeong ),이남희 ( Namhee Lee ),안지은 ( Ji-eun An ),이재정 ( Jaejung Lee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In this study, in order to establish basic characteristic information on major domestic tree specie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representative tree species, pine and poplar,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ISO, ASTM, and KS analysis methods, a self-analysis manual was prepared,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t. As a result of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in the order of pine and poplar), the ash content was 0.194% and 0.273%, and the extract content was 6.909% and 2.488%. Also, the lignin content was 27.884% and 24.437%, and the total sugar content was 63.994% and 62.270%. Overall, it showed a similar tren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ignocellulosic biomass. Pine, a softwood, had more fat-soluble substances such as rosin than poplar, a hardwood, so the extract content was higher. The total sugar content of the two species was similar, but pine had a higher hemicellulose-derived sugar content than popla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tests are in progress.

      • KCI등재

        목탄 처리에 의한 당화액 내 5-hydroxymethylfurfural 및 푸르푸랄 제거

        정한섭 ( Hanseob Jeong ),김용식 ( Yong Sik Kim ),이재정 ( Jaejung Lee ),채광석 ( Kwang Seok Chea ),안병준 ( Byoung Jun Ahn ),이수민 ( Soo M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6 목재공학 Vol.44 No.5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처리 후 얻어진 당화액 내 발효저해물질인 퓨란계 화합물 (5-hydroxymethylfurfural (5-HMF), 푸르푸랄)을 제거하기 위한 목탄 처리의 효과를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유사 당화액을 제조하고 목탄 투입량 및 처리 시간에 따른 당 및 퓨란계 화합물의 제거율을 계산해 활성탄의 경우와 비교분석하였다. 글루코오스, 자일로오스, 5-HMF, 푸르푸랄이 포함된 유사 당화액에 목탄 또는 활성탄을 0.5, 1, 2, 4, 8, 12% (w/v) 농도로 투입하여 1, 3, 6, 12,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결과, 목탄 투입량 및 처리 시간이 증가 함에 따라 5-HMF 및 푸르푸랄 제거율이 점차 증가하여 목탄 투입량 8%, 처리 시간 3시간 이상에서는 5-HMF, 푸르푸랄 모두 95% 이상 제거되었으며, 동시에 당의 손실(< 2%)은 거의 없었다. 반면, 활성탄을 처리하였을 경우, 목탄보다 온화한 조건(활성탄 투입량: 8%, 처리 시간: 1시간)에서도 5-HMF 및 푸르푸랄 제거율이 95% 이상이었으나, 글루코오스 및 자일로오스 또한 각각 10% 이상이 제거되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당 생산 및 추가적인 당 활용 공정을 고려할 때, 목탄을 이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당화액의 퓨란계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당 수율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wood charcoal on removing furan compounds (5-hydroxymethylfurfural (5-HMF), furfural) known as fermentation inhibitors in sugar hydrolysates obtained from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of lignocellulosic biomass. For this aim, model hydrolysate was prepared, and removal rates of sugars or furan compounds depending on wood charcoal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activated carbon. 0.5, 1, 2, 4, 8, or 12% (w/v) of wood charcoal or activated carbon was loaded into the model hydrolysate, containing glucose, xylose, 5-HMF, and furfural, and treatment was conducted for 1, 3, 6, 12, or 24 h. After treatment, removal rates of 5-HMF and furfural gradually increased as wood charcoal concentration or treatment time increased, and over 95% of 5-HMF and furfural were removed at 8% of wood charcoal concentration and 3 h of treatment time, while the loss of sugars (< 2%) was hardly observ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ctivated carbon treatment, removal rates of 5-HMF and furfural were over 95% at mild condition (activated carbon concentration: 8%, treatment time: 1 h), but over 10% of glucose and xylose were removed. Therefore, considering sugar production and further process applied sugar, the wood charcoal treatment of sugar hydrolysate was more effective for removing furan compounds and maintaining the sugar y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