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북지역 <아기장수> 설화의 배경과 특징

        정한기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初等敎育硏究 Vol.31 No.2

        본고의 목적은 전북지역 <아기장수> 설화의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첫째, <아기장수> 설화의 배경이다. 민중영웅 이야기는 역사적으로 실존하였던 민중영웅과 관련된다. 홍경래와 <진인출현> 설화, 신돌석과 <아기장수> 설화가 예이다. 전북지역에 역사적으로 실존하였던 민중영웅은 정여립과 전봉준이 대표적이다. 정여립은 신분체계가 없는 대동세계를 실현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전봉준은 모든 사람이 시천주(侍天主)를 지닌 신분체계가 없는 평등세계를 실현하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둘째, <아기장수> 설화의 특징이다. 전북지역 <아기장수> 설화에는 신이한 출생담이 있는 것, 아기장수의 적대자가 당대의 왕(이성계 또는 대조영)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두 화소 모두 아기장수가 하늘이 정한 왕이라는 뜻과 당대의 왕조를 부정하고 이상적인 왕조로 교체할 수 있다는 희망이 반영되어 있다. 이상적인 왕조는 민중영웅이 왕이 되는 것이다. <아기장수>와 정여립·전봉준은 당대의 왕조보다는 신분체계가 없는 평등의 세계를 지향한다. 전북지역에서는 정여립과 전봉준의 평등사상이 면면히 전해지므로 <아기장수> 설화에서 왕조 교체의 희망이 드러나게 된다.

      • KCI등재

        이정환 동시조의 교육적 의미

        정한기,김용재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7 No.-

        본고의 목적은 이정환 동시조의 특징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첫째, 이정환 동시조의 특징이다. 자연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 시적화자의 자연에 대한 친밀감이 대화적 표현으로 표출된다. 대화적 표현에는 시적화자와 자연의 말건넴, 자연의 심리에 대한 추측 등이 있다. 서로를 아끼는 친밀한 모습이 드러난다.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는 시적화자의 대상에 대한 친밀감이 장면적 표현으로 표출된다. 장면적 표현에서는 대화를 통한 장면과 행동·반응을 통한 장면이 있다. 서로 아끼는 친밀한 모습이 드러난다. 둘째, 이정환 동시조의 교육적 의미이다. 자연과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서 시적화자와 대상은 고민, 갈등, 고난이 없이 서로 아끼는 친밀한 모습만 확인된다. 학습자는 동시조에 나타난 서로 아끼는 친밀한 관계를 닮아 정서를 순화하게 된다. 자연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 나타난 대화적 표현에서 시적화자는 대상을 주체로 대우하여 말을 건네고 속마음을 파악할 정도로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학습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 타인을 공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인성이 함양된다. 생활을 소재로 한 동시조에 나타난 장면적 표현에서 시적화자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하며 친밀한 관계를 맺는다. 학습자가 시적화자를 따라가면 다양한 타인들을 공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타인을 존중하고 이해하는 인성이 함양된다. 동시조에 나타난 대화적 표현, 장면적 표현은 학습자로 하여금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

      • KCI등재

        <서왕가>의 수용문맥과 교훈의 재해석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에 수록된 <서왕가>를 중심으로-

        정한기 국문학회 2016 국문학연구 Vol.0 No.34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reception context and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 Seowanga(서왕가) is included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Yembuljakbeop(염불작법).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is the book of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Yembuljakbeop(염불작법) is the third part in Yembulbogwonmun(염불보권문) and include the various Buddhist prayer. As these fact, we know that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and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The lesson in Seowanga(서왕가) : There are three part in Seowanga(서왕가). The first part is a disciplinant's monologue. A disciplinant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second part is a disciplinant's delivering a message. A disciplinant deliver the message of agony and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third part is a people's monologue. A people monologize about his life of 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One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propagating Buddhism to people.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people. The people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people'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The other reception context of Seowanga(서왕가) is chanting a Buddhist prayer in Buddhist ritual. So Seowanga(서왕가) must be easy empathized by Buddhist monk. The Buddhist monk empathize with Seowanga(서왕가) through a disciplinant's monologue and the life of agony-achieving spiritual enlightenment. 『염불보권문(念佛普勸文)』의 ‘염불작법(念佛作法)’에 수록된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은 대중 포교용 불교가사와는 내용․표현적 특징에서 다를 것이라 생각한다. 이런 생각에서 본고에서는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과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왕가(염불)>의 수용문맥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 서적인 『염불보권문』의 ‘염불작법’에 수록되어 있다. ‘염불작법’은 불교의례에 쓰인 염불문을 모은 것으로 <서왕가(염불)>가 염불문의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서왕가(염불)>에는 화자의 ‘번뇌와 수행․득도’에 대한 독백과 불교적 교훈에 대한 전언이 있는데 <서왕가(염불)>와 유사한 작품이면서도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된 작품인 <강월존자 서왕가>와 <서왕가(권상로)>에서는 노랫말에 ‘번뇌와 수행․득도’라는 내용이 없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아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례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다. 둘째, <서왕가(염불)>에 나타난 교훈이다. <서왕가(염불)>에서는 ‘인식기관과 집착의 결합으로 생긴 번뇌를 본래의 청정한 마음으로 제거하여 득도에 이른다’는 것이 주된 교훈이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은 ‘번뇌와 수행․득도’하는 삶에 대한 ‘나’(수행자)의 독백이고, 두 번째 부분은 중생에게 불교적 교훈을 전달하는 ‘나’(수행자)의 전언이고, 세 번째 부분은 전언을 듣고 수행․득도하는 ‘나’(중생)의 독백이다. <서왕가(염불)>는 대중 포교용으로 수용되었으므로 중생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하여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어 대중들이 공감하기 쉽다. <서왕가(염불)>는 불교의례에서의 염불문의 하나로 수용되었으므로 수행자 ‘나’의 독백이 있고 번뇌를 제시한 다음 ‘수행․득도’의 길을 제시하는 순서로 전개되고 자리이타(自利利他)를 모두 제시하여 승려들이 공감하기 쉽다.

      • KCI등재

        통속민요의 정서적․표현적 양상 -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정한기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aspect of emotion and expression in popular folksong by comparing popular folksong with <rice-planting song> in Yeongnam are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aspect of emotion in popular folksong: The emotion is the speaker's attitude to a stimulus. The speaker's attitude to parting with the lover in popular folksong is the resenting the lover and the will of solving the parting with the lover and the accepting the conflict. The speaker in popular folksong tell the lover in popular folksong. The speaker's attitude to parting with the lover in <rice-planting song> is the moaning about one's life and the expecting lover's solving the parting by acting for the lover. The speaker in <rice-planting song> show oneself. The aspect of expression in popular folksong: we know the speaker's resentment and will in popular folksong. But we don't know the speaker's situation. Therefore the speaker is an unspecific person in popular folksong. we know the speaker's situation. Therefore the speaker is a specific person. The speaker in popular folksong have an opposing inner intention for example hope versus despair and will versus resignation. The speaker in <rice-planting song> have an opposing external object for example the lover and destiny. The popular folksong is sung in the theater by the singer. The singer try for audience's sympathy. The audience empathize with the popular folksong through unspecific speaker and an opposing inner intention. The popular folksong is trend to telling the audience. The <rice-planting song> is sung in the folk field by the collective folk people. The folk people need not try for audience's sympathy. The <rice-planting song> is trend to showing oneself. 통속민요는 향토민요에서 출발하여 전문소리꾼에 의하여 시정공간에서 가창된 노래이다. 통속민요에서는 화자가 감정을 직설한다는 것이 통속민요의 주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기도 한다. 감정을 직설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으며 왜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가하는 점이 의문이다. 이러한 의문에서 본고에서는 통속민요와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비교를 중심으로 통속민요에 나타난 정서적 양상과 표현적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에 둔다. 첫째, 통속민요에 나타난 정서적 양상이다. 정서는 외적 자극에 대한 화자의 태도로 갈등을 표출하는 태도와 갈등을 해소하는 태도가 있다. 통속민요에서는 님에 대한 원망으로 갈등을 표출하고, 해결의 의지를 표명하거나 갈등을 수용하여 갈등을 해소한다. 화자가 님을 원망하는 것은 님을 청자로 설정한 진술이고, 해결의 의지를 표명하는 것은 님을 청자로 가상한 진술이다. 결국 통속민요에 나타난 원망․의지 표명․갈등 수용 등의 정서는 님을 향한 진술이다. <모심는소리>에서는 화자가 자신의 신세를 드러내어 갈등을 표출하고, 화자는 님에 대한 정성스런 행동으로 갈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하고, 논점전환을 통한 해학으로 갈등을 해소한다. <모심는소리>에서 화자가 신세를 드러낸 것은 화자 자신를 드러낸 진술이고, 님을 위한 행동으로 갈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하는 것도 자신을 드러낸 진술이다. 결국 <모심는소리>에 나타난 신세탄식․기대 등의 정서는 화자를 드러낸 진술이다. 둘째, 통속민요에 나타난 표현적인 양상이다. 통속민요에서는 화자가 님을 원망하거나 갈등을 해결하려는 것만 확인되고 화자가 어떤 처지와 상황에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화자가 불특정인이다. <모심는소리>에서는 화자의 신세가 드러나고 님을 대하는 모습이 드러나 화자가 어떤 처지와 상황에 있는지 명확하다. 화자는 특정인이다. 통속민요에서 전개가 있는 작품에서는 그 전개의 양상이 ‘착각․꿈으로 님과의 만남→좌절’이거나 ‘해결 의지의 표명→좌절’이다. 내면에서 ‘희망과 절망’ 또는 ‘의지와 체념’ 등의 대립적 의미가 공존한다. 내적인 대립이 있다. <모심는소리>에서 전개가 있는 작품에서는 그 전개의 양상이 ‘기대→좌절’이다. 님에게 정성을 다하는 화자와 반대로 하는 님(또는 운명)이란 대립적인 의미가 공존한다. 외적인 대립이 있다. 통속민요는 19세기 초에서부터 1910년대까지 극장무대에서 가창된 노래이다. 가창자들은 청중들의 공감을 얻기 위하여 노력한다. 화자가 불특정인이므로 다양한 경험이 있는 청중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고, 님을 향한 진술이므로 청중들로 하여금 남은 자와 떠난 자가 이별할 때 이루어진 대화로 받아들이기 쉬워 공감할 수 있고, 내적인 대립이 있음으로 화자의 내면을 엿볼 수 있어 공감할 수 있다. 통속민요의 노랫말은 가창자가 청중들의 공감을 얻기 위한 ‘들려주기’의 경향이 있다. <모심는소리>는 농촌현장에서 가창자들의 집단적인 참여로 가창된 노래이다. 가창자들은 자신을 드러내는 정서와 표현이 가능하다. 신세를 드러낸 것이 화자를 드러내는 것이고 외적인 대립에서 화자가 외적인 대상에게 하는 정성스런 행동이 화자를 드러내는 것이다. <모심는소리>의 노랫말은 가창자가 자신을 드러내기 위한 ‘보여주기’의 경향이 있다.

      • KCI등재

        歌辭 ?懶婦歌?의 형성배경에 대한 연구-懶婦를 소재로 한 漢詩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정한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1

        본고의 목적은 懶婦를 소재로 한 漢詩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歌辭 懶婦歌의 형성배경을 살펴보는 데 있다. 나부가는 士婦人의 직분에 대한 ‘주제적 표현’과 금세 부인에 대한 ‘부정적 형상화’로 이루어진다. 나부가에 나타난 ‘부정적 형상화’에는 勤儉에 대한 교훈뿐만 아니라 事君子事舅姑에 대한 교훈이 복합되어 있다. 懶婦를 소재로 한 漢詩는 17세기부터 勤儉과 관련된 행위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이 이루어지고, 18세기 후반 이후 그 강화 과정에서 勤儉과 관련된 행위에 事君子事舅姑와 관련된 행위가 복합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事君子事舅姑와 관련된 ‘부정적 형상화’는 경제적인 이유로 부녀자들이 가족의 화목을 해친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따라서 나부가의 형성배경은 17세기 이래 勤儉과 관련된 행위를 중심으로 한 ‘부정적 형상화’로 詩作하는 전통과 18세기 후반 이후의 현실에 대한 반영이다.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Jeong, Han-gi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ain subject of Nabuga:Nabuga is contained the instruction of the imperative expression and the instruction of the negative depiction. I compare Nabuga and Bogseonhwaeumga․Yongbuga․Kyenyeoseo. In the result, the main subject of Nabuga is the complex of the instruction of diligence and frugality and the instruction of being devoted to her husband and her woman's mother-in-law.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 Since the seventeenth, the poetry of classical chinese in the imperative expression has been created. After the end of eighteenth, the poetry of classical chinese in the imperative expression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en appended her action that breaks the instruction of being devoted to her husband and her woman's mother-in-law. This appearance is caused by the author's reflecting the actuality of the day. By this result, I concludes the background of creating Nabuga is the complex of the convention being created the imperative expression since the seventeenth and author's reflecting the actuality of the end of eighteenth.

      • KCI등재후보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대한 헌법적 고찰

        정한기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법학 Vol.20 No.2

        「Law on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has facilitated mass collection, storage, and distribution of genetic information by combination of life science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riminal proceedings, and then it has become the important basis to introduce gene information bank, the strength of forensic science. In this gene information bank, DNA database securing the establishment of forensic science and the effectiveness of criminal investigation stores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riminals who committed the crime in the higher consideration of the secondary crime such as murder and sexual violence crime for the children and the teenagers and plays a big role to find out the person who are highly related to the crim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database with the DNA identification information gained from the remaining evidence in the crime site and to arrest promptly when the same crime is occurred. However, since it has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of the object of DNA discerning sample collection and the infringement of the basic principle of a constitutional state, 7 events of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s now brought up in Constitutional Court. Thus, since the necessary emphasis on the generalization of forensic science and the proper function of crime prevention is fully enoug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n be accepted the suggested convincing criticism humbly so far, and improved the constitutional problem about the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of the object of DNA discerning sample collection to become a foundation creating the human rights friendly legislation. 최근 서울 광진구에서 30대 주부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한 사건은 디엔에이데이터정보의 관리체계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대검찰청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면 막을 수 있었던 사건이다. 이는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문제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반면에 디엔에이데이터정보를 이용해 미제사건의 해결, 특히 최근 발생하고 있는 살인사건이나 아동·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 등의 해결로 인해, 국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은 형사절차분야에서 생명과학 기술과 정보기술의 결합으로 유전자정보의 대량 수집·보관·유통 등을 가능하게 하여, 과학수사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유전자정보은행을 도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이러한 유전자정보은행은 과학수사의 정착 및 범죄수사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디엔에이데이터베이스는 살인이나 아동·청소년 성폭력범죄 등 재범의 우려가 높은 범죄를 저지른 사람의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여, 동종범죄가 발생하였을 때 현장에 남아있는 증거물에서 얻은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내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범죄와의 관련성이 높은 사람을 알아내고 조기에 검거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디엔에이감식시료채취 대상자의 기본권을 침해문제와 법치국가적 기본원칙의 위반문제 등으로, 현재 헌법재판소에 7건의 위헌법률심판이 제기되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과학수사의 보편화와 범죄예방이라는 순기능을 강조할 필요성이 충분히 있기에. 그동안 제기되었던 설득력 있는 비판들을 겸허히 수용하고, 디엔에이감식시료채취 대상자의 기본권 침해에 대한 헌법적 문제를 보완․개선하여, 인권친화적 법률로 재탄생하는데 밑거름이 되는 것에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호남 지역 민요의 배경과 특징 - <논매는소리>와 <모심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을 중심으로 -

        정한기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4

        본고의 목적은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와 <모심는소리>에 나타난 애정을 중심으로 호남 민요의 배경 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호남 민요의 배경은 호남인들의 생활방식인 문화에 있다. 호남 문화의 특징은 개방성과 풍류성이다. 호남 지역은 물산이 풍부하여 넉넉한 삶을 살 수 있고 지리적으로 사방이 트여 남에게 여유로운 개방 성을 지니고, 삶에서도 여유기 있는 풍류성도 지닌다. 풍류는 한을 한때나마 잊고자 하는 생각에서 표 출된 것으로 한이 내재된 풍류이다. 호남 지역 <논매는소리>와 <모심는소리>의 특징은 여성의 주체적 태도가 드러난 점과 불특정화자가 드러난 점이다. 여성의 주체적인 태도가 드러난 노랫말은 주로 비윤리적이고 비일상적인 성격을 띤다. 비윤리적이고 비일상적인 것은 웃음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어 여성의 주체적인 태도가 있는 노랫말은 놀이성을 지닌다. 여성의 주체적인 태도가 드러난 노랫말이 가능한 것은 호남의 문화에 개방성이 있기 때문이다. 불특정화자가 드러난 노랫말에는 슬픔을 표출하는 표출성과 즐거움을 지향하는 놀이성이 복합되어 있다. 불특정화자가 드러난 노랫말이 가능한 것은 호남 문화에 풍류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background and peculiarity of the folk song in Honam region. The main object of study is the love in the <Nonmaenensori> and <rice-planting song>. The background of folk song in Honam region is the Honam's culture. The peculiarity of the Honam's culture is the openness and the playfulness. In Honam region, the local products is rich and the region is open at all direction. So Honam's people have the openness and the playfulness. The peculiarity of <Nonmaenensori> and <rice-planting song> in Honam region is that <Nonmaenensori> and <rice-planting song> reveal the woman's independent attitude and the unspecified speaker. The function of woman's independent attitude is the entertainment. The background of woman's independent attitude is the openness. The unspecified speaker's words is mixed with sadness and entertainment. The background of unspecified speaker is the play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